자금 경색·주민 반발, PF 대출·운영위로 넘는다
중고차 수출단지 집적지 확보
10여년간 인천항 최우선 현안
업계·시·구·IPA·해수부 협력
중고차 수출 산업 선진화 추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카마존
인허가 완료 후 대출 추진키로
통행 증가 대비 우회도로 필요
시민사회 참여 수용성 높여야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⒀ 첩첩산중 스마트 오토밸리 해법은?](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410/1267051_581429_5229.jpg)
2023년 인천항을 통한 중고차 수출이 50만2215대를 기록하고 이중 80% 가량이 컨테이너를 통해 수출됐다.
12m 컨테이너 1개(2TEU)당 4대가량의 중고차가 쇼링된다고 보면 컨테이너 물동량 창출은 최소 20만TEU, 공 '컨' 수요까지 감안하면 40만TEU에 달하는 컨테이너 물동량에 기여했다. 이는 인천항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15%가량을 점유하는 수치다.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중고차 수출에 있어 가장 큰 관건은 중고차 확보와 함께 이를 집적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느냐다. 역대 최다인 2023년 50만대 중고차 수출을 넘어 100만대까지 수출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야적 공간 확보와 중고차 수출매매단지를 선진화하는 것에 달려 있다.
중고차 수출업계에서는 인천항 주변에 4만대 규모의 야적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송도유원지 중고자동차 수출단지(1만5000대), 인천내항 4·5부두(1만대)를 제외하고 인천지역 곳곳에 1만5000여대가 분산돼 야적 중이다.
100만대 중고차 수출 달성과 송도유원지 중고차 수출단지 이전을 위해서는 최소 6만대 가량의 집적지가 필요한 이유다. 이런 이유로 10여년 전부터 선진화된 중고차 수출단지 집적지 확보는 인천항 최대 현안으로 꼽혀왔다.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는 인천항에 중고차 수출 전용 물류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항만업계는 물론 인천시, 인천 중구, 인천항만공사(IPA), 해양수산부가 협력하고 있다.
스마트 오토밸리는 인천 중구 항동 인천남항 역무선부두 배후부지 일대 39만8155㎡에 4370억원을 들여 1, 2단계로 나눠 우선 1단계 사업을 조성하고 2단계 사업은 석탄부두 이전 이후 추진된다.
1단계 사업은 총사업비 2400억원이 투입돼 지상 6층, 연면적 19만7342㎡ 규모로 건립된다.
실내·외 전시장과 성능점검센터, 쇼링(컨테이너 적입)장, 수출상사 사무실, 행정지원사무소, 금융·보험 지원시설, 문화시설, 식당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당초 2026년까지 중고차 수출단지를 조성해 송도유원지 일대 중고차 수출단지 상당 부분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됐다. 인천시와 IPA는 스마트 오토밸리가 조성되면 중고차 수출산업에 커다란 전환점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자금 경색으로 우선협상대상자인 카마존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업이 좌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카마존, 사업 추진에 강한 의지
스마트 오토밸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카마존은 신영, 중흥토건, 오토허브셀카, 신동아건설, 리버티랜드 컨소시엄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카마존이 PF를 예정대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금융권의 자금 경색이 풀려야 하지만 우선적으로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의 수익성이 담보돼야 한다. 하지만 현재 IPA 부지를 중고차 수출업체에 재임대하는 형태의 사업 구조로는 수익성 담보가 어렵기 때문에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상 부동산PF 시장이 악화한 상황에서 분양 수익을 담보할 수 없는 사업의 구조로는 자금 조달이 쉽지 않다.
이 같은 자금 경색에도 카마존은 최근 올 상반기 임대료 21억원을 완납하면서 조성사업 완수에 강한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곧 하반기 임대료 22억원도 정산할 계획이다.
카마존은 9월 초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비관리청항만공사 실시계획 승인을 신청했다. 지난해 5월 IPA와 사업 추진 협약을 체결한 뒤 16개월 만이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중고차 수출 물류단지를 조성하는 스마트 오토밸리는 인천항에 꼭 필요한 시설”이라며 “실시계획 승인이 접수된 뒤 현재 관계기관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승인할 예정”이라고 했다.
카마존은 실시계획이 승인되면 관련 절차를 마무리한 뒤 내년 상반기 착공한다는 방침이다.
카마존 관계자는 “인허가 절차가 마무리되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PF 대출을 일으킬 계획”이라며 “자기 자본금 충당을 비롯해 PF 자금이 확보되면 내년 상반기 착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제 조건은 채워졌나?
스마트 오토밸리는 중고차 수출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고차 수출 가치 사슬 전 과정에 대한 선진화된 중고차 수출 산업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매집, 경매, 수출 물류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중고차가 야적돼 있어야 하고, 해외 바이어를 포함한 중고차 수출업계 관계자들이 수도 없이 드나들어야 한다. 이는 곧 어마어마한 교통량 증가를 의미한다.
그래서 인천시와 IPA는 일찌감치 우회도로 건설에 심혈을 기울였다. 하지만 스마트 오토밸리가 들어서는 인근에 대규모 교통 유발 시설이 이미 대거 들어서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2018년 이후 인천내항과 인천남항 등 중구지역에서만 연면적 3만㎡ 이상 물류센터가 20개 가까이 들어섰다.
인천시 등은 인천남항 우회도로를 통해 차량 분산을 유도하겠다고 했지만 이미 신흥동·항동지역은 대규모 물류 센터가 대거 들어서면서 벌써 극심한 교통 체증을 빚고 있다. 기존 인천항 물류 센터와는 달리 신규로 들어선 물류 센터는 마지막 소비자에게 배송되는 이른바 라스트마일 형태로 B2C 물량이 많아 1t 트럭 등 교통량이 더 많다.
대체도로로 꼽히는 고가도로가 만들어질 경우 인천남항 인근 컨테이너 터미널이 제 기능을 못 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현재 남항에서 운영 중인 E1컨테이너터미널(E1CT)과 인천컨테이너터미널(ICT) 부두의 기본 하역처리 능력은 76만2000TEU 수준으로, 지난해 74만6737TEU를 처리했다. 이는 인천항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 346만TEU 가운데 21% 수준이다. E1CT는 2027년 이후 조성이 완료되는 인천신항 컨테이너부두 1-2단계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ICT의 경우 부두 운영사 싱가포르항만공사(PSA)와의 계약기간이 2052년까지다.
1단계 사업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2단계 사업이 최대한 빨리 진행돼야 하지만 현실이 녹록지 않다.
2단계 사업 부지인 석탄부두 폐쇄는 해수부의 제4차 항만기본계획(2021~2030년)에 포함됐지만, 강원도 동해신항 석탄부두 건설 지연으로 인해 상당 기간 지체될 전망이다.
동해신항 석탄부두는 구호동 동해지구 전면 해상에 1345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진행될 예정으로 현재 주민설명회가 진행 중이다. 330m의 석탄부두와 240m의 관리부두 등 계류시설 570m, 외곽시설(접속호안) 43m, 부지 매립 12만1890㎡, 준설 4만7436㎡ 등으로 추진되는 동해신항 석탄부두는 착공일로부터 48개월로 예정됐다.
주민 반발을 딛고 착공된다 하더라도 최소 4년이라는 절대적인 공사 기간이 필요한 것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오토밸리 우선협상대상자인 카마존측은 인천시와 IPA, 인천해수청, 시민사회, 지역 주민 등이 참여하는 (가칭)스마트 오토밸리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현안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제 조건 해결과 스마트 오토밸리 사업 추진에 관계기관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주민 반발이 예상되는 만큼 주민수용성을 높여 사업 추진에 속도를 가하기 위해서다.
카마존 관계자는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은 송도유원지 중고차 수출단지 문제 해결과 인천항 물동량 유지 및 창출을 위한 인천항 최대 현안 사업”이라며 “관계기관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결속력 있는 운영위원회를 통해 사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일보 특별취재팀
/김칭우 기자 chingw@incheonilbo.com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이한용 인천항발전협의회 사무국장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⑿ 송도중고차수출단지(2)-합법적 중고차 집적단지 필요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⑾ 송도중고차수출단지(1)-송도유원지의 역사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⑽ 중고차 수출과 인천항-로로선 vs 컨테이너 방식의 차이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⑼ 중동·아프리카:한국 중고차 수출의 새로운 기회(2)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⑻ 중동·아프리카:한국 중고차 수출의 새로운 기회(1)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⑺ 국제 정세가 중고차 수출시장에 미치는 영향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⑸ 중고차 수출 한·중·일 삼국지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⑷ 플랫폼 타고 신뢰회복, 중고차 매매 시스템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⑶ 한국 중고차 수출 시장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⑵ 글로벌 자동차 수출 시장의 변화-한국 자동차 수출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⑴ 프롤로그] 수출단지 이전·법·제도적 기반 절실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⑴ 프롤로그] '승승장구' 중고차 수출 '화룡점정' 방안 찾는다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⒁ 수출단지 야적 효율 높여야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⒂ 수출 주력 산업으로 중고차 수출 육성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