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2025년 체육발전유공 포상 및 제63회 대한민국체육상 전수식 열고 체육인 69명 시상

▲ 지난해 2024 파리 패럴림픽대회 대한민국 선수단 결단식에 참가한 김황태(오른쪽)과 핸들러로 함께 메달 도전에 나서는 그의 아내 김진희. /사진제공=인천광역시장애인체육회
▲ 지난해 2024 파리 패럴림픽대회 대한민국 선수단 결단식에 참가한 김황태(오른쪽)과 핸들러로 함께 메달 도전에 나서는 그의 아내 김진희. /사진제공=인천광역시장애인체육회

대한민국 사상 최초로 태극마크를 달고 패럴림픽 트라이애슬론에 출전했던 김황태(인천광역시장애인체육회)가 대한민국체육상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김황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21일 웨스틴조선서울에서 개최한 ‘2025년 체육발전유공 포상 및 제63회 대한민국체육상 전수식’에서 대통령 표창 중 장애인경기상을 받았다.

그는 2024 파리 패럴림픽에 한국 최초로 파라 트라이애슬론 종목에 출전, 1시간 24분 01초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해당 종목은 수영 750m, 사이클 20㎞, 육상 5㎞ 코스를 합산한 기록으로 최종 순위를 정한다. 당시 김황태는 전체 11명 중 10위로 경기를 마쳤다.

김황태는 2000년 8월 업무 중 감전 사고로 양팔을 잃은 뒤 잠시 좌절했지만 2002년 1월부터 마라톤을 시작하며 장애인 체육에 발을 디뎠다. 이후 같은 인천광역시장애인체육회 소속으로 2017 터키 삼순 데플림픽(청각 장애인을 위한 국제대회) 마라톤에서 우리나라 선수로는 처음 동메달을 딴 오상미의 권유로 트라이애슬론을 시작했다. 지난해 5월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2024 국제트라이애슬론연맹 장애인 시리즈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 국내 비장애·장애 선수를 통틀어 처음 트라이애슬론 월드시리즈에서 입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그는 이후 2024 국제트라이애슬론연맹 장애인 컵대회(2024 Asia Triathlon Para Championships Subic Bay/필리핀 수빅) 1위, 2024 국제트라이애슬론연맹 장애인 컵대회(2024 World Triathlon Para Cup Samarkand/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3위 등 국제대회에서 연속 입상, 세계랭킹을 7위까지 끌어올려 9위까지 주어지는 파리 패럴림픽 참가 자격을 획득한 바 있다.

한편, 이날 전수식에서는 체육훈장 청룡장 12명을 포함해 체육훈장 53명과 체육포장 7명, 김황태 등 대한민국체육상 9명까지 총 69명이 수상했다. <아래 표 참조>

‘체육 발전 유공’은 1973년부터 체육 발전에 공을 세워 체육의 위상을 높이고 국가 체육 발전에 공헌한 선수와 지도자 등 체육인에게 수여하는 체육 분야 최고 영예의 서훈이다. 국제경기대회에서 입상한 선수·지도자와 국가체육발전유공자 등 2개 부문으로 나뉘며, 대상자는 공적 내용과 대회별 평가 기준에 따른 점수, 훈격별 적용 국제대회 기준의 충족 여부 등에 따라 정해진다.

1963년에 제정된 ‘대한민국체육상’은 국민체육 발전 및 진흥에 공적이 있는 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올해는 7개 부문에서 선수와 심판 등 체육인 9명(김황태 포함)이 수상자로 뽑혀 표창장과 함께 상금, 부상을 받았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우리 국민에게 감동과 자긍심을 심어준 체육인들에게 감사드린다. 문체부는 체육인들이 공정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운동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종만 기자 malema@incheonilbo.com

□ 체육발전유공(60명)

구분

훈장

포장

합계

청룡장

맹호장

거상장

백마장

기린장

선수·지도자

12

16

14

7

1

50

6

56

국가체육발전유공

-

2

1

-

-

3

1

4

합 계

12

18

15

7

1

53

7

60

<체육발전 유공자 주요 공적>

훈격

성명

소속/직위

주요 공적

체육훈장

청룡장

박채순 

*1965년생

대한양궁협회

 /지도자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양궁지도자로서 2012년 런던올림픽 여자 2관왕, 2016년 리우올림픽 남자 2관왕, 2020년 도쿄올림픽 여자 3관왕 달성에 기여함

최은종 

*1968년생

경기도

/지도자

 <주요 공적>

ㅇ 근대5종 지도자로서 올림픽 및 세계선수권대회 등 국제대회에서 최초로 메달 획득을 이끌며 한국 근대 5종의 국제 경쟁력과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함

정재헌 

*1974년생

대구광역시 중구

/지도자

 <주요 공적> 

ㅇ 양궁국가대표 남자부 코치로서 2020년 도쿄올림픽 단체 금 혼성 금, 2021 세계선수권대회 개인 금,  단체 금, 혼성 금메달을 획득하는데 기여함

이나영 

*1986년생

대한볼링협회

/선수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볼링선수로 활동하며 25회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2인조 금, 3인조 동, 5인조 금, 개인종합 금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볼링에 기여함

김범준

*1989년생

경상북도 문경시

/선수

 <주요 공적>

ㅇ 소프트테니스(정구) 국가대표선수로 아시아선수권, 아시아경기대회,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여 국위선양에 기여함

강희원

*1982년생

대한볼링협회

/선수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로 볼링선수로 활동하며 세계볼링선수권대회 금메달 등 다수 메달을 획득하며 볼링 발전에 기여함

김동현

*1980년생

한국체육대학교

/조교

 <주요 공적> 

ㅇ 역도 국가대표 지도자로 활동하며 세계선수권 등 다수의 국제대회에서 입상하여 역도 발전에 기여함

전용성 

*1968년생

삼일고등학교

/교사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역도 지도자로 활동하며 2024파리올림픽 은메달 및 2023세계선수권 3관왕 등 다수의 국제대회에 입상하며 국가 위상 제고에 기여함

주영대

 *1973년생

경상남도

장애인체육회

/선수

 <주요 공적>

ㅇ 장애인 탁구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하며, 패럴림픽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둬 대한민국 스포츠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함

체육훈장

청룡장

임천규

*1972년생

부산광역시 장애인론볼연맹

/선수

 <주요 공적>

ㅇ 론볼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하며 세계선수권대회 등 국제대회 금메달 5회 등 다수 입상으로 국위선양에 기여함

강외정

*1966년생

경상남도

장애인체육회

/선수

 <주요 공적>

ㅇ 장애인 탁구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하며, 다수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우수한 경기력으로 국위선양에 기여함

윤복자

 *1971년생

전라남도 장애인론볼연맹

/선수

 <주요 공적>

ㅇ 론볼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다수 국제대회에서 금메달 7회 수상 등 대한민국 장애인체육과 론볼 위상 제고에 기여함

체육훈장

맹호장

임안수

*1988년생

경기도고양시

/선수

 <주요 공적>

ㅇ 국제무대에서 꾸준히 우수한 성과를 달성하며   대한민국 세팍타크로 종목의 국제적 인지도 확산과 국가대표팀 전력 향상 및 종목 발전에 기여함

김종현

 *1985년생

㈜케이티

/선수

 <주요 공적>

ㅇ 사격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다수 국제대회 메달획득으로 국위를 선양 하였으며, 후배 양성을 통해 대한민국 사격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안종택

*1967년생

여수충무고등학교

/지도자

 <주요 공적>

ㅇ 26년간 수영 지도자 활동을 통해 정다래 선수 등  우수한 선수를 발굴 육성하였으며, 국가대표 지도자로 우수한 성적을 거둬 국위선양에 기여함

김성민

*1987년생

경기도 북부경찰청

/경장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유도선수로 활동하며 아시아경기대회 등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입상하며 국위선양 및 대한민국 유도발전에 기여함

정나은

 *2000년생

전라남도 화순군

/선수

<주요 공적>

ㅇ 제19회 항저우아시안게임 배드민턴 여자단체 금메달과 제33회 파리올림픽 혼합복식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위상 제고에 기여함

우경한

 *1988년생

경상북도

/선수

<주요 공적>

 ㅇ 국제대회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며 꾸준한 입상 성과를 거두어 대한민국 세팍타크로 종목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위상제고, 국내 종목활성화에 기여함

이선성

*1980년생

대한체조협회

/지도자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남자 기계체조팀 대표코치로 재직하며 국제대회 메달 9개 및 올림픽 금메달 1개 등 성과 창출에 기여함

방귀만

*1983년생

대한유도회

/지도자

<주요 공적>

ㅇ 남자 유도 국가대표팀 지도자로서 뛰어난 지도력을 발휘하여 각종 국제대회에서의 메달 획득을 하였고 대한민국 유도발전에 기여함

김종윤

*1984년생

前대구광역시 달성군

/선수

<주요 공적>

ㅇ 소프트테니스 국가대표 선수로 활약하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등 한국 소프트 테니스 발전 및 국위선양에 기여함

체육훈장

맹호장

이수열

*1982년생

부산광역시 사하구

/지도자

<주요 공적>

ㅇ 소프트테니스 지도자로 활동하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등 한국 소프트테니스 발전 및 국위선양에 기여함

최병창

*1958년생

前대한사이클연맹

/지도자

<주요 공적>

 ㅇ 1975년부터 사이클 선수 및 지도자로 활약하며  다수의 국제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거두어 한국 사이클 발전과 후진양성에 기여함

최숙이

*1980년생

용운중학교

/교사

<주요 공적>

ㅇ 선수시절부터 세계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였고,   여자유도 대표팀 지도자로서 뛰어난 지도력을 바탕으로 각종 국제대회 메달 획득에 기여함

우승수

 *1979년생

경상북도 경주시

/지도자

<주요 공적>

ㅇ 유수선수로 활동하며 세계우슈선수권대회 및 하계아시아경기대회, 아시아우슈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우슈 발전에 기여함

안성조

*1989년생

경기도 장애인볼링협회

/선수

<주요 공적>

ㅇ 장애인볼링 국가대표 선수로서 다수의 데플림픽에 출전하여 메달을 획득하여 장애인 체육발전과 국위선양에 기여함

이찬미

*1988년생

전라남도 장애인볼링협회

/선수

<주요 공적>

ㅇ 장애인볼링 국가대표 선수로서 제23회 하계데플림픽,  제24회 하계데플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후배 양성에도 힘써 장애인볼링 발전에 기여함

백영복

 *1977년생

장수군 장애인체육회

/선수

<주요 공적>

 ㅇ 장애인탁구 선수로 활동하며 아시아경기대회 및 패럴림픽에 참가하여 우수한 경기력으로 메달을 획득하여 장애인탁구 발전과 국위선양에 기여함

故최상영

*1948년생

前재일본대한체육회

/회장

<주요 공적>

ㅇ 재일본대한체육회장을 12년 역임하며 재일동포 국가대표 선수를 다수 배출하였으며, 국가대표 선수단 재정후원, 스포츠를 통한 재일 동포화합 등에 기여함

임채일

*1960년생

울산광역시 사이클연맹

/회장

<주요 공적>

ㅇ 28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울산광역시 사이클연맹   부회장 및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울산광역시사이클육성의 기틀을 마련하고 대한민국 체육발전에 기여함

체육훈장

거상장

양수진

 *1988년생

한국토지주택공사

/과장

<주요 공적>

ㅇ 근대5종 선수로서 약 15년간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아시아 경기대회에서의 메달 획득, 이후 후배 양성에 힘쓰는 등 근대5종의 발전에 기여함

김성연

 *1991년생

대한유도회

/선수

<주요 공적>

ㅇ 2009년 국가대표 선발 이후 세계유도선수권대회 동메달, 아시안게임 금,은,동, 올림픽 2회 출전으로 국위를 선양하고 대한민국 유도 발전에 기여함

김덕현

*1985년생

한국체육대학교

/지도자

<주요 공적>

ㅇ 육상국가대표 선수로 2010 아시아경기대회 금메달 및 2015 아시아육상경기선수권대회 금메달 등을 획득하여 국위선양에 기여함

체육훈장

거상장

김병수

*1980년생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주요 공적>

ㅇ 대한민국 펜싱 국가대표 남자 플러레 지도자로서 선수 역량강화에 힘쓰고, 펜싱국제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등 대한민국 플러레 펜싱발전에 기여함

故류제형

*1980년생

前대한보디빌딩협회

/선수

<주요 공적>

ㅇ 국제보디빌딩연맹에서 주관 및 주최하는 다양한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대한민국 보디빌딩 발전에 기여함

권나라

*1987년생

대한사격연맹

/지도자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사격 선수로 국제대회 우수성적으로 국위선양에 이바지하였고, 국가대표후보선수 지도자로 후배양성에 힘쓰며 대한민국 사격발전에 기여함

송상욱

*1973년생

대한승마협회

/지도자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승마 선수로 도하 아시아경기대회 단체전 은메달,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금메달 2관왕을 차지하였고, 항저우 아시아경기대회 부터 국가대표 지도자로서 대한민국 승마 발전에 기여함

장성홍

*1976년생

성남고등학교

/지도자

<주요 공적>

 ㅇ 제17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 남자부 코치로서 우수한 지도력으로 남자 단체전 및 개인전 준우승을 거두어 대한민국 체육발전에 기여함

이창훈

*1994년생

경상북도 구미시

/선수

<주요 공적>

ㅇ 검도 국가대표 선수로 제17회 및 제19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 은메달의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국위선양에 기여함

주대하

*1967년생

前대한장애인

육상연맹

/감독

<주요 공적>

ㅇ 리우패럴핌픽에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 성적을 달성하는 등 각종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체육 발전에 기여함

손대호

*1965년생

대구광역시 장애인볼링협회

/선수

<주요 공적>

ㅇ 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에서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대한민국의 국제 위상을 높이고 장애인스포츠 저변확대에 기여함

김택한

*1982년생

경기도 장애인볼링협회

/선수

<주요 공적>

ㅇ 장애인볼링 국가대표 선수로서 2022 하계 데플림픽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 국위선양에 기여함

심선화

*1992년생

서울특별시

/선수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골볼선수로 활약하며 16년 만에 세계  선수권대회 출전, 28년 만에 패럴림픽에 출전하여 전 세계에 한국 골볼 위상을 알리는데 기여함

김희진

*1994년생

서울특별시

/선수

<주요 공적>

ㅇ 15년간 골볼선수로 활약하며 16년 만에 세계선수권대회 출전, 28년 만에 패럴림픽에 출전하여 전  세계에 한국 골볼 위상을 알리는데 기여함

이봉영

*1960년생

영암군체육회

/회장

<주요 공적>

ㅇ 영암군축구협회와 승마협회 회장, 민선 영암군체육회장 등 여러 활동을 통해 지역체육 활성화 및 국가체육 발전에 기여함

체육훈장

백마장

남동훈

*1984년생

한국토지주택공사

/차장

<주요 공적>

 ㅇ 20년 동안 근대5종 국가대표 선수로서 국제대회에 다수 입상하여 국위선양을 위해 힘썼으며 후배  선수 육성을 통해 한국 근대5종 발전에 기여함

조벽래

*1970년생

대한산악연맹

/선수

<주요 공적>

ㅇ 7대륙 최고봉 완등 및  에베레스트 등정, 가셔브룸 1봉 등정, 마나파르바트 2봉 신루트 등정 등 산악활동을 지속하며 대한민국 산악등반 발전에 기여함

이선민

*1980년생

대한사격연맹

/주임

<주요 공적>

ㅇ 국가대표 사격선수로 2002 부산 아시아경기대회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고, 지도자로서 후배양성에 힘쓰며 대한민국 체육발전에 기여함

홍성진

*1974년생

대한보디빌딩협회

/지도자

<주요 공적>

ㅇ 보디빌딩 아시아선수권대회 및 세계남자보디빌딩선수권대회 지도자로 선수단을 이끌어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한국 보디빌딩 발전에 기여함

김성훈

*1991년생

前부산광역시 사상구

/선수

<주요 공적>

ㅇ 양국 국가대표로서 2009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남자 단체 금, 혼성 금과 2009 아시아 양궁선수권대회 남자단체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위선양에 기여함

지호철

*1989년생

백석대학교

/조교수

<주요 공적>

ㅇ 2012년, 2017년, 2022년 국제 품새대회 단체전 1위로 대한민국 태권도 위상과 국제 경쟁력을 높였고, 후학 양성에 힘쓰며 태권도 발전에 기여함

노은실

*1989년생

수원영통경찰서

/경사

<주요 공적>

 ㅇ 2010년 아시아경기대회, 2011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에서 태권도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금메달 획득해 대한민국 태권도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함

체육훈장

기린장

안효기

*1971년생

한국수자원공사

/지도자

<주요 공적>

ㅇ 2016년도와 2017년도 아시아조정선수권대회에서 국가대표팀을 지도, 금메달2, 은메달3, 동메달3개 등 총 8개 메달 획득으로 국가 위상 제고에 기여함

체육포장

박시우

*1992년생

경상북도 구미시

/선수

<주요 공적>

 ㅇ 제19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 국가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남자 단체전 은메달의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체육발전과 대한민국 검도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함

유원균

*1991년생

대한검도회

/선수

<주요 공적>

ㅇ 제16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에 참가하여 남자부  단체전 준우승을 차지하여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대한민국 검도 발전에 기여함

진현진

*1959년생

대한검도회

/지도자

<주요 공적>

 ㅇ 제19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 남자 국가대표 감독을 역임하면서 우수한 지도력으로 남자단체전 은메달의 우수한 성적을 이끌어내며 검도발전에 기여함

윤웅진

*1990년생

전라남도

/선수

<주요 공적>

 ㅇ 제14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산타 56KG 2위, 제15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남자 산타 56KG 3위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우슈종목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함

체육포장

장세욱

*1991년생

오만 왕립 경찰청

/지도자

<주요 공적>

ㅇ 2010년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주요 국제대회에 입상하며 대한민국 태권도 위상을 높이고 국위  선양에 기여함

신소야

*1980년생

대한보디빌딩협회

/지도자

<주요 공적>

 

ㅇ 국제보디빌딩연맹 세계피트니스 선수권대회 및 아시아 보디빌딩 피트니스선수권대회에서 지도자로 선수단을 이끌어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데 기여함

박정목

*1958년생

부산광역시 서구 축구협회

/회장

<주요 공적>

 ㅇ 1988년부터 현재까지 서구축구협회 소속으로 활동하며 유소년 및 성인 생활체육 축구 육성, 전 연령에 맞춤 생활 체육대회 유치 등 지역체육발전에 기여함

 

□ 대한민국체육상(9명)

구분

합계

대통령표창

장관표창

소계

경기상

지도상

심판상

장애인

경기상

장애인

체육상

소계

지도상

공로상

장애인

경기상

장한 어버이상

규모

9

5

1

1

1

1

1

4

1

1

1

1

<대한민국체육상 수상자 주요 공적>

부문

부문

성명

소속/직위

주요 공적

대통령

표창

경기상

안세영

*2002년생

삼성생명 배드민턴단

/선수

<주요 공적>

 ㅇ 2023 항저우아시아경기대회 개인전 및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고, 2024 파리올림픽에서 28년만에 여자단식 금메달을 획득하여 국가위상 제고에 기여함

지도상

최용호

*1956년생

팀인제

/지도자

<주요 공적>

ㅇ 45년여간 초등학교 등 배드민턴 유소년 지도자로 활동하며 우수한 지도력으로 국가대표 안세영과 이용대 선수를 발굴하는 등 체육발전에 기여함

심판상

장인성

*1959년생

대한수영연맹

/심판위원장

<주요 공적>

 ㅇ 1986년부터 다이빙 심판으로 활동하였고, 현재 대한수영연맹 심판위원회 위원장으로 국내외 다수 대회에서 활약하며 대한민국 수영발전에 기여함

장애인

경기상

김황태

*1977년생

인천광역시 장애인체육회

/선수

<주요 공적>

ㅇ 2024 파리 패럴림픽에 한국 최초로 파라트라이애슬론 종목에 출전하였고, 국제대회에서 꾸준히 입상해 대한민국의 위상 제고에 기여함

장애인

체육상

고광만

*1963년생

여주시 장애인체육회

/부회장

<주요 공적>

ㅇ 여주시장애인체육회 수석부회장으로 활동하며 장애인 어울림 체육대회 개최 및 전국 장애인 양궁대회를 유치하여 장애인 체육 발전에 기여함 

장관

표창

지도상

박의선

*1965년생

호수돈

여자중학교

/교사

<주요 공적>

ㅇ 탁구부 지도교사로 전국소년체육대회 우승을 이끌고, 청소년 국가대표를 다수 배출하였으며, 호수돈여고 탁구전용체육관을 통해 지역 초중고 학생선수들의 체계적 훈련을 지원함

공로상

박숙자

*1970년생

성복중학교

/교장

<주요 공적>

ㅇ 학교운동부의 친인권적 문화 개선, 체육특기자 선발제도 개편, 학생선수 진로·설계형 프로그램 기획 등 정책을 주도하여 학교체육발전에 기여함

장애인

경기상

서정국

*1975년생

청도군 장애인연합회

/선수

<주요 공적>

 ㅇ 공상 군경 3급으로 장애를 극복하고 2019년 경주 아시아선수권 철인 3종 1위, 2024년 전국장애인 체육대회(거제) 철인 3종 1위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장애인 체육발전에 기여함

체육인의

장한

어버이상

황경선

*1970년생

수영 황선우선수

/부친

<주요 공적>

ㅇ 황선우 선수가 어린시절부터 오직 훈련과 학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2022항저우 아시안게임 2관왕, 2024 도하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 등 세계적인 선수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