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년에 비해 전국의 장애인 복지 행정 및 예산 영역 종합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했으나, 인천은 2년 연속 최하위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2025년 전국 시·도별 장애인복지 및 교육 수준 비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각 시·도의 복지와 교육 수준을 매년 비교함으로써 시·도 간 격차를 확인하고 장애인 복지제도를 상향 평준화하고자 지난 2005년부터 이뤄지고 있다.
단체는 복지행정 및 예산 영역을 '장애인복지 담당 공무원 확보수준', '장애인 관련 위원회 운영 현황', '기관별 장애 관련 조례 수', '장애인복지 예산 확보 수준', '장애인복지예산 지방비 비율', '장애인 1인당 장애인단체 지원액', '여성장애인 관련 사업 예산'과 같은 7개의 지표로 평가했다.
올해 전국의 평균 점수는 42.33점으로 2024년(39.65점)에 견줘 6.76% 상승했다. 서울, 인천, 강원, 제주 4개 지역은 2024년 대비 하락했으며, 나머지 13개 지자체는 올랐다.
'우수 등급'으로 분류된 지자체는 서울과 대전, 울산 등 3개 지역으로 집계됐다. 부산과 인천 2개 지역은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분발 등급'에 속했다.
특히 17개 시도 중 최고점인 울산(59.18점)과 최하위점인 인천(27.71점)의 격차는 2.13배 났다. 인천은 지난 2024년에도 최하위(28.97점)를 기록한 바 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인천은 27.71점으로 2년 연속 전국 최하위 등급으로 평가됐다"며 “장애인 복지 행정 및 예산 지원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