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만으론 한계…치료·재활까지 이어져야”
“열린 재활 시스템·사회복귀 프로그램 필요”
“낙인으로 치료 포기…인식 전환 시급”

[경기도의회 행감] 정경자 의원, “마약 중독은 질병…진입 장벽 낮춰야”

정경자(국민의힘·비례)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이 “마약 중독이 도덕적 실패가 아니라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라는 인식 개선을 통해 재활 치료 시스템 진입 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했다. 호기심이나 마약인지도 모른 채 접했다가 중독된 이들 가운데 재활 치료까지 이어간 경우는 극소수다.

정 위원은 11일 열린 보건건강국 행정사무감사에서 “클럽 등 유흥시설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데, 골든타임이 지나가고 있다”며 “우리가 이 부분에 대해 여유롭게 생각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도가 선제적으로 여러 사업을 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하다”고 했다.

도내 마약류사법 현황을 보면 2022년 5559명, 2023년 6678명, 2024년 5871명 등으로 매년 6000명 안팍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 중 마약치료센터를 찾은 이들은 730명으로 669명이 외래치료를 받았다.

예방 사업으로만 끝나는 게 아닌 치료와 재활까지 연동된 원스톱 시스템 마련이 중요하다는 게 정 위원의 설명이다. 특히 그는 마약 치료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 위원은 “지금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치료를 원하는 사람이 진입하기가 어렵다. 진입 장벽이 높다”며 “마약 중독이 도덕적 실패가 아니라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라는 인식 전환을 통해 진입 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독 당사자와 회복자 간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사회복귀 프로그램도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인프라 구축 문제를 지역 사회 등 관련 기관과 협력을 통해 해결해 나갈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정 위원은 “자기도 모르는 상황 또는 호기심으로 마약에 빠진 이들에 대한 예방정책이 소극적이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식 개선 캠페인 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실제 중독에 빠진 일반인들이 진입할 수 있는 열린 재활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마약 중독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 전환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마약으로부터 사전에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을 경기도가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건강권 침해 받지 않도록 우리가 해야 한다”며 “중독에 빠진 사람들이 낙인찍히지 않도록 경기도가 포괄적 마약 중독 예방 및 정책을 수립해달라”고 했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