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결과’ 브리핑 열고 주요 성과 공유
지원금 지급 이후 시민의 85%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시민 만족도 높아

광명시가 민생안정지원금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입증했다.
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결과’를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열고, 민생안정지원금의 경제·사회적 효과를 발표했다.
홍명희 경제문화국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은 시민의 일상 회복과 지역경제의 체질 개선을 이끈 광명형 민생정책의 대표”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 회복과 지역상권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시민의 일상에 숨통을 틔운 ‘10만 원의 힘’
광명시는 1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전 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의 민생안정지원금을 광명사랑화폐로 지급했다.
시행 첫날 시민 7만9655명이 신청하며 28.6%의 높은 참여율을 기록했고, 최종적으로 시민의 93.4%가 신청해 총 260억 원이 지급됐다.
사용 기한인 4월 30일까지 지급액의 98.9%가 사용돼 257억 원이 지역 내 소비로 이어졌다.
시민들은 시 공식 SNS에 개설된 ‘민생안정지원금 후기’ 게시판에 ‘지원금 덕에 오랜만에 가족이 함께 외식을 했다’, ‘고민하던 안경을 장만할 수 있었다’ 등 실질적 체감 후기를 남기며 정책의 효과를 드러냈다.
▲광명사랑화폐, 골목상권 회복 이끈 ‘소비 순환’의 중심축으로
민생안정지원금이 지역화폐인 ‘광명사랑화폐’로 지급되면서 지역 내 소비가 자연스럽게 순환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지난 6월 시민 3000여 명과 소상공인 1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시민의 64.6%가 지원금 지급 이후 광명사랑화폐 사용이 늘었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지역화폐 신청률은 54.3%, 2차는 55.7%로, 경기도 1위를 기록했다. 이는 경기도 평균 신청률(각각 22.2%, 23%)보다 약 2.4배 높은 수치다.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이중차분(DID) 분석에서는 민생안정지원금 지급시기의 식품·외식 업종의 일평균 거래 건수가 직전 분기(2024.10.19.~2025.1.23.) 대비 3만 3000 건 증가했고, 일매출은 2억 3000만 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시민의 84.6%가 정책에 만족했고, 83.6%가 가계경제에 도움이 됐으며, 85%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응답했다.
소상공인의 78.8%도 정책에 만족했고, 81.6%는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경기도 내 경제효과는 694억 원으로, 도소매·상품중개서비스 등 32개 산업 분야에서 573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했다. 가계소득은 105.5억 원, 지방세수는 15.5억 원이 증가했다.
경기도 외 지역에도 1350억 원의 경제효과가 발생했다. 서울은 서비스업, 인천은 물류 기반 산업, 경남·경북·충남은 제조업 중심 산업이 활성화되며 전국적으로 경제 파급 효과가 이어졌다.
이와 함께 총 501명의 취업유발 효과가 발생했다. 도소매업 212명, 음식·숙박업 185명 등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교육·보건·운송서비스 등 다양한 업종에서도 파급 효과가 고르게 확산됐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의 미래는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속가능한 경제도시”라며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민생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광명=글·사진 김영래 기자 yrk@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