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재 시장 “교육 수요 급증…맞춤형 대응 필요”

▲ 이현재 하남시장(오른쪽)과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최근 하남지역 과밀학교 문제 등을 놓고 협의를 했다. /사진제공=하남시
▲ 이현재 하남시장(오른쪽)과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최근 하남지역 과밀학교 문제 등을 놓고 협의를 했다. /사진제공=하남시

법적 토대 마련으로 하남시교육지원청 신설이 가시화(본보 웹 10월 30일자)된 가운데 하남시가 하남교육지원청으로의 분리·신설을 위한 본격 행보에 돌입했다.

3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시는 기존 통합·운영된 광주하남교육지원청을 하남교육지원청으로 분리·신설하기 위한 ‘개청지원단’을 구성해 인력, 행정, 재정 등 전방위 지원에 돌입했다. ‘전국 1호 통합교육지원청 분리·신설’을 위한 기반을 마련키 위해서다.

시는 종합복지타운 6층에 임시청사를 확보하고 오는 12월부터 언제든 입주가 가능하도록 조치를 완료했다.

이 같은 행보는 지난달 26일 교육지원청 신설의 법적 근거가 포함된 ‘지방교육자치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그동안 하남은 미사·위례·감일 등 신도시 개발로 학령인구가 급격히 증가했지만, 광주와 통합된 현행 교육지원청 체계로는 과밀학급 문제에 신속 대응키 어렵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

이에 이현재 하남시장은 민선 8기 핵심 공약으로 ‘하남교육지원청 신설’을 내세우고 교육행정 독립을 통한 지역 맞춤형 교육체계 구축을 추진해 왔다.

이후 이 시장은 민선 8기 1호 결재로 ‘과밀학급 TF팀 구성’에 나섰으며, 2023년 10월 ‘하남교육지원청 분리·신설 지역협의체’ 출범 등 로드맵 구체화에 박차를 가했다.

또한 고교학력향상사업, 명문대 캠퍼스 투어, 고교특성화사업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해 교육 경쟁력 제고에 힘썼다.

이 시장은 “급증하는 교육 수요에도 통합 행정 체계로 맞춤형 대응이 어려웠다”며 “교육지원청 개청은 과밀학급 해소를 비롯한 지역 교육 현안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전환점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행령과 조례 개정, 예산 편성, 조직 구성 등 구체적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명품교육도시 하남’의 브랜드 가치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하남시내 고교는 2025학년도 대학 진학률이 크게 향상돼 주요 10개 대학 245명(서울대·연세대·고려대 69명 포함), 의·약학계열 42명 등 총 287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하남=강영호 기자 yhkang@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