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흥문화원이 최근 1996년 설립 이후 두 번째로 '도덕적 해이' 문제로 논란의 중심에 서며 '책임을 통한 자정여부'가 시험대에 올랐다. 그 한복판에 문화원장이 있다.
문화원 30여 년 역사에서 또다시 원장의 도덕 불감증으로 높은 신뢰를 받아야 할 기관이 눈총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있다. 시흥문화원이 처음 문제를 일으킨 시점은 10여 년 전인 제6대 때이다. 당시 LH가 능곡지구 신도시를 조성하면서 문화원 용지가 사업지구로 수용돼 보상금이 지급됐지만, 문화원이 이를 유용하고 쉬쉬하다 언론 보도로 알려져 원장이 처벌 되는 '오욕의 역사'를 갖고 있다.
문화원은 아픈 과거를 반면교사 삼는 대신 형식만 다를 뿐 비슷한 부조리한 행태를 재발했다. 이번에도 발단의 원인은 무책임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문화원장의 그릇된 인식에서 비롯됐다. 수억 원의 시민 혈세로 특정 사업을 추진하면서 모호한 기준을 만들어 시의회 의장 출신을 임시 채용해 월급 명목으로 수천만 원을 지급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시 위탁 사업인 연성문화제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수년간 원장 본인 소유 홍보물 제작업체에 해당 사업 현수막 제작을 발주해 시민 세금을 가져가는 대담함(?)까지 보여줬다. 규정을 어기고 특정 정당의 간부로 있으면서 첫 임기 4년을 역임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무자격 원장' 지적도 제기됐다. 부도덕의 끝판왕이다.
문화원장 직에서 최초로 문화원 운영과 관련해 사법 처리된 그때 원장은 시의원 출신이고, 현 원장은 자녀가 현직 시의원이다. 지역 문화를 선도하는 중심 역할을 해야 할 문화원장이 직을 활용해 사적 이익과 이해관계를 우선하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산 관리 감독 기관인 시흥시는 개선책을 내놔야 한다.
/김신섭 경기본사 사회2부 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