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시절 인천의 기억, 사진과 AI 영상으로 되살리다”
장군감 아기 뽑던 대회에서 전자오락까지, 그 시절 아이들의 웃음소리
골목길 놀이 대신 오락기에 코 묻은 동전을 넣던 세대의 기억
편집자 주=인천일보는 수십 년간 인천의 변화와 일상을 기록해 왔습니다. 수봉공원과 월미도의 옛 풍경, 아파트 개발 이전의 도시 전경 등은 오늘날의 인천을 비춰주는 소중한 기록입니다.
이번 추석 연휴 인천일보는 그 기록을 사진으로 묶어 독자 여러분께 선보입니다.
1970~1990년대 옛 도시 풍경과 골목에서 뛰놀던 아이들의 해맑은 모습, 선거를 치르던 거리의 풍경, 고향을 향하던 명절 귀성길의 설렘 같은 지난 시절의 정취를 담았습니다.
또한 월미도·송도유원지·수봉공원, 소래포구·연안부두, 동인천역 일대는 물론 영화 촬영지로 사랑받은 배다리 헌책방 거리와 중앙동 개항장까지 아울렀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기획은 단순한 보도 사진에 머물지 않습니다. 창고 속에 잠들어 있던 수십만 장 필름을 스캔해 디지털 아카이브로 남기고, 복원 작업도 함께 진행했습니다. 또 AI 기술로 정지된 한 장면을 영화처럼 살아 움직이는 영상으로 재탄생시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새로운 경험을 준비했습니다.
사진과 영상으로 되살아나는 인천의 옛 모습이 가족과 함께 나누는 추억이자 세대 간 공감의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도화동, 1991
![[그때 그 시절 인천, AI로 되살리다] ⑤ 원통 놀이터에서 오락실까지, 변해온 놀이 풍경](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510/1305347_632546_715.jpg)
“야호~ 우리 동네에 신나는 놀이기구 생겼다”
놀잇감이 된 대형 상수도관
# 인천시청 강당, 1977
![[그때 그 시절 인천, AI로 되살리다] ⑤ 원통 놀이터에서 오락실까지, 변해온 놀이 풍경](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510/1305347_632545_715.jpg)
우량아선발대회는 생후 6개월부터 24개월 미만의 아기들이 참가하는 대회였다.
적당히 배가 나와야 ‘사장님’ 소리를 듣던 시절이라 주로 살집 좋은 아이들이 우량아로 선발되었다.
요즘 시각에서 보면 약간 걱정되는 비만아들이었다. “그놈 참 장군감이네” 이 말을 들으면 요즘 엄마들은 미소를 지을까, 눈을 흘길까.
# 장소 미상, 1985
![[그때 그 시절 인천, AI로 되살리다] ⑤ 원통 놀이터에서 오락실까지, 변해온 놀이 풍경](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510/1305347_632547_715.jpg)
1970년대 말 ‘전자오락’이란 놀이가 시작되었다.
‘블럭 깨기’ ‘인베이더’ 등이 나타나자 구슬과 자치기를 던져 버렸다. 학교 앞 오락실은 빈자리가 없었다.
만화방들은 오락실로 간판을 갈아 달았다. 여기저기서 “뿅뿅” “뿅뿅” 전자오락기는 코 묻은 동전을 먹는 하마였다.
/글 유동현 전 인천시립박물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