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장, 동탄2 초대형 물류센터 사태 강경 대응 방침 밝혀
2027년 하루 차량 1만 5000대 유출입 예측
“용인 반도체 산단 완공시 교통 마비” 주장

“화성시는 초대형 물류센터 건립을 불허하고, 책임 있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권재 오산시장은 19일 오후 1시, 화성시 동탄호수공원에서 열린 집회에서 화성시의 초대형 물류센터 건립 계획을 강하게 규탄하고, 사업 전면 철회를 촉구했다.
이날 집회는 오산·동탄 비상대책위원회 주관으로 추진됐다. 이권재 시장, 이상복 오산시의회 의장, 성길용 부의장, 송진영·조미선·전예슬 시의원, 차지호(민주당) 국회의원 등 정계 인사들과 오산·동탄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해 한목소리로 반대 의사를 밝혔다.
지난 7일 개혁신당 이준석 국회의원(화성 을)과 초대형 물류센터 전면 백지화를 위해 연대하고, 이어 12일에는 물류센터 건립 반대 운동을 전개하는 오산·동탄 비상대책위원회와 간담회를 통해 반대 집회를 성사했다.
문제의 물류센터는 화성시 장지동 1131번지 일원 지하 5층·지상 20층, 총면적 52만 3천957㎡ 규모 초대형 창고다. 축구장 73개 크기로, 서울 코엑스 전시장의 2배에 달하는 대규모 시설이다.
오산시는 시설이 완공될 시점인 2027년에는 인근 도로에 하루 1만 5000대 이상의 차량이 몰릴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인근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까지 가동되면 수도권 남부 교통망이 심각하게 마비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집회 현장에서 이 시장은 “해당 물류센터는 단순한 창고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오산과 동탄 시민 모두의 일상과 안전에 큰 피해를 주는 사안”이라며 “화성시는 주민 의견을 외면한 일방적인 개발행정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오산시는 민선 8기 들어 ▲경부선철도 횡단 도로 개설 ▲동부대로 고속화 ▲경부고속도로 및 제2순환고속도로 IC 신설 등 지역 간 교통망 확충을 위해 화성시에 지속해서 협력을 요청해왔다. 그러나 이번 물류센터 추진 과정은 일방적인 결정이라는 게 오산시의 판단이다.
이 같은 상황은 교통 문제뿐 아니라 오랫동안 갈등을 빚어온 다른 현안에서도 반복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하수·분뇨처리장 추가 신설과 하수 처리비 분담 문제다.
두 도시는 하수처리 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해왔지만, 도시 확장과 인구 증가로 인해 처리 용량과 비용 부담을 둘러싼 갈등이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히 비용 분담 협의는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반복하며 마찰만 커지고 있다.
오산시는 그동안 여러 차례 조정을 요청했으나 화성시가 협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갈등이 장기화했다. 오는 7월 초로 예정된 협상에서 오산시는 해묵은 쟁점을 정리하겠다는 태도다.
이권재 시장은 “명확한 교통 대책도 없이 초대형 물류센터를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책임 없는 행정”이라며 “화성시는 지금이라도 시민 중심의 행정으로 전환해, 해당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오산=공병일 기자 hyusan@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