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 경기 지자체 10곳 접촉
경기도 중심까지 15곳 이상
용인은 서울 제안 불참 결론
도, 수도권 협의서 항의 예정

서울시가 추진하는 '기후동행카드' 사업을 인접한 경기지역 시·군뿐만 아니라 용인시 등까지 확대하려 하자 경기도가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도는 이달 말쯤 열리는 수도권 교통 실무협의체에서 서울시에 정식 항의할 방침이다.
19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시는 지난달 말부터 인접 지자체를 흡수하는 '메가시티' 정책과 함께 기후동행카드 사업 확대를 추진했다. 기후동행카드 사업은 월 6만원대로 지역에 있는 지하철 등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공공자전거인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게 골자다. 기후동행카드에 광역버스는 제외되면서 서울지역에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에 맞춘 게 특징이다.
서울시의 사업 확대 시도는 오세훈 시장과 같은 정당 소속으로 국민의힘 단체장이 있는 인접 시·군과 광역버스를 이용해 출퇴근 이동 인구가 많은 시·군 대상으로 이뤄졌다. 지난 19일 서울시와 업무협약을 맺은 김포시도 그중 한 지역이다.
현재 서울과 인접한 국민의힘 단체장이 있는 지역은 김포시를 비롯해 고양·양주·의정부·남양주·구리·하남·성남·과천시 등 9개다. 여기에 출퇴근 이동 인구가 많은 시·군은 광주·용인·의왕·군포시 등이 있다.
실제 서울시는 같은 달 용인시에 기후동행카드 사업 참여를 제안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사업에 참여한다면 어느 정도 예산이 드는지를 검토했는데 최소 80억원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가 사업 취지를 설명하면서 참여 제안을 해 간단하게 사업비를 검토했는데 기본 단가 자체가 너무 다른 탓에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제안받은 인접 시·군이 10개 안팎으로 보고 있는데 중심 지역까지 제안한 경우를 고려하면 15개 이상일 것으로 예측했다.
도는 지난 13일 시·군 관계부서와의 경기패스 사업 관련 회의에서 이 사안을 언급했다. 도는 당시 시·군들의 기후동행카드 사업 참여는 자율이긴 하지만 예산이 많이 들어가기에 도민 편의가 저해돼선 안 된다는 취지의 의견을 냈다.
도는 이달 말쯤 열리는 수도권 교통 실무협의체에서도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 사업 확대를 항의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경기지역 시·군이 기후동행카드 사업에 참여하려면 시스템 유지비 등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어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다”며 “정책적으로 접근하는 게 아니라 정치적으로 접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이어 “실무협의체에서 기후동행카드 사업 등을 얘기하는 방안을 실무선에서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후동행카드 사업 확대를 위해 시·군들과) 계속 협의 중에 있는데 조만간 수도권 국장 간 회의에서도 얘기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단계에서 논의가 어느 정도 진행됐는지 또 언제 발표할진 얘기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최인규 기자 choiinkou@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