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개항(1883년) 이후 인천엔 조선 팔도인들이 몰려들었다. 그만큼 먹고살기 위한 직업을 찾기 쉬워서였다. 너도나도 인천에 와서 한몫을 잡으려는 의지도 작용했으리라. 외국 문물이 물밀듯 들어오고, 각종 공장과 업소 등이 즐비한 덕분에 각지 사람을 엄청나게 끌어모은 곳이 인천이다. 본토박이보다 외지인들이 훨씬 많이 살았던 이유다.

한국전쟁을 겪은 후엔 수많은 이북 피란민이 인천에서 자리를 잡았다. 북한과 가까워서인지 언젠가 빨리 고향 땅을 밟을 수 있다는 열망에서였다. 그런가 하면 한동안 육로보다 뱃길이 더 잘 발달된 덕에 수많은 충청인이 배를 타고 인천에 둥지를 틀기도 했다. 대도시 인천은 이들을 먹여 살리기에 충분한 공급처 구실을 해왔다. 타향살이 2∼3세들은 인천에서 낳고 자라 인천을 고향으로 삼았다.

고향 인천을 떠난 이도 많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조사 결과, 오늘날 인천에서 태어나 다른 지자체에 거주하는 사람은 68만여명에 이른다. 반면 2020년 기준 인천에 사는 타 지역 출신은 169만여명으로 추산된다. 인천 전체 인구수의 절반이 훨씬 넘는 수치다. 다른 지역에서 인천으로 넘어와 삶을 꾸리는 이들이 여전한 셈이다. 이런 연유로 다른 데보다 인천엔 애향심이 부족하다는 얘기도 들린다. 하지만 인천이 타 지역보다 덜 배타적이어서 살기 편하다는 말과 일맥상통하지 않는가.

행정안전부가 새해 1월부터 '고향사랑기부제'를 운영한다. '고향사랑e음'은 개별적으로 주소지 이외 지자체에 기부하면, 지자체는 이를 모아 주민복리에 사용하는 제도다. 기부금 한도는 개인당 연간 500만원. 주민등록상 거주지를 제외한 모든 지자체에 기부할 수 있다. 기부액 10만원 이하는 100% 세액공제 가능하며, 10만원을 초과하면 16.5%를 공제받을 수 있다.

인천시가 고향사랑기부금제를 둘러싸고 고심한다는 소식이다. 타향민이 많은 지역 특성상 특산품 홍보와 기금 활성화 등의 장점보다는 세액공제 혜택에 따른 지방소득세 감소 가능성이 큰 탓이다. 다른 지자체에 기부금을 내고 세액공제를 받으면, 인천에서 거둬들이는 세수는 되레 줄어든다고 한다. 시는 이와 관련해 환승률이 높은 경인선 부평역 등지에 '제2의 고향 인천'을 알리는 광고에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전국에 퍼져 있는 '인천 향우회'를 토대로 고향사랑e음 홍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바다는 어떠한 물도 받아들인다. 모든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포용한다. 인천은 이처럼 '해불양수(海不讓水)'를 상징하는 도시다. 고향사랑e음이 소통의 역할을 하는 다리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 그래서 모든 시민이 화합해 힘차게 나아갔으면 싶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세 밑에 서서 “시시비비도불관(是是非非都不關) 산산수수임자한(山山水水任自閑) 막문서천안양국(莫問西天安養國) 백운단처유청산(白雲斷處有靑山) - 옳거니 그르거니 상관하지 말아라.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 두라. 서쪽 하늘에 극락이 있냐고 묻지 말라. 흰 구름 걷힌 곳에 청산이 있을지니.”문득 임제(臨濟) 선사(?~867)의 시가 생각나는 연말이다. “머무는 곳마다 주인이 되어라. 그러면 서 있는 곳이 모두 참되리라.(隨處作主 立處皆眞-수처작주 입처개진)”란 어록으로 유명한 당 시대 고승이다.어김없이 한 해가 저문다. 올해는 또 무슨 시비를 하며 끓탕 [썰물밀물] 하와이 교민들의 '인천 사랑' 인천은 세계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관문도시다. 인천국제공항은 오늘도 세계 곳곳의 인종을 싣고 내리면서 명실공히 우리나라의 '얼굴'로 자리잡았다. 인천은 그만큼 다양한 민족과 교포 등을 수용하면서 더 큰 도시로 나아가려고 힘을 쏟고 있다. 그런 생각과 의지를 품은 지는 아주 오래됐다. 이젠 제물포에서 출발(1902년 12월22일)한 한인 최초 이민단의 후손을 비롯해 각국에서 오가는 이들을 포용하는 곳으로 성장을 거듭한다.인천시는 인천을 통해 세계로 퍼져나간 교민들을 하나로 잇는 '재외동포청 유치'를 추진 [썰물밀물] '빛의 도시' 인천을 새롭게 어둠은 빛을 이기지 못한다. 밝아오는 아침은 우리에게 희망을 얘기한다. “닭 목아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오고야 만다”는 말이 있듯, 찬란하게 비출 여명은 어둠을 뚫고 나오는 미래다. 빛은 어두운 곳을 밝히므로 광명(光明)을 상징하기도 한다. 칠흑 같은 암울함에서 벗어나게 하는 빛은 홀로 처연하기까지 하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를 드리우지만, 어둠은 곧 사그러들기 마련이다.요즘엔 인위적으로 전기를 얻어 어두운 밤에도 빛을 밝힌다. 그 덕분에 우리는 밤에도 자유롭게 나다니면서 갖가지 활동을 벌인다. 그렇게 된 데엔 불과 한세기도 걸리지 않 [썰물밀물] '인천관광 6선'을 가다 '한국관광 100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한국인으로서 꼭 가봐야 할 우수 관광지 100곳을 2년에 한 번씩 선정해 홍보하는 사업이다. 주요 도시의 관광 명소부터 자연과 어우러지는 관광지까지 뛰어난 국내 관광지를 대내외에 소개한다. 올해 여섯 번째(2023∼2004년)를 맞는다. 12월 선정을 앞두고 자치단체마다 큰 기대를 한다.인천에선 올해 백령도·대청도를 비롯해 차이나타운·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송도 센트럴파크·송월동 동화마을 등 6곳이 이름을 올렸다. '인천관광 6선'인 셈이다. 이번엔 서해 최북단 섬 [썰물밀물] 한국전쟁 속 인천 여성의 삶은? 인천지역 여성들은 3·1운동 이후부터 민족연대 의식을 갖고 사회 참여에 눈을 떴다고 알려진다. 그들은 단체를 결성해 신사상을 받아들이고 경제적 권리를 획득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 1921년 내리교회에 인천여자엡청년회가 조직돼 선교·사회봉사 등을 펼쳤고, 1925년엔 인천여자청년학술연구회가 창립돼 가난한 아동을 무보수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들 단체는 소비절약·물산장려·여자교육 필요성 등에 힘을 쏟았다. 1927년엔 민족역량 집결이란 기치 아래, 인천 출신 여성들을 중심으로 청년운동 단체인 근우회(槿友會)를 만들었다.여기에 쌀을 일본 [썰물밀물] 부평 미쓰비시 줄사택 보존을 환영하며 부평구 부평2동엔 미쓰비시(三菱) 줄사택이 있다. 일제 강점기 징용 노동자가 사용하던 곳이다. 일제의 군수물자 공장인 미쓰비시 제강 인천제작소 노동자 1000여명이 거주했던 공장 합숙소다. 당시 강제 동원된 조선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 평가를 받는다. 1938년 만들었고 4년 뒤 미쓰비시 제강이 인수했는데, 집이 줄지어 있다고 해서 줄사택이라고 불렀다. 한때 16개동이 들어서 나름 북적거렸지만, 하나 둘 철거돼 지금은 6동만 남았다. 1동은 집 10여채로 이뤄진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미쓰비시의 강제동원 현 [썰물밀물] 인천 개항 140년 올해로 인천 개항 140주년을 맞았다. 1883년 1월 제물포를 개방한 지 한세기를 훌쩍 넘어 오늘에 이른다. 인천항은 1918년 갑문을 설치한 내항을 완성하는 등 시설을 확장하면서 발전을 거듭했다. 제물포는 개항 후 외국 무역선 왕래 항만으로 자리를 잡았다. 비록 일제가 벌인 강제 개항이었어도, 물밀듯 들어오는 서양 문물과 함께 대도시로 가는 물꼬를 텄다. 그야말로 '지각변동'을 경험한 인천이었다. 인천 개항은 부산(1876년)과 원산(1880년)보다는 늦었지만, 개항의 영향은 지대했다.인천항을 통해 쏟아져 들어온 [썰물밀물] 인천과 지진 지진(地震)은 정말 무섭다. 두려움의 대상이다. 많은 희생자를 내며 재앙으로 일컬어지는 지진의 역사는 길다. 역대 최악은 1556년 중국 산시성 대지진으로, 83만여명이 희생됐다고 알려진다. 일본에서도 1923년 9월1일 간토 대지진 때 13만여명이 숨졌다. 그 무렵 일본은 유언비어를 퍼뜨려 무고한 조선인을 마구잡이로 학살(6600여명)했다. 지금도 우리에겐 가슴 아픈 사건으로 기억된다. 2011년 3월 일본 동북부 지방에선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해 2만여명의 목숨을 앗아갔다.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한반도는 그동 [썰물밀물] 강화 볼음도의 매력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는 보름달의 발음을 따서 불리는 곳이다. 300명 남짓한 주민이 살고 있는 볼음도는 강화도 서쪽으로 7㎞, 황해도 연백군과 5.5㎞ 떨어진 서해 최북단에 위치한다. 강화 외포리에서 여객선으로 1시간 이상 걸린다. 하늘·바다·땅 모두 청정 지역이며, 무공해 천혜의 고장이다. 조선 인조 때 명나라로 가던 임경업 장군이 풍랑을 만나 여기에 체류하던 중 보름달을 보았다고 해서 한참동안 만월도(滿月島)라고 했다. 섬 북쪽에 봉화산(83m), 서쪽에 요옥산(103m)이 자리를 잡고 있다.대부분의 볼음도 주민은 농업에 종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