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인천지역 여성들은 3·1운동 이후부터 민족연대 의식을 갖고 사회 참여에 눈을 떴다고 알려진다. 그들은 단체를 결성해 신사상을 받아들이고 경제적 권리를 획득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 1921년 내리교회에 인천여자엡청년회가 조직돼 선교·사회봉사 등을 펼쳤고, 1925년엔 인천여자청년학술연구회가 창립돼 가난한 아동을 무보수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들 단체는 소비절약·물산장려·여자교육 필요성 등에 힘을 쏟았다. 1927년엔 민족역량 집결이란 기치 아래, 인천 출신 여성들을 중심으로 청년운동 단체인 근우회(槿友會)를 만들었다.

여기에 쌀을 일본으로 반출하던 인천항 주위엔 정미소가 수두룩했는데, 정미소 여성 노동자의 노동쟁의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그 즈음엔 성냥공장도 많았다. 1926년 4월 금곡리(현 동구 금곡동) 조선인촌주식회사에선 임금인하에 반발하는 파업이 한달여 계속됐다. 단순한 임금투쟁이 아니라, 일본인 감독의 성적 희롱을 항의했다는 점에서 여성 권리의식 신장 운동으로 평가된다. 이런 지역 여성들의 활동은 해방 이후 더욱 활발했지만, 이어 터진 한국전쟁은 이를 가로막았다. 전쟁엔 대부분 남성들이 가담하고, 여성들은 가족을 뒷바라지하느라 애를 썼다. 이 와중에서도 여성들은 숱한 인명과 재산을 앗아가는 전쟁을 반대하면서 평화 운동을 벌였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인천에선 한국전쟁으로 인한 여성 중 자력으로 생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이들과 그 가족을 구호하려는 시설로 1958년 다비다·마르다모자원이 설립됐다. 주로 한국전쟁 관련 극빈층 여성과 그들의 13세 이하 자녀들을 수용했다. 시 당국의 저소득 모자세대 보호사업은 특히 직할시로 승격된 1980년대 이후부터 적극적으로 이뤄졌다.

한국전쟁 속 인천지역 여성들의 삶을 풀어낸 책이 나와 눈길을 끈다. 월미도 원주민, 인천여학생의용대원, 구월산유격부대원, 강화도 주민, 월남한 전화교환원 등 한국전쟁을 경험한 여성 5인의 삶을 조명한 내용이다. 전쟁 당시 10대였던 이들이 이제 90대 고령층이어서 채록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 작업을 시작했다는 게 인천여성가족재단의 설명이다. 이들 어르신은 면담자와 2∼3차례 만남을 통해 전쟁 중 생활을 가감없이 풀어냈다. 이들은 각자 식모·뜨개질·구멍가게·공장노동·하숙치기 등을 하며 가족을 부양했다고 언급했다.

재단은 2026년까지 인천 여성 구술 채록서를 발간하려고 한다. 내년엔 '인천지역 공단과 공장노동'을 주제로 작업할 예정이다. 지역에서 삶을 면면히 일궈낸 평범한 여성의 경험을 기록하는 일은 큰 의미를 지닌다. 지역 여성 삶의 특징을 드러내는 책들이 후세에 길이 남아 한획을 긋기를 바란다.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빛의 도시' 인천을 새롭게 어둠은 빛을 이기지 못한다. 밝아오는 아침은 우리에게 희망을 얘기한다. “닭 목아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오고야 만다”는 말이 있듯, 찬란하게 비출 여명은 어둠을 뚫고 나오는 미래다. 빛은 어두운 곳을 밝히므로 광명(光明)을 상징하기도 한다. 칠흑 같은 암울함에서 벗어나게 하는 빛은 홀로 처연하기까지 하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를 드리우지만, 어둠은 곧 사그러들기 마련이다.요즘엔 인위적으로 전기를 얻어 어두운 밤에도 빛을 밝힌다. 그 덕분에 우리는 밤에도 자유롭게 나다니면서 갖가지 활동을 벌인다. 그렇게 된 데엔 불과 한세기도 걸리지 않 [썰물밀물] 하와이 교민들의 '인천 사랑' 인천은 세계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관문도시다. 인천국제공항은 오늘도 세계 곳곳의 인종을 싣고 내리면서 명실공히 우리나라의 '얼굴'로 자리잡았다. 인천은 그만큼 다양한 민족과 교포 등을 수용하면서 더 큰 도시로 나아가려고 힘을 쏟고 있다. 그런 생각과 의지를 품은 지는 아주 오래됐다. 이젠 제물포에서 출발(1902년 12월22일)한 한인 최초 이민단의 후손을 비롯해 각국에서 오가는 이들을 포용하는 곳으로 성장을 거듭한다.인천시는 인천을 통해 세계로 퍼져나간 교민들을 하나로 잇는 '재외동포청 유치'를 추진 [썰물밀물] 세 밑에 서서 “시시비비도불관(是是非非都不關) 산산수수임자한(山山水水任自閑) 막문서천안양국(莫問西天安養國) 백운단처유청산(白雲斷處有靑山) - 옳거니 그르거니 상관하지 말아라.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 두라. 서쪽 하늘에 극락이 있냐고 묻지 말라. 흰 구름 걷힌 곳에 청산이 있을지니.”문득 임제(臨濟) 선사(?~867)의 시가 생각나는 연말이다. “머무는 곳마다 주인이 되어라. 그러면 서 있는 곳이 모두 참되리라.(隨處作主 立處皆眞-수처작주 입처개진)”란 어록으로 유명한 당 시대 고승이다.어김없이 한 해가 저문다. 올해는 또 무슨 시비를 하며 끓탕 [썰물밀물] 새해부터 '내 고향 인천'을 잇다 개항(1883년) 이후 인천엔 조선 팔도인들이 몰려들었다. 그만큼 먹고살기 위한 직업을 찾기 쉬워서였다. 너도나도 인천에 와서 한몫을 잡으려는 의지도 작용했으리라. 외국 문물이 물밀듯 들어오고, 각종 공장과 업소 등이 즐비한 덕분에 각지 사람을 엄청나게 끌어모은 곳이 인천이다. 본토박이보다 외지인들이 훨씬 많이 살았던 이유다.한국전쟁을 겪은 후엔 수많은 이북 피란민이 인천에서 자리를 잡았다. 북한과 가까워서인지 언젠가 빨리 고향 땅을 밟을 수 있다는 열망에서였다. 그런가 하면 한동안 육로보다 뱃길이 더 잘 발달된 덕에 수많은 충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