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한국관광 100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한국인으로서 꼭 가봐야 할 우수 관광지 100곳을 2년에 한 번씩 선정해 홍보하는 사업이다. 주요 도시의 관광 명소부터 자연과 어우러지는 관광지까지 뛰어난 국내 관광지를 대내외에 소개한다. 올해 여섯 번째(2023∼2004년)를 맞는다. 12월 선정을 앞두고 자치단체마다 큰 기대를 한다.

인천에선 올해 백령도·대청도를 비롯해 차이나타운·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송도 센트럴파크·송월동 동화마을 등 6곳이 이름을 올렸다. '인천관광 6선'인 셈이다. 이번엔 서해 최북단 섬인 백령도와 대청도가 함께 선정돼 관심을 모은다. 한국인이라면 꼭 한번 가볼 만한 인천의 관광지를 살펴보자.

따오기가 흰 날개를 펼치고 나는 모습처럼 생겼다는 백령도(白翎島).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이다. 백령도엔 세계에서 두 곳밖에 없다는 천연비행장(사곶해수욕장)이 있어 눈길을 끈다. 바닷물이 빠지면 비행기가 착륙할 수 있을 정도다. 백령도는 고전소설 심청전의 무대로 알려져 있는데, 진촌리에 심청각을 설치해 효심을 널리 알린다. 두무진은 장엄한 해안절벽과 기암괴석으로 유명하다. 해안선을 따라 형제·코끼리·장군바위 등 기암괴석이 즐비하다. 대청도는 청정해역과 천혜의 관광자원을 보유한 섬이다. 일부 주민은 논·밭농사를 짓지만, 대부분은 어업에 종사하는 전형적 어촌이다. 요즘도 홍어잡이가 큰 성황을 이룰 만큼 수산물이 풍부하다.

차이나타운은 인천항 개항(1883년)과 더불어 이듬해 개항장을 치외법권 지역으로 지정하면서 생겨났다. 지금은 거의 중국 음식점으로 성업 중인데, 국내 처음으로 짜장면을 만든 거리여서인지 '중국의 맛'을 고수한다.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는 문화·산업·종교 등 숨겨진 강화의 역사를 한눈에 보여준다. 한국 근대사와 연결돼 의미를 더한다. 심도직물(터)·대한성공회 강화성당·700여살 은행나무·소창체험관 등 이야기를 풍성하게 하는 관광지가 수두룩하다. 송도 센트럴파크는 '미래 도시'의 상징이다. 바다를 메워 만든 송도에 국제도시란 옷을 입힌 곳이다. 문화와 예술을 느끼고 경험하는 도시의 미래를 꿈꾼다. 송월동의 경우 인천항 개항 후 외국인들이 거주하면서 부촌을 형성했지만, 수십년 전부터 젊은 사람들이 떠나 활기를 잃었다. 이런 동네 주거환경을 개선하려고 꽃길을 만들고 세계명작 동화를 테마로 담벼락에 색칠을 해서 동화마을로 변신했다. 인천시는 이번에 선정된 관광지를 연계해 경쟁력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해야 할 듯싶다. 여기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로 국내외 관광객을 적극 유치해야 한다. 가뜩이나 인천관광에 '회의적'이란 얘기들을 잠재워야 할 필요가 있다.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빛의 도시' 인천을 새롭게 어둠은 빛을 이기지 못한다. 밝아오는 아침은 우리에게 희망을 얘기한다. “닭 목아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오고야 만다”는 말이 있듯, 찬란하게 비출 여명은 어둠을 뚫고 나오는 미래다. 빛은 어두운 곳을 밝히므로 광명(光明)을 상징하기도 한다. 칠흑 같은 암울함에서 벗어나게 하는 빛은 홀로 처연하기까지 하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를 드리우지만, 어둠은 곧 사그러들기 마련이다.요즘엔 인위적으로 전기를 얻어 어두운 밤에도 빛을 밝힌다. 그 덕분에 우리는 밤에도 자유롭게 나다니면서 갖가지 활동을 벌인다. 그렇게 된 데엔 불과 한세기도 걸리지 않 [썰물밀물] 하와이 교민들의 '인천 사랑' 인천은 세계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관문도시다. 인천국제공항은 오늘도 세계 곳곳의 인종을 싣고 내리면서 명실공히 우리나라의 '얼굴'로 자리잡았다. 인천은 그만큼 다양한 민족과 교포 등을 수용하면서 더 큰 도시로 나아가려고 힘을 쏟고 있다. 그런 생각과 의지를 품은 지는 아주 오래됐다. 이젠 제물포에서 출발(1902년 12월22일)한 한인 최초 이민단의 후손을 비롯해 각국에서 오가는 이들을 포용하는 곳으로 성장을 거듭한다.인천시는 인천을 통해 세계로 퍼져나간 교민들을 하나로 잇는 '재외동포청 유치'를 추진 [썰물밀물] 세 밑에 서서 “시시비비도불관(是是非非都不關) 산산수수임자한(山山水水任自閑) 막문서천안양국(莫問西天安養國) 백운단처유청산(白雲斷處有靑山) - 옳거니 그르거니 상관하지 말아라.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 두라. 서쪽 하늘에 극락이 있냐고 묻지 말라. 흰 구름 걷힌 곳에 청산이 있을지니.”문득 임제(臨濟) 선사(?~867)의 시가 생각나는 연말이다. “머무는 곳마다 주인이 되어라. 그러면 서 있는 곳이 모두 참되리라.(隨處作主 立處皆眞-수처작주 입처개진)”란 어록으로 유명한 당 시대 고승이다.어김없이 한 해가 저문다. 올해는 또 무슨 시비를 하며 끓탕 [썰물밀물] 새해부터 '내 고향 인천'을 잇다 개항(1883년) 이후 인천엔 조선 팔도인들이 몰려들었다. 그만큼 먹고살기 위한 직업을 찾기 쉬워서였다. 너도나도 인천에 와서 한몫을 잡으려는 의지도 작용했으리라. 외국 문물이 물밀듯 들어오고, 각종 공장과 업소 등이 즐비한 덕분에 각지 사람을 엄청나게 끌어모은 곳이 인천이다. 본토박이보다 외지인들이 훨씬 많이 살았던 이유다.한국전쟁을 겪은 후엔 수많은 이북 피란민이 인천에서 자리를 잡았다. 북한과 가까워서인지 언젠가 빨리 고향 땅을 밟을 수 있다는 열망에서였다. 그런가 하면 한동안 육로보다 뱃길이 더 잘 발달된 덕에 수많은 충청인 [썰물밀물] 부평 미쓰비시 줄사택 보존을 환영하며 부평구 부평2동엔 미쓰비시(三菱) 줄사택이 있다. 일제 강점기 징용 노동자가 사용하던 곳이다. 일제의 군수물자 공장인 미쓰비시 제강 인천제작소 노동자 1000여명이 거주했던 공장 합숙소다. 당시 강제 동원된 조선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 평가를 받는다. 1938년 만들었고 4년 뒤 미쓰비시 제강이 인수했는데, 집이 줄지어 있다고 해서 줄사택이라고 불렀다. 한때 16개동이 들어서 나름 북적거렸지만, 하나 둘 철거돼 지금은 6동만 남았다. 1동은 집 10여채로 이뤄진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미쓰비시의 강제동원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