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인천지역 향토·생활사를 기록한 저서로 고일의 '인천석금(昔今)', 최성연의 '개항(開港)과 양관역정(洋館歷程)', 신태범의 '인천 한세기' 등이 주로 꼽힌다. 이들 책은 많은 시민에게 인천의 이해를 돕는 기폭제 구실을 했다. 아울러 인천의 지역사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겐 새로운 지식을 쌓게 하는 디딤돌 역할을 했다. 최근 향토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 저서들은 인천의 보배인 셈이다.

'인천석금'과 '인천 한세기'는 그동안 언론과 책자 등에서 인용·보도되면서 그 가치를 널리 알렸다. 개항(1883년) 후 인천의 생활상을 알려면 이들은 필독서와 다름 없었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상황에서, 역사적 관점을 갖고 무던히 애를 썼다는 점이 눈여겨 볼 대목이다. 근대 한국의 축소판으로 알려진 인천에서, 직접 체험한 글들은 만나는 일은 귀중하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개항과 양관역정'은 별로 이목을 끌지 못했다. 한자와 고어가 섞인 글을 일반 시민들이 읽기엔 부담스러운 탓이었다. 해반문화사랑회에서 2002년 현대어로 다듬는 윤문작업을 거쳐 다시 펴내긴 했어도, 여전히 열독엔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이 책은 인천 향토사료로 높은 가치를 띤다. 일일이 서양식 건물을 찾아다니며 사진을 찍고 도면을 구해 남다르다. 인천 개항 후 사진과 함께 지역 건축물을 상세히 설명한 저서론 '개항과 양관역정'이 유일하다. 지역 건축학도들이 꼭 읽어야 하는 사료란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처럼 인천인들에게 소중한 이 책을 재인식할 기회가 생겨 관심을 모은다. 동구 아벨서점은 오는 28일까지 '한 권의 책 개항과 양관역정'을 전시한다. 책을 만든 시대와 이유, 장정과 활자, 사진 자료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1959년 7월 발행한 소안(素眼) 최성연(1914∼2000년)의 저서는 개항 이후 1950년까지 인천의 서양식 건물과 약사를 서술했다. 1부에선 인천 개항과 그 발전 경로, 2부에선 화도진과 개항사를 소개한 뒤 3부에선 인천항 일대 근대 건축물을 40여종으로 분류했다. 국내 최초 서양식 건물인 독일회사 세창양행 직원 사택을 비롯해 대불호텔, 제물포구락부, 홍예문, 미국 초대 공사 앨런 박사 저택, 각국 영사관, 우체사와 전보사 등이 올라 있다.

중구 율목동에서 태어난 소안은 1955년 동아일보사 현상 문예공모에 '핏자국'으로 당선돼 등단했다. 인천시사를 편찬하는 등 향토사학자로도 활동한 그의 첫 시조집 '은어'의 경우 검여 유희강이 제목을 쓰고, 천경자 화백이 그림을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인천과 한국적인 문물을 깊이 있게 묘사한 이 책을 일독하길 권한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만수산 무장애 나눔길이 좋다 전 세계 인구의 15% 가량이 장애를 안고 살아간다. 국내 장애 인구는 6% 정도이며, 여기에 노인이 15% 이상을 차지한다. 전체 인구의 20%를 훌쩍 넘는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정책적 배려는 그래서 빼놓을 수 없다. 장애·노인이 전 지구적으로 많아지면서 관광분야에서도 이들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고객으로 통한다.한국관광공사가 관광진흥법을 내세워 '무장애 관광지'를 개발하는 일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지난해까지 100곳을 무장애 관광지로 탈바꿈시켰다. 무장애 관광이란 누구나 자유롭게 여행하는 일이다. 독립성·공평성 [썰물밀물] 창영초교의 역사성과 장소성 창영초등학교 개교일은 1907년으로 되어 있지만, 잘못됐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승정원일기를 비롯해 각 칙령, 독립신문 등에 따르면 인천 최초로 소학교(현 초등학교)가 세워진 때는 189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95년 7월19일 공포된 소학교령(칙령145호)엔 '인천부공립소학교' 설치를 발표했고, 이듬해 9월22일자 독립신문에도 같은 내용이 실렸다.창영초교 개교의 오류는 1933년 일본인이 발행한 '인천부사'(1883∼1933년)에서 비롯됐다고 알려진다. 여기엔 창영초교와 관련해 “1907 [썰물밀물] 전국 '제2 도시' 앞둔 인천의 과제 인천은 1981년 7월1일 경기도로부터 독립했다. 직할시로 승격해 독자적으로 행정·재정 등을 운영했다. 인천시민들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강화한 계기였다. 도시 발전을 거듭한 인천은 공항·항만·산단·경제자유구역 등을 아우르며 국내 산업화와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해 왔다. 5·3 인천 민주항쟁과 노동운동 등을 벌이며 민주화를 이끈 도시로도 한몫을 톡톡히 했다.이런 거침 없는 발전 속에서 인천은 이제 전국 '제2 도시'를 앞두고 채비를 서두른다. 2035년쯤이면 인구가 부산시를 앞지른다는 예상이 발빠른 행보를 보이게 한다. [썰물밀물] 대중 목욕탕의 기억 '목욕 문화'는 인류 문명 초창기부터 함께했다고 전해진다. 고대 그리스에선 기원전 4세기쯤 공중 목욕탕 성행 기록이 보인다. 주로 냇가나 강에서 목욕을 하던 고대 로마인들은 이를 보고 시설을 개선해 전국으로 확산시켰다고 한다. 전성기 로마 제국 목욕탕엔 마사지는 물론 식당·운동·상점 등 각종 편의시설을 갖췄다고 알려진다.우리나라에서 목욕은 몸과 마음을 씻는 개념으로 자리를 잡았다고 여겨진다. 불교 영향의 하나이지 싶다. 경주 안압지에선 신라시대 목욕탕 터가 발견돼 주목을 받기도 했다. 조선시대엔 왕실이나 민간에서 온천 [썰물밀물] 인천지역 봉수대의 기억 학창시절 단골 소풍 장소였던 문학산은 한동안 '배꼽산'으로 불렸다. 멀리서 보면 정상에 마치 배꼽이 솟아난 듯해 그리 지칭했다. 그 배꼽은 산 꼭대기에 자리했던 봉수대(烽燧臺)였다. 이 봉수대는 한국전쟁 후 미군부대 주둔으로 파괴돼 영영 사라지고 말았다. 문학산 정상부는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50여년 동안 일반인 출입을 전면통제했다. 그러다가 2015년 10월15일 인천시-국방부 간 협약을 통해 시민 출입을 허용했다.봉수대는 조선시대 말까지 사용됐던 통신수단이다. 낮엔 연기를, 밤엔 불빛을 이용해 정보를 먼 곳까지 [썰물밀물] '인천우체국 100년'의 과제 인천우체국(중구 제물량로)이 올해로 건립된 지 100년을 맞았다. 일제 강점기인 1923년 12월 세워진 우체국은 그 때는 '인천우편국'으로 불렸다. 석조 건물 형태로 지은 국내 최초의 우체국으로 유명하다. 상징성은 물론 근대 건축양식 보존이란 측면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인천시가 1982년 이 건물을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한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다.인천우편국은 당시 행정관청치곤 아주 큰 규모였다고 한다. 유행을 타던 서양식을 따라 일본식을 섞은 절충주의 양식으로 지었다. 화강암을 거칠게 다듬어 기단으로 [썰물밀물] 흔들리는 부평구 위상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시내에서 택시를 타고 부평 쪽으로 가려 하면, 웃돈을 줘야 했다. 기사들이 부평으로 넘어가는 길을 꺼려해서다. 시내에서 택시운전을 하는 이들은 부평을 '인천 이외 지역'이라고 인식했다. 부평은 같은 인천이면서도 뭔가 다르다는 생각을 한 듯하다. 아울러 대부분의 인천인은 출신을 물으면 “인천”이라고 말하는 반면, 부평 주민들은 “부평에서 왔다”고 답하기도 한다. 부평이란 인지도를 내세우며 자존감을 표하는 경향으로 해석된다.이처럼 주민들이 자랑스러워하는 부평의 역사를 한번 보자.이 지역엔 조선시 [썰물밀물] 국내 첫 천일염전의 변천사 어릴 적 주안염전은 놀이터와 다름 없었다. 여름이 다가오면, 염전 저수지에서 망둥어 낚시도 하고 수영도 즐겼다. 4·6·7구로 불리던 저수지는 바닷물을 가둔 뒤 수차를 이용해 소금밭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했다. 때론 곳곳의 창고로 소금을 나르려고 설치한 레일 위 '소금차'를 훔쳐 타고 즐거워했던 감회가 새롭다. 당시엔 현 동암역 부근까지 바닷물이 드나들며 드넓은 염전을 형성했다. 비교적 수심이 얕았던 4구 저수지엔 여름마다 더위를 식히려는 인파로 북적였다. 바둑판 모양으로 펼쳐져 있던 너른 소금밭의 기억이 새삼 떠오른 [썰물밀물] 창단 20년 인천유나이티드의 '비상' 프로축구 인천 유나이티드는 창단 후 늘 하위권을 맴돌아 지역 팬들에게 아쉬움을 남겼다. 시민들의 바람을 담아 창단했지만, 시민 구단의 장밋빛 미래는 험난하기만 했다. '생존왕'이나 '잔류왕'이란 별명이 붙을 정도로 팀 성적이 지지부진해 팬들을 실망시켰다. 그래도 2022시즌 정규리그에선 4위로 올라서고 2023 아시아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둬 그나마 팬들에게 체면치레를 했다.그 진출기는 다큐멘터리 영화 '비상2022:피치 위에서'에 잘 드러난다. 시즌 중 주축 공격수 이탈과 부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