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어릴 적 주안염전은 놀이터와 다름 없었다. 여름이 다가오면, 염전 저수지에서 망둥어 낚시도 하고 수영도 즐겼다. 4·6·7구로 불리던 저수지는 바닷물을 가둔 뒤 수차를 이용해 소금밭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했다. 때론 곳곳의 창고로 소금을 나르려고 설치한 레일 위 '소금차'를 훔쳐 타고 즐거워했던 감회가 새롭다. 당시엔 현 동암역 부근까지 바닷물이 드나들며 드넓은 염전을 형성했다. 비교적 수심이 얕았던 4구 저수지엔 여름마다 더위를 식히려는 인파로 북적였다. 바둑판 모양으로 펼쳐져 있던 너른 소금밭의 기억이 새삼 떠오른다.

주안염전은 국내 최초의 근대식 천일염전이다. 기록에 따르면 1907년 통감부에서 일본인 제출 보고서를 토대로 주안 간석지에 시험염전을 만든 뒤 1912년부터 대규모로 염전지대를 조성했다. 주안이 지형·지질·기후 등 천일염을 생산하는 데 골고루 여건을 갖춰서였다고 한다. 그 때부터 주안역 뒤 일대엔 염부를 비롯해 소금생산·관리 등을 맡은 이들을 위해 일본식 목조주택이 잇따라 들어서 1970년대까지 그 형태를 유지했다. 주안염전과 일대 풍경은 1960년대 후반 경인고속도로 개통과 공단 조성 전까지 지속됐다.

인천지역 천일염전은 1960년대만 해도 초·중학교 교과서에 실릴 만큼, 그 수나 양에서 엄청났다. 흔히 타 지역 사람들이 인천인에 대해 "짠물"이라고 부르는 속칭도 여기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다. 인천인들이 인색해서가 아니라, 소금과의 연상작용에서 나왔다고 보인다. 염전이 가장 많았던 곳은 지금의 주안 5·6공단 자리다. 여기에 남동·군자염전 등이 추가되면서 인천은 마치 '소금의 대명사'처럼 여겨졌다. 인천이 전국 소금 생산량의 70% 가량을 차지했다니, 규모를 짐작케 한다. 일제 강점기 일본은 질 좋은 천일염을 수탈하려는 목적으로 수인선을 개통하기도 했다.

미추홀구가 이렇게 국내 첫 천일염전이 있던 주안5동에 염전골마을박물관을 조성하기로 해 관심을 모은다. 미추홀구는 신축 공사 중인 주안5동 행정복지센터 1층에 전시공간·커뮤니티를 갖춘 마을박물관을 조성하고 오는 5월 개관할 예정이다. 이 공간엔 1907년 조성되기 시작한 주안염전과 주안산업단지 등의 역사를 전시한다. 마을박물관 프로그램 운영을 맡는 동네 주민들은 직접 전시 내용을 만들고 개관 일정에 맞춘 특별기획전도 추진한다.

주안5동이 갖고 있는 특수성에서 염전을 빼놓을 수 없다. 우리가 역사를 운운하는 일은 과거를 잊지 말고 오늘에 되살리자는 뜻이리라. 시·공간에 대한 씨줄과 날줄이 엮일 때 비로소 동네 역사는 이뤄지지 않는가. 염전골박물관이 자리를 잡도록 시민들에게 응원을 바란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흔들리는 부평구 위상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시내에서 택시를 타고 부평 쪽으로 가려 하면, 웃돈을 줘야 했다. 기사들이 부평으로 넘어가는 길을 꺼려해서다. 시내에서 택시운전을 하는 이들은 부평을 '인천 이외 지역'이라고 인식했다. 부평은 같은 인천이면서도 뭔가 다르다는 생각을 한 듯하다. 아울러 대부분의 인천인은 출신을 물으면 “인천”이라고 말하는 반면, 부평 주민들은 “부평에서 왔다”고 답하기도 한다. 부평이란 인지도를 내세우며 자존감을 표하는 경향으로 해석된다.이처럼 주민들이 자랑스러워하는 부평의 역사를 한번 보자.이 지역엔 조선시 [썰물밀물] '인천우체국 100년'의 과제 인천우체국(중구 제물량로)이 올해로 건립된 지 100년을 맞았다. 일제 강점기인 1923년 12월 세워진 우체국은 그 때는 '인천우편국'으로 불렸다. 석조 건물 형태로 지은 국내 최초의 우체국으로 유명하다. 상징성은 물론 근대 건축양식 보존이란 측면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인천시가 1982년 이 건물을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한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다.인천우편국은 당시 행정관청치곤 아주 큰 규모였다고 한다. 유행을 타던 서양식을 따라 일본식을 섞은 절충주의 양식으로 지었다. 화강암을 거칠게 다듬어 기단으로 [썰물밀물] 인천지역 봉수대의 기억 학창시절 단골 소풍 장소였던 문학산은 한동안 '배꼽산'으로 불렸다. 멀리서 보면 정상에 마치 배꼽이 솟아난 듯해 그리 지칭했다. 그 배꼽은 산 꼭대기에 자리했던 봉수대(烽燧臺)였다. 이 봉수대는 한국전쟁 후 미군부대 주둔으로 파괴돼 영영 사라지고 말았다. 문학산 정상부는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50여년 동안 일반인 출입을 전면통제했다. 그러다가 2015년 10월15일 인천시-국방부 간 협약을 통해 시민 출입을 허용했다.봉수대는 조선시대 말까지 사용됐던 통신수단이다. 낮엔 연기를, 밤엔 불빛을 이용해 정보를 먼 곳까지 [썰물밀물] 다시 보는 '개항과 양관역정' 인천지역 향토·생활사를 기록한 저서로 고일의 '인천석금(昔今)', 최성연의 '개항(開港)과 양관역정(洋館歷程)', 신태범의 '인천 한세기' 등이 주로 꼽힌다. 이들 책은 많은 시민에게 인천의 이해를 돕는 기폭제 구실을 했다. 아울러 인천의 지역사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겐 새로운 지식을 쌓게 하는 디딤돌 역할을 했다. 최근 향토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 저서들은 인천의 보배인 셈이다.'인천석금'과 '인천 한세기'는 그동안 언론과 책자 등에서 인용·보도되 [썰물밀물] 만수산 무장애 나눔길이 좋다 전 세계 인구의 15% 가량이 장애를 안고 살아간다. 국내 장애 인구는 6% 정도이며, 여기에 노인이 15% 이상을 차지한다. 전체 인구의 20%를 훌쩍 넘는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정책적 배려는 그래서 빼놓을 수 없다. 장애·노인이 전 지구적으로 많아지면서 관광분야에서도 이들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고객으로 통한다.한국관광공사가 관광진흥법을 내세워 '무장애 관광지'를 개발하는 일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지난해까지 100곳을 무장애 관광지로 탈바꿈시켰다. 무장애 관광이란 누구나 자유롭게 여행하는 일이다. 독립성·공평성 [썰물밀물] 창단 20년 인천유나이티드의 '비상' 프로축구 인천 유나이티드는 창단 후 늘 하위권을 맴돌아 지역 팬들에게 아쉬움을 남겼다. 시민들의 바람을 담아 창단했지만, 시민 구단의 장밋빛 미래는 험난하기만 했다. '생존왕'이나 '잔류왕'이란 별명이 붙을 정도로 팀 성적이 지지부진해 팬들을 실망시켰다. 그래도 2022시즌 정규리그에선 4위로 올라서고 2023 아시아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둬 그나마 팬들에게 체면치레를 했다.그 진출기는 다큐멘터리 영화 '비상2022:피치 위에서'에 잘 드러난다. 시즌 중 주축 공격수 이탈과 부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