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향을 즐겁게 한 여섯 악사, 세악수
풍물의미학
▲ 세악수
▲ 세악수

예로부터 지금까지 군악은 반드시 전쟁과 관련되어 쓰였던 것은 아니었다.

지금도 군악대가 각종 행사 때 위문공연을 하듯이, 옛날에도 군악이 각종 연향에 사용되었다. <통전>에 의하면, 중국에서도 천자가 군신들과의 향연에서 고취를 사용하였는데, 이를 황문고취라 하였다. 신라 때 고취악에 쓰였던 가(茄)라는 악기가 연향인 가무(茄舞)에 쓰인 적이 있고, 백제에서도 정월에 하늘과 땅에 제사지낼 때 고취를 사용하였는데, 그때에는 반드시 춤이 수반되었을 것이다. 조선에서도 군악과 연향악을 동시에 연주한 이들이 있었는데, 이를 특별히 세악수(細樂手)라 하였다.

세악수라는 직책은 조선 전기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승정원 일기>의 숙종 23년인 1697년 11월 13일 기사에 의하면, 우참찬 민진장이 “군문의 세악수는 근년 이래에 비로소 창립하였으나, 상시 별도로 절박하게 사용할 데가 없습니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때 비로소 세악수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조선왕조실록> 숙종 29년인 1703년 2월 18일의 기사를 보면, 총융사 이우항이 과거에 오른 자와 혼인을 맺어 친척이 된 집안에 그 군문의 세악수를 친히 거느리고 모여서 종일토록 잔치를 벌렸으니 그를 추고해야 한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국가의 녹봉을 받는 세악수를 사적인 집안 잔치에 동원하여 각종 악기를 연주하게 한 직권을 남용하였으니 처벌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악수는 과연 어떤 악기를 연주했을까? 1785년(을사년) 악산헌의 아버지가 안릉(평안도 안주목)의 목민관으로 부임했을 때, 그 행렬의 성대함을 보고 약산헌이 1786년(병오년) 화공 김사능(김홍도)에게 그리게 했다는 <안릉신영도>를 보면, 세악수라는 표기와 함께 여섯 명의 악사가 등장하는데, 이때 악사가 연주한 악기는 북, 장고, 대금, 필률 2, 해금의 여섯 가지였다.

세악수가 연주한 여섯 가지의 악기를 흔히 삼현이라고 한다. 1843년(계묘년) 유만공이 편찬한 <세시풍요>는 정월 초하루부터 섣달 그믐까지 다양한 세시풍속이 월별로 기록되어 있는데, 유만공은 19세기 세시기를 지은 <경도잡지>의 저자 유득공의 손위 사촌간이며, 당대 진보적 문장가인 연암 박지원과도 교우했던 사람이다. 유만공은 <세시풍요>의 원석(元夕), 즉 정월 보름날 밤에 “중촌 사람들이 밤에 모여서 노는 것을 촉유라고 하고, 세악은 삼현이라고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세악수는 초기에는 국가의 녹봉을 받고 있었으므로 사가에 나가 연주할 수는 없었지만, 언제부터인가 사가에서 연주활동을 하게 되었다. 국가에서 더 이상 급여를 책임질 수 없게 되어 반관반민의 처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활동을 묘사한 그림이 바로 김홍도가 그린 <무동>과 신윤복이 그린 <쌍검대무>이다.

김홍도가 그린 <무동>에도 여섯 명의 악사가 등장하여 북과 장고, 필률 2, 대금, 해금을 연주하고 있는데, 피리를 부는 악사와 해금을 연주하는 악사는 군복을 입고 있으며, 나머지 네 명은 갓을 쓰고 도포를 입고 있다. 반면에 혜원이 그린 <쌍검대무>에서는 북을 치는 악사만이 군복을 입고 있고, 나머지 악사는 도포에 갓을 쓰고 있다.

1867년 고종 4년에 반포한 육조 각 관아의 사무 처리에 필요한 행정법규와 사례를 편집한 법제서인 <육전조례>를 보면 각 군문 중에서 금위영의 취고수가 100명, 세악수가 35명이었으며, 어영청의 취고수 117명, 세악수가 25명이었고, 용호영의 취고수가 39명, 세악수 15명, 겸내취 10명이었으며, 훈련도감의 취고수 196명, 세악수는 25명, 겸내취 12명이었다.

<조선왕조실록> 정조 22년 10월 19일의 기사를 보면, 용인, 진위, 안산, 시흥, 과천의 군액 총수를 나열하고 있는데, 용인에는 장악원 악생보 12명, 안산에는 내취보가 1명, 장악원 악생보 3명, 세악수 4명이었으며, 시흥에는 장악원 악생보가 4명이었고, 과천에는 세악수가 20명이었다. 또한 <승정원일기> 정조 4년(1780년) 9월 4일의 기록을 보면, 총융청에서 계하기를 파주의 취고수가 36명, 세악수가 6명이었으며, 1832년 임효헌이 편찬한 개성의 향토지리지인 송경광고(松京廣攷)를 보면, 취고수가(吹鼓手)가 50명, 세악수(細樂手)가 30명이었다.

<비변사등록> 고종 12년인 1875년 9월의 기록에서는 인천 방어영에 세악수가 6명이었고, 1871년 <경기읍지> 중의 인천부읍지에 의하면, 본읍인 인천읍의 세악수보가 18명이었고, 훈국에서 보내온 기물 중에는 호적이 2, 나팔이 2, 목대각이 2, 나 1, 솔발 1, 행고 2좌였다. 또한 대한 광무3년인 1899년 부평군읍지에 의하면 취고수가 49인이었는데, 전국 각지에 세악수가 배치되어 각종 연행에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성섭 풍물미학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풍물의 미학] 22. 풍물과 고취(8) 조선 후기 병법에 관한 지침서인 <병학지남>에서 깃발과 북 등의 호령은 ‘기고정법(旗鼓定法)’에서 설명하고 있는데, 내용이 매우 복잡한 편이다. 이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설명한 것이 기고총결(旗鼓總訣)이다. 여기에서 총통으로 호령하는 법, 쇄납, 북, 징, 라, 바라, 나팔, 취타, 오방기 등의 호령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호포(총통)의 신호는 명령이 내린다는 것이다. 한번 놓는 것은 명령이 내리거나 혹은 명령을 다시 고쳐 내린다는 것이다. 세 번 놓는 것은 정숙하게 하라는 것, 혹은 원수(元帥)가 장막에 장병을 소집하여 군사를 논의하 [풍물의 미학] 21. 풍물과 군악(7) 진법의 시원은 고대 중국인들이 사냥할 때에 몰이꾼과 사냥꾼의 배치 방법을 그린 것으로 추측되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문종 때 편찬된 <진법>의 서문에서 수양대군은 “연진(連陣) 중에서 외진(外陣)은 6,7,8,9의 수이고, 내진(內陣)은 5와 10의 수이며, 간진(間陣)은 1,2,3,4의 수이다. 이 법이 하도의 문(文)이다. 합진(合陣)의 중위가 내외를 포함하는 것은 5와 10이 내외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4위가 방진에 붙어있는 것은 1과 6, 2와 7, 3과 8, 4와 9가 각각 그 방(方)에 [풍물의 미학] 20. 풍물과 군악(6) 조선의 진법은 태조가 삼군부(三軍府)에 명령을 내려서 《수수도(蒐狩圖)》와 《진도(陣圖)》를 간행하게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태조 때 정도전이 일찍이 《오진도(五陣圖)》와 사시의 사냥하는 것을 그린 그림인 《사시수수도(四時蒐狩圖)》를 만들어 바치었는데, 당시 정도전·남은(南誾)·심효생(沈孝生) 등이 군사를 일으켜 국경에 나가기를 꾀하였기 때문이다.세종은 오례를 정비하였는데, 군례의 의식 중에는 해마다 9월과 10월 중에 도성 밖에서 십간(十干)의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에 해당하는 강일(剛日)에 대열하는 의식인 [풍물의 미학] 19. 풍물과 군악(5) 군사의 훈련에서 중요한 것이 형명(形名), 즉 깃발과 금고(金鼓)이다. 군사들이 앉고 일어서고 전진하고 후퇴하는 좌작진퇴(坐作進退)와 관련된 것이 금고다. 세종 3년인 1421년 7월 병조에서 진법과 그 운용에 관한 글에서 금(金)과 고(鼓)의 쓰임새를 밝힌 바 있는데, 현행 풍물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많다.우선 행진법(行陣法)에서는 중위(中衛)에서 각(角)을 한통(一通) 불고, 북(鼓)을 한통 치면, 각 위(衛)에서 이에 응하여 군사를 정돈하고, 중위에서 각을 불고 행진하라는 북을 진동하면, 우위(右衛), 전위(前衛), 중위( [풍물의 미학] 18. 풍물과 군악(4) 조선시대 쟁(錚)을 만들던 쟁장(錚匠)과 북을 만들던 고장(鼓匠)은 병조와 군기감에서 관리하였다. 쟁과 북이 군악기였기 때문이다. 세종 때 쟁장은 2명에서 4명으로 증원되었고, 고장은 6명이었으며, 세조 때 쟁장과 고장은 각각 15인이었다. <세종실록·오례>에서는 쟁은 정(鉦)이라고 하였고, "현녀(玄女)가 황제(黃帝)에게 청하여, 정요(鉦 )를 주조(鑄造)하여 소리를 흉내내게 하였다. 지금의 동라(銅 )가 그 유제(遺制)이다“라고 하였다.그렇다면 정은 어떤 악기일까? <세종실록·오례>의 군례서례·병기에서는 정이라는 악기를 그림으로 [풍물의 미학] 24. 풍물과 군악(10) 조선의 풍물은 현행 풍물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지 않았다. 조선 풍물과 현행 풍물이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지만, 그렇다고 전혀 상관이 없는 것도 아니었다. 현행 풍물에는 조선 풍물의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상모(象毛)이다. 정대업의 무무(武舞)를 출 때 사용되는 의물 중에 투구( )가 있는데, 이때 홍색 상모(象毛)를 얹었다. 또한 현행 열두 발 상모를 돌릴 때 사용한 것이 피변(皮弁)인데, 이 또한 무무(武舞) 정대업을 출 때 착용한 것이었다.조선 풍물과 현행 풍물의 연관성을 알려주는 것이 또 하나 있는데, 그것이 [풍물의 미학] 25. 풍물과 연향(1) “어떤 악기도 풍물이 아니다.” 이 명제가 참이기 때문에 전칭부정명제의 환위에 의한 명제도 참이 된다. “어떤 풍물도 악기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악기와 풍물을 서로 구별하였다. 그래서 각종 의궤에는 악기풍물(樂器風物)이라고 병기하였다. 악기는 제사와 조회에 사용하였고, 풍물은 고취와 연향에 사용하였다.<악기(樂記)>에 의하면, “왕이 된 자가 공을 이루었으면 음악을 짓고, 통치가 안정되면 예를 제정(功成作樂,治定制禮)”하는 것이 관례였다. 작(作)은 '짓다'로 해석되는데, 시를 '짓는다'라고 말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