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포의 신호는 명령
풍물의미학
▲ 기고총결
▲ 기고총결

조선 후기 병법에 관한 지침서인 <병학지남>에서 깃발과 북 등의 호령은 ‘기고정법(旗鼓定法)’에서 설명하고 있는데, 내용이 매우 복잡한 편이다. 이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설명한 것이 기고총결(旗鼓總訣)이다. 여기에서 총통으로 호령하는 법, 쇄납, 북, 징, 라, 바라, 나팔, 취타, 오방기 등의 호령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호포(총통)의 신호는 명령이 내린다는 것이다. 한번 놓는 것은 명령이 내리거나 혹은 명령을 다시 고쳐 내린다는 것이다. 세 번 놓는 것은 정숙하게 하라는 것, 혹은 원수(元帥)가 장막에 장병을 소집하여 군사를 논의하거나 명령을 내리는 승장(升帳) 혹은 영을 닫는다는 것이다. 수없이 여러 번 놓는 것은 분산 혹은 집합하라는 것이다.

호적(號笛)[쇄납(吶) 또는 태평소라고 함]은 발방(명령과 호령)이 있다는 것이다. 교련장에서 불면 대장(隊長) 이상이 출두하고 관문에서 불면 초관 이상이 출두한다.

북은 전진하라는 것이다. 한번 치는 동안에 약 20보를 나가는데 이것을 점고(點鼓)라고 한다. 이것은 행군하라는 것이다. 한번 치는 동안에 한걸음씩 나가는 것을 긴고(緊鼓)라고 한다. 이것은 빨리 가라는 것이다. 치는 소리가 연이어 우레 같은 것을 뇌고(擂鼓)라 하는데 이것은 교전(交戰)하는 것, 혹은 물과 나무를 준비하라는 것, 또는 초경(初更)이란 것이다. 각과 궁을 번갈아 치는 것[角宮迭行]을 득승고(得勝鼓)라 한다. 이것은 제자리에 돌아가란 것이다.

징(金)은 그치고자 함이니, 세 번 울리는 것은 퇴병(退兵) 혹은 취타(吹打)를 정지하라는 것이고, 두 번 울리는 것은 취타하라는 것이며, 연이어 두 번 울리는 것은 퇴병하며 돌아서라는 것이다. 또 한번 울리는 것은 치고 부는 것을 정지하며 혹은 기를 눕히라는 것이다. 징의 가(金邊)를 울리는 것은 복로 혹은 당보 및 기초를 보내라는 것이다.

라(鑼)는 앉으라는 것이다. 처음 울리는 것은 말에서 내리라는 것이요, 두 번째 울리는 것은 앉아서 휴식하라는 것이며, 계속하여 울리는 것은[傳鑼] 편안히 쉬라는 것이다.

바라(哱囉)는 일어서라는 것이다. 처음 부는 것은 출발 준비를 하라는 것이요, 두 번째 부는 것은 무기를 갖고 말을 타라는 것이다. 홑 소라를 부는 것은 두목으로 하여금 출발하라는 것이다.

나팔(喇叭)은 벌리라는 것이다. 북을 천천히 치며 나팔을 부는 것을 파대오(擺隊伍)라고 하는데 이것은 대열을 대대로 편성하라는 것이다. 대대가 정하여진 다음에 또 길게 부는 것을 단파개(單擺開)라 하는데, 이것은 열을 소대로 혹은 단열(單列)로 산개(散開)하라는 것이다. 소리를 길게 빼어 불면서 기를 가로 흔드는 것을 전신(轉身)이라 하는데, 이것은 어떤 곳으로 향하여 몸을 돌리라는 것이고, 길게 한번 부는 것을 천아성(天鵝聲)이라 하는데(긴 소리를 하나의 소리로 부는 것을 천아성이라 함), 이것은 고함 혹은 일제히 무기 즉 총이나 활을 쏘라는 것이다. 그리고 혼자 부는 것을 장호(掌號)라 하는데, 한 번 부는 것은 군사들이 밥을 지으라는 것이고, 두 번 부는 것은 군사들이 교련장으로 나가라는 것이며, 세 번 부는 것은 주장이 출발한다는 것이다.

솔발(摔鈸)은 거두라는 것이다. 처음 울리는 것은 대오를 거두라는 것이며, 다시 울리는 것은 대대를 형성하고 깃발을 거두라는 것이다.

취타(군악)는 개폐(開閉)하라는 것이다. 대취타는 영을 개폐하라는 것, 혹은 앞서 있던 곳[信地]72)으로 돌아가라는 것이고 소취타는 문을 조금만 열라는 것이다. 취타를 하지 않고 영을 닫는 것은 비밀히 진을 치라는 것이다.

인기는 살펴서 분별하라는 것이다. 있던 곳에 깃발을 세운 것은 그 깃발 밑에서 보고를 하고 영을 들으라는 것이다. 기를 가로 흔드는 것을 마(磨)라 하는데 이것은 장령들을 오라는 것이고 기를 휘두르는 것을 휘(麾)라 하는데 이것은 흩어져 돌아가라는 것이다.

오방기와 고초는 앉는 것, 일어서는 것, 나가는 것, 그치는 것 또는 전후 좌우로 돌라는 것이다. 단독 기를 하나만 세우는 것을 입(立)이라 하는데, 이것은 어느 영이든지 살펴보라는 것 혹은 어떤 수(手-기수 고수 등을 말함)의 호령이든지 주의하라는 것이다. 징을 울리고 기를 눕히는 것은 영대로 행하라는 것이고, 기로써 가리키는 것을 점(點)이라 하는데 이것은 가리키는 데로 좇아서 가라는 것이다. 마(磨)하는 것은 영에 따라서 행하라는 것이요, 눕히는 것은 모두 누우라는 것이며, 드는 것[擧]은 모두 들라[擧]는 것이요, 응하라는 것은 모두 기를 사용하라는 것이다. 마는 것은 일이 있으면 펴라는 것이요, 펴는 것은 이어서 전[傳接]하라는 것이다.

/송성섭 풍물미학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풍물의 미학] 21. 풍물과 군악(7) 진법의 시원은 고대 중국인들이 사냥할 때에 몰이꾼과 사냥꾼의 배치 방법을 그린 것으로 추측되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문종 때 편찬된 <진법>의 서문에서 수양대군은 “연진(連陣) 중에서 외진(外陣)은 6,7,8,9의 수이고, 내진(內陣)은 5와 10의 수이며, 간진(間陣)은 1,2,3,4의 수이다. 이 법이 하도의 문(文)이다. 합진(合陣)의 중위가 내외를 포함하는 것은 5와 10이 내외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4위가 방진에 붙어있는 것은 1과 6, 2와 7, 3과 8, 4와 9가 각각 그 방(方)에 [풍물의 미학] 20. 풍물과 군악(6) 조선의 진법은 태조가 삼군부(三軍府)에 명령을 내려서 《수수도(蒐狩圖)》와 《진도(陣圖)》를 간행하게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태조 때 정도전이 일찍이 《오진도(五陣圖)》와 사시의 사냥하는 것을 그린 그림인 《사시수수도(四時蒐狩圖)》를 만들어 바치었는데, 당시 정도전·남은(南誾)·심효생(沈孝生) 등이 군사를 일으켜 국경에 나가기를 꾀하였기 때문이다.세종은 오례를 정비하였는데, 군례의 의식 중에는 해마다 9월과 10월 중에 도성 밖에서 십간(十干)의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에 해당하는 강일(剛日)에 대열하는 의식인 [풍물의 미학] 19. 풍물과 군악(5) 군사의 훈련에서 중요한 것이 형명(形名), 즉 깃발과 금고(金鼓)이다. 군사들이 앉고 일어서고 전진하고 후퇴하는 좌작진퇴(坐作進退)와 관련된 것이 금고다. 세종 3년인 1421년 7월 병조에서 진법과 그 운용에 관한 글에서 금(金)과 고(鼓)의 쓰임새를 밝힌 바 있는데, 현행 풍물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많다.우선 행진법(行陣法)에서는 중위(中衛)에서 각(角)을 한통(一通) 불고, 북(鼓)을 한통 치면, 각 위(衛)에서 이에 응하여 군사를 정돈하고, 중위에서 각을 불고 행진하라는 북을 진동하면, 우위(右衛), 전위(前衛), 중위( [풍물의 미학] 18. 풍물과 군악(4) 조선시대 쟁(錚)을 만들던 쟁장(錚匠)과 북을 만들던 고장(鼓匠)은 병조와 군기감에서 관리하였다. 쟁과 북이 군악기였기 때문이다. 세종 때 쟁장은 2명에서 4명으로 증원되었고, 고장은 6명이었으며, 세조 때 쟁장과 고장은 각각 15인이었다. <세종실록·오례>에서는 쟁은 정(鉦)이라고 하였고, "현녀(玄女)가 황제(黃帝)에게 청하여, 정요(鉦 )를 주조(鑄造)하여 소리를 흉내내게 하였다. 지금의 동라(銅 )가 그 유제(遺制)이다“라고 하였다.그렇다면 정은 어떤 악기일까? <세종실록·오례>의 군례서례·병기에서는 정이라는 악기를 그림으로 [풍물의 미학] 17. 풍물과 군악(3-2) 태평소(太平簫)는 군대에서 사용하였던 악기였다. 세종 12년인 1430년 4월 22일의 기사에 의하면, 병조에서 강무(講武)로 거동할 때에 취라치(吹螺赤)와 함께 중군(中軍)에 속한 태평소는 붉은 표장을 등에 붙이게 하였으며, 좌군(左軍)에 속한 취라취·태평소는 푸른 표장을 왼쪽 어깨에 붙이게 하였고, 우군(右軍)에 속한 취라취·태평소는 흰 표장을 오른쪽 어깨에 붙이게 하였다.강무는 군막(軍幕)에서 군병을 훈련하고, 군사를 크게 사열(査閱)하며, 병법을 익히고, 싸우고 진(陣)치는 제도를 익히는 것을 말하는데, 사냥하는 법과 통하였 [풍물의 미학] 23. 풍물과 군악(9) 예로부터 지금까지 군악은 반드시 전쟁과 관련되어 쓰였던 것은 아니었다.지금도 군악대가 각종 행사 때 위문공연을 하듯이, 옛날에도 군악이 각종 연향에 사용되었다. <통전>에 의하면, 중국에서도 천자가 군신들과의 향연에서 고취를 사용하였는데, 이를 황문고취라 하였다. 신라 때 고취악에 쓰였던 가(茄)라는 악기가 연향인 가무(茄舞)에 쓰인 적이 있고, 백제에서도 정월에 하늘과 땅에 제사지낼 때 고취를 사용하였는데, 그때에는 반드시 춤이 수반되었을 것이다. 조선에서도 군악과 연향악을 동시에 연주한 이들이 있었는데, 이를 특별히 세악수(細樂 [풍물의 미학] 24. 풍물과 군악(10) 조선의 풍물은 현행 풍물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지 않았다. 조선 풍물과 현행 풍물이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지만, 그렇다고 전혀 상관이 없는 것도 아니었다. 현행 풍물에는 조선 풍물의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상모(象毛)이다. 정대업의 무무(武舞)를 출 때 사용되는 의물 중에 투구( )가 있는데, 이때 홍색 상모(象毛)를 얹었다. 또한 현행 열두 발 상모를 돌릴 때 사용한 것이 피변(皮弁)인데, 이 또한 무무(武舞) 정대업을 출 때 착용한 것이었다.조선 풍물과 현행 풍물의 연관성을 알려주는 것이 또 하나 있는데, 그것이 [풍물의 미학] 25. 풍물과 연향(1) “어떤 악기도 풍물이 아니다.” 이 명제가 참이기 때문에 전칭부정명제의 환위에 의한 명제도 참이 된다. “어떤 풍물도 악기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악기와 풍물을 서로 구별하였다. 그래서 각종 의궤에는 악기풍물(樂器風物)이라고 병기하였다. 악기는 제사와 조회에 사용하였고, 풍물은 고취와 연향에 사용하였다.<악기(樂記)>에 의하면, “왕이 된 자가 공을 이루었으면 음악을 짓고, 통치가 안정되면 예를 제정(功成作樂,治定制禮)”하는 것이 관례였다. 작(作)은 '짓다'로 해석되는데, 시를 '짓는다'라고 말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