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오행진법 적극 사용하다
풍물의미학
▲ 고와비(진법)

조선의 진법은 태조가 삼군부(三軍府)에 명령을 내려서 《수수도(蒐狩圖)》와 《진도(陣圖)》를 간행하게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태조 때 정도전이 일찍이 《오진도(五陣圖)》와 사시의 사냥하는 것을 그린 그림인 《사시수수도(四時蒐狩圖)》를 만들어 바치었는데, 당시 정도전·남은(南誾)·심효생(沈孝生) 등이 군사를 일으켜 국경에 나가기를 꾀하였기 때문이다.

세종은 오례를 정비하였는데, 군례의 의식 중에는 해마다 9월과 10월 중에 도성 밖에서 십간(十干)의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에 해당하는 강일(剛日)에 대열하는 의식인 대열의(大閱儀)가 있다. 대열을 할 때 정렬하는 위치가 정해지면, 동군(東軍)과 서군(西軍)이 50보마다 표(表)를 세워 1행(行)으로 삼은 5행(行)의 서로 이기는 법에 따라 서로 진(陣)을 만들어 이에 응하고, 매양 진을 변경할 적에는 각각 칼과 방패를 가진 군사 50인을 뽑아서 두 군대 앞에 도전(挑戰)하게 하였다. 제1, 제2의 도전은 번갈아 공격하고 방어하는 용겁의 형상[勇怯之狀]이 되었고, 제3의 도전은 균적(均適)한 형세가 되었으며, 제4와 제5의 도전은 승패(勝敗)를 겨루는 형상(勝敗之形)이 되었다. 5진을 마치면, 양군(兩軍)이 모두 직진(直陣)이 되었다.

조선 전기의 진법은 문종 1년인 신미년(1451년) 6월 19일 문종이 친히 《신진법(新陣法)》을 지어서 수양 대군(首陽大君) 및 김종서·정인지(鄭麟趾) 등에게 명하여 함께 교정(校定)하게 하여 완성하였으며, <소자진서(小字陣書)>는 세조 1년인 1455년에 인쇄되었고, <대자진서(大字陣書)>는 세조 5년인 1459년에 인쇄되었다.

오행진법(五行陣法)은 당나라 태종과 이정(李靖)이 역대 병법과 병법가 혹은 장군이나 재상 등의 인물에 대해 서로 묻고 응답한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에서 보인다. 이에 의하면 오행진은 오방색으로 말미암아 명명하게 되었는데, 방(方)ㆍ원(圓)ㆍ곡(曲)ㆍ직(直)ㆍ예(銳)는 사실 땅의 형태로 인하여 그렇게 된 것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군대는 평소에 이 다섯 가지를 익히지 않는데, 이정은 이것으로 어찌 적을 대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군사는 거짓된 도이기 때문에 억지로 오행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문종 때 완성된 <진법>의 보주에서는 “오진은 그 형상을 오행에서 취하였다. 방(方)은 금(金)이 되고, 원(圓)은 토(土)가 되고, 곡(曲)은 수(水)가 되고, 직(直)은 목(木)이 되고, 예(銳)는 화(火)가 된다. 상생(相生)은 금생수, 수생목,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이다. 상극(相克)은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목극토, 토극수이다”라고 한 것을 보면, 조선에서는 중국과 달리 오행진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법>에서 기(旗)의 쓰임에는 응답하는 ‘응(應)’이 있고, 땅에까지 대지 않고 다시 일으키는 ‘점(點)’이 있고, 땅에까지 댄 뒤에 다시 일으키는 ‘지(指)’가 있고, 보고하는 ‘보(報)’가 있고, 휘두르는 ‘휘(揮)’가 있다. 휘(麾)에는 ‘응(應)’이 있고, ‘점(點)’이 있고, ‘지(指)’가 있고, ‘휘(揮)’가 있고, 눕히는 ‘언(偃)’이 있고, 드는 ‘거(擧)’가 있다.

각(角)에는 영(令)하려는 때에 먼저 대각(大角)을 불어서 경계하는 ‘영(令)’이 있고, 소각(小角)을 부는 ‘전(戰)’이 있고, ‘촉(促)’이 있는데, 대각(大角)의 촉(促)은 진퇴(進退)에 쓰고, 소각(小角)의 촉(促)은 교전(交戰)에 쓴다. 그리고 보고하는 ‘보(報)’가 있다

고(鼓)에는 휘(麾)를 지(指)하고 북을 치는 ‘진(進)’이 있고, 전각(戰角)을 불고 북을 치는 ‘전(戰)’이 있고, 드물게 치면 전진(戰進)하는 ‘서(徐)’가 있고, 자주 치면 전진하는 ‘질(疾)’이 있다.

금(金)에는 자주 치는 ‘퇴(退)’가 있고, 드물게 치는 ‘지(止)’가 있다. 비(鼙)에는 고(鼓)를 요란하게 치면서 크게 외친다. 탁(鐸)에는 숙정(肅整)하여 떠들지 않는다.

군령은 매우 엄격하여 진퇴 좌우(進退左右)를 영(令)하여도 좇지 않는 자와 마음대로 진퇴 좌우하는 자는 다 목을 베는 참(斬)에 처하였다. 장표(章標)를 잃은 자는 참(斬)하고, 군사(軍事)를 누설한 자도 참하고, 적에게 항복한 자는 그 집을 몰수하였으며, 적과 사사로이 교통(交通)한 자는 참하고, 금고기각(金鼓旗角)을 잃은 자도 참하였다.

그렇다면, 북의 타법 중에서 전진하라는 신호인 ‘진(進)’과 교전하라는 신호인 ‘전(戰)’ 그리고 전진(戰進)할 때 드물게 치는 ‘서(徐)’와 자주 치는 ‘질(疾)’은 현행 풍물과 어떠한 연관이 있을까? 또한 금(金)의 경우, 후퇴할 때 자주 치는 ‘퇴(退)’와 멈출 때 드물게 치는 ‘지(止)’는 어떻게 치는 타법이며 현행 풍물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 것일까?

/송성섭 풍물미학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풍물의 미학] 19. 풍물과 군악(5) 군사의 훈련에서 중요한 것이 형명(形名), 즉 깃발과 금고(金鼓)이다. 군사들이 앉고 일어서고 전진하고 후퇴하는 좌작진퇴(坐作進退)와 관련된 것이 금고다. 세종 3년인 1421년 7월 병조에서 진법과 그 운용에 관한 글에서 금(金)과 고(鼓)의 쓰임새를 밝힌 바 있는데, 현행 풍물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많다.우선 행진법(行陣法)에서는 중위(中衛)에서 각(角)을 한통(一通) 불고, 북(鼓)을 한통 치면, 각 위(衛)에서 이에 응하여 군사를 정돈하고, 중위에서 각을 불고 행진하라는 북을 진동하면, 우위(右衛), 전위(前衛), 중위( [풍물의 미학] 18. 풍물과 군악(4) 조선시대 쟁(錚)을 만들던 쟁장(錚匠)과 북을 만들던 고장(鼓匠)은 병조와 군기감에서 관리하였다. 쟁과 북이 군악기였기 때문이다. 세종 때 쟁장은 2명에서 4명으로 증원되었고, 고장은 6명이었으며, 세조 때 쟁장과 고장은 각각 15인이었다. <세종실록·오례>에서는 쟁은 정(鉦)이라고 하였고, "현녀(玄女)가 황제(黃帝)에게 청하여, 정요(鉦 )를 주조(鑄造)하여 소리를 흉내내게 하였다. 지금의 동라(銅 )가 그 유제(遺制)이다“라고 하였다.그렇다면 정은 어떤 악기일까? <세종실록·오례>의 군례서례·병기에서는 정이라는 악기를 그림으로 [풍물의 미학] 17. 풍물과 군악(3-2) 태평소(太平簫)는 군대에서 사용하였던 악기였다. 세종 12년인 1430년 4월 22일의 기사에 의하면, 병조에서 강무(講武)로 거동할 때에 취라치(吹螺赤)와 함께 중군(中軍)에 속한 태평소는 붉은 표장을 등에 붙이게 하였으며, 좌군(左軍)에 속한 취라취·태평소는 푸른 표장을 왼쪽 어깨에 붙이게 하였고, 우군(右軍)에 속한 취라취·태평소는 흰 표장을 오른쪽 어깨에 붙이게 하였다.강무는 군막(軍幕)에서 군병을 훈련하고, 군사를 크게 사열(査閱)하며, 병법을 익히고, 싸우고 진(陣)치는 제도를 익히는 것을 말하는데, 사냥하는 법과 통하였 [풍물의 미학] 16. 풍물과 군악 (3-1) 현행 풍물은 조선시대의 풍물과 차이가 있다. 현행 풍물은 무수한 과정을 거쳐서 현재의 모습을 띠게 되었기 때문이다. 풍물의 변천사를 살펴볼 때 가장 숙고해야 하는 부분이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악기이다. 현행 풍물이 조선시대의 풍물과 현격하게 차이나는 악기는 바로 태평소(太平簫)와 북(鼓), 소금(小金)과 징(鉦)이다.현행 풍물에는 매우 독특한 악기가 있다. 풍물에 속하는 악기인 것도 같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한 악기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태평소이다. 태평소는 고려 시대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악기이다. 고려시대 당악에는 방향( [풍물의 미학] 21. 풍물과 군악(7) 진법의 시원은 고대 중국인들이 사냥할 때에 몰이꾼과 사냥꾼의 배치 방법을 그린 것으로 추측되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문종 때 편찬된 <진법>의 서문에서 수양대군은 “연진(連陣) 중에서 외진(外陣)은 6,7,8,9의 수이고, 내진(內陣)은 5와 10의 수이며, 간진(間陣)은 1,2,3,4의 수이다. 이 법이 하도의 문(文)이다. 합진(合陣)의 중위가 내외를 포함하는 것은 5와 10이 내외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4위가 방진에 붙어있는 것은 1과 6, 2와 7, 3과 8, 4와 9가 각각 그 방(方)에 [풍물의 미학] 22. 풍물과 고취(8) 조선 후기 병법에 관한 지침서인 <병학지남>에서 깃발과 북 등의 호령은 ‘기고정법(旗鼓定法)’에서 설명하고 있는데, 내용이 매우 복잡한 편이다. 이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설명한 것이 기고총결(旗鼓總訣)이다. 여기에서 총통으로 호령하는 법, 쇄납, 북, 징, 라, 바라, 나팔, 취타, 오방기 등의 호령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호포(총통)의 신호는 명령이 내린다는 것이다. 한번 놓는 것은 명령이 내리거나 혹은 명령을 다시 고쳐 내린다는 것이다. 세 번 놓는 것은 정숙하게 하라는 것, 혹은 원수(元帥)가 장막에 장병을 소집하여 군사를 논의하 [풍물의 미학] 23. 풍물과 군악(9) 예로부터 지금까지 군악은 반드시 전쟁과 관련되어 쓰였던 것은 아니었다.지금도 군악대가 각종 행사 때 위문공연을 하듯이, 옛날에도 군악이 각종 연향에 사용되었다. <통전>에 의하면, 중국에서도 천자가 군신들과의 향연에서 고취를 사용하였는데, 이를 황문고취라 하였다. 신라 때 고취악에 쓰였던 가(茄)라는 악기가 연향인 가무(茄舞)에 쓰인 적이 있고, 백제에서도 정월에 하늘과 땅에 제사지낼 때 고취를 사용하였는데, 그때에는 반드시 춤이 수반되었을 것이다. 조선에서도 군악과 연향악을 동시에 연주한 이들이 있었는데, 이를 특별히 세악수(細樂 [풍물의 미학] 24. 풍물과 군악(10) 조선의 풍물은 현행 풍물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지 않았다. 조선 풍물과 현행 풍물이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지만, 그렇다고 전혀 상관이 없는 것도 아니었다. 현행 풍물에는 조선 풍물의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상모(象毛)이다. 정대업의 무무(武舞)를 출 때 사용되는 의물 중에 투구( )가 있는데, 이때 홍색 상모(象毛)를 얹었다. 또한 현행 열두 발 상모를 돌릴 때 사용한 것이 피변(皮弁)인데, 이 또한 무무(武舞) 정대업을 출 때 착용한 것이었다.조선 풍물과 현행 풍물의 연관성을 알려주는 것이 또 하나 있는데, 그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