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판, 금수회의록
간호윤

‘인(人,사람)’과 ‘물(物,동물)’은 상대적이다. ‘인’의 처지에서 ‘물’을 보면 한갓 ‘물’이지만, ‘물’의 처지에서 ‘인’을 보면 ‘인’도 또한 하나의 ‘물’일뿐이다. 연암 박지원 선생은 「여초책(與楚幘,초책에게 주는 글)」에서 이렇게 말한다. “사람은 냄새나는 가죽부대 속에 몇 개의 문자를 조금 지니고 있는 데 불과할 따름이오. 그러니 매미가 저 나무에서 울음 울고, 지렁이가 땅 구멍에서 울음 우는 것도 역시 사람과 같이 시를 읊고 책을 읽는 소리가 아니라고 어찌 안다하겠소?(吾輩臭皮帒中 裹得幾箇字 不過稍多於人耳 彼蟬噪於樹 蚓嗚於竅 亦安知非誦詩讀書之聲耶)” 또 「호질(虎叱,범의 호통)」에서도 “무릇 천하의 이치는 하나이다. 범이 참으로 악하다면 사람 또한 악하다. 사람의 성품이 선하다면 범의 성품도 선하다.(夫天下之理一也 虎誠惡也 人性亦惡也 人性善則虎之性亦善也)”하였다.

담헌 홍대용 선생도 『의산문답(毉山問答,의무려산에서 대화)』에서 “사람의 눈으로 사물을 보면 사람이 귀하고 사물이 미천하지만, 사물의 눈으로 사람을 보면 사물이 귀하고 사람이 미천하고, 하늘의 견지에서 보면 사람과 사물이 모두 균등하다(以人視物 人貴而物賤 以物視人 物貴而人賤 自天而視之 人與物均也)” 하였다. 인성과 물성이 고르다는 이 ‘인물균(人物均)’이나 인성과 물성은 분별할 수 없는 ‘인물막변(人物莫辨)’을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이라한다.

이러고 보니 사람이 범을 잡아 가죽을 벗기고 범이 사람을 잡아먹으려는 것 또한 동등한 이치다. 더욱이 범은 지혜와 덕이 훌륭하고 사리에 밝으며 문무를 갖추었고 자애롭고 효성이 지극하며 슬기롭고도 어질며 빼어나게 용맹하고 장하고도 사나워 그야말로 천하에 적수가 없다. 이런 범의 위풍에 사람은 동물 중에서 가장 범을 두려워한다. 어느 날, 범이 창귀(倀鬼, 범에게 물려 죽은 사람이다. 창귀가 되어 넋이 다른 데로 가지 못하고 범을 섬기며 먹을거리를 찾아 늘 앞장서서 인도한다)를 불러서는 말한다.

“날이 저물려고 하는데 어디 먹을 것 좀 없을까?”

굴각(屈閣, 범이 첫 번째로 잡아먹은 사람의 혼령으로 범의 겨드랑이에 착 달라붙어 있다)과 이올(彛兀, 범의 광대뼈에 붙어살며 범이 두 번째로 잡아먹은 사람이다. 역시 범의 최측근이다), 육혼(鬻渾, 범의 턱에 붙어산다. 범이 세 번째 잡아먹은 사람 혼령으로 평소에 아는 친구들의 이름을 죄다 주어 섬겨 바친다)이란 창귀들이 서로 추천을 해댄다.

이올이가 먼저 말했다.

“저 동문 밖에 의원과 무당이란 놈들이 있는데 잡수실만 하십니다.”

이 말을 들은 범이 수염을 뻗치고 불쾌함을 얼굴빛에 드러내며 말한다.

“의원의 의(醫)라 하는 것은 ‘의심할 의(疑)’자 아니냐. 또 무당의 무(巫)라는 것도 사실이 아닌 일을 거짓으로 꾸며대는 ‘속일 무(誣)’자 아니냐? 그래, 나보고 그런 자들을 먹으라는 거냐.”

그러자 육혼이가 말했다.

“저 법에 대해 내로라한다는 놈이 있습니다. 뿔을 가진 것도 아니고 날개를 가진 것도 아닌 키는 칠 척쯤인 머리 검은 물건이지요. 허우대가 커 뜨문뜨문 엉거주춤 걷는 걸음걸이하며 체머리를 도리도리 흔드는 놈인데, 자칭 어진 간과 의로운 쓸개, 충성을 끌어안고 가슴속에는 깨끗함을 지녔다 자부하고 또 풍류를 머리에 이고 예의를 밟고 다니며 입으로는 여러 법 이론으로 주장을 내세웁니다. 또 강단과 주견이 있고 상대와 싸우면 반드시 지는 법이 없으며 영혼까지 탈탈 털어내야 끝장을 내고야 만답니다. 그를 존경하고 따르는 무리들은, 그가 단순 무지한데도 사물의 이치를 꿰뚫었다는 도사들까지 옆에 두었다며 그 이름을 ‘석법지사(碩法之士, 큰 법을 지닌 선비)’라 부르고 받들어 모십니다. 등살이 두두룩한 것이 몸이 기름져서 맵고, 시고, 짜고, 쓰고, 단, 다섯 가지 맛을 고루 갖추었습니다. 범님의 입맛에 맞으실 듯합니다.”

그제야 범은 기분이 좋아 눈썹을 치켜세우고는 침을 흘리며 하늘을 우러러 “껄! 껄! 껄!” 웃었다.

“그래, 그 놈이 좋겠다. 그 놈이 어디 있느냐?”

“저 남문 밖 남산골을 따라 울멍줄멍 내려가다 보면 할미 젖가슴처럼 펑퍼짐하니 슬프게 납작 엎드린 이태원(梨泰院)에 있습니다. 이태원이 본래 올라가고 내려오고 질러가는 세 갈래 길이라 온갖 금수들은 다 모여듭니다.”

이리하여 범은 굴각이와 육혼을 좌우에 따르게 하고 이올이를 앞세우고 이태원으로 내려왔다.

때마침 이태원에서는 금수들이 회의를 하고 있었다. 큰 휘장을 친 곳에 다섯 글자가 큼지막하게 걸렸으니 ‘금수회의소(禽獸會議所)’라. 모든 길짐승, 날짐승, 버러지, 물고기 등 물이 들어와 꾸역꾸역 서고 앉았는데 의장인 듯한 한 물건이 들어온다. 머리에는 금색이 찬란한 큰 관을 쓰고 몸에는 오색이 영롱한 의복을 입고 턱하니 의장석에 올라서서 한 번 읍하니 위의가 제법 엄숙한 것으로 미루어 석법지사가 분명했다. 둘레에는 그를 따르는 무리들이 검은 법복을 입고 앉아 서슬 퍼런 눈알을 데굴데굴 굴려댔다. 석법지사는 방망이를 썩 들더니 “땅! 땅!” 두드리며 거만한 태도로 머리를 흔들며 말했다.

이 글은 연암 박지원의 「호질」과 안국선의 「금수회의록」에서 일부 문장과 어휘들을 차용하였음을 밝힌다.

<다음 회(23회)에 계속>

▲ 휴헌(休軒) 간호윤(簡鎬允·문학박사):인하대학교 초빙교수·고전독작가(古典讀作家)
▲ 휴헌(休軒) 간호윤(簡鎬允·문학박사):인하대학교 초빙교수·고전독작가(古典讀作家)

/휴헌(休軒) 간호윤(簡鎬允·문학박사):인하대학교 초빙교수·고전독작가(古典讀作家)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21) 신호민론(新豪民論), 천하에 두려워할 존재는 오직 백성이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손을 이마에 얹고, ‘아. 참으로 좋은 울음 터로다. 가히 한 번 울만하구나!’ 하였다.(不覺擧手加額曰 好哭場 可以哭矣)”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 중 「도강록」 7월8일자에 보이는 글이다. 연암이 연경을 가면서 조선을 벗어나 광막한 대평원을 바라보며 외치는 일성! 그 행간과 여백을 찬찬히 살피면 끝없이 펼쳐진 요동벌판을 보고 한바탕 울음 울고 싶다는 소회가 보인다. 몇 줄 뒤에서 연암은 “울음이란 천지간에 있어서 천둥소리(哭在天地 可比雷霆)”라 하였다. 연암은 중화(中華)만을 떠받드는 일부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20) 욕설(辱說), 그 카타르시스의 미학? 이 가을, 하늘은 공활하다. 글을 쓰되 시대의 공민(共悶)과 사회의 공분(公憤)을 쓰려한다. <법구경> 제10장 '도장품(刀杖品)'을 읽다가 눈길이 멈춘다. “부당추언(不當麤言,남 듣기 싫은 말 하지 말라) 언당외보(言當畏報,돌아오는 남 말이 두렵지 않느냐) 악왕화래(惡往禍來,악이 가면 화가 오는 법이니) 도장귀구(刀杖歸軀,칼과 몽둥이로 네 몸에 돌아온다)” 턱 막힌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가는 말이 욕인데 어찌 오는 말이 고우랴.꼴같잖은 놈들이 설쳐대는 꼴같잖은 세상을 살아내자면 욕이 나온다. 김열규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19) 선생(先生), 행동이 바르고 그 입이 깨끗하다 이 가을, 용산 발(發) 숙살(肅殺)의 암울한 기운이 스멀스멀 방방곡곡으로 기어든다. 백주 대낮에 “이 XX들…”이라 한 희대의 정범(正犯)이 간나위 교사범(敎唆犯) 패거리와 짬짜미하여 국민을 공동정범(共同正犯)으로 만들려 한다. 문둥이 시악 쓰듯 하는 행태가 꼭 냉수에 이 부러질 우스운 짓이나 등골이 서늘하고 소름까지 돋는다. “정치는 고매한 행위입니다. 저는 그래서 정치를 못합니다.” '변상욱 쇼'를 진행하는 이의 품격 있는 말이다. 저 말 한 마디로 언어의 품격이 살고 정치는 우리 삶에 품위있게 다가온다. 세계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18) 대책문(對策文), 시대의 물음에 답한다 총체적 난국이다. “민주당 지지자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서 2.5%만이, 대북·외교안보정책에 대해선 5.0%가 '신뢰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는 꽤 높은 수치로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73.7%), 대북·외교안보정책(75.0%)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평가가 극과 극이다.” <신뢰도 가장 낮은 현직 대통령 윤석열>이란 제하의 '시사IN'(2022.9.13.) 기사이다.기사의 “평가가 극과 극이다”라는 말은 대화가 안 된다는 말이요, 불가살이들이 설치는 세상이라는 뜻이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23) 신호질(新虎叱), 이 선비놈아! 구린내가 역하구나! (2) “친애하는 금수동지 여러분! 나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법치국가를 구현하기 위해 일순간도 멈추지 않는다.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사람은 자유 필요성을 모른다. 내 말만 더 받아쓰면 우리들은 더 행복해진다. 나는 자유를 외치지만, 정의‧공정 같은 매우 불량한 어휘들을 이 땅에서 없애기 위해 새벽 5시에 일어난다. 나와 내 금수를 괴롭히는 것들에게는 반드시 상응하는 고통을 준다. 관용과 배려는 죄악이요, 증오와 적대는 미덕이다. 내 생각에 어깃장을 놓는 놈들은 모조리 법으로 검열하고 겁박한다. 법 돌아가다가 외돌아가는 세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24) 신호질(新虎叱), 이 선비놈아! 구린내가 역하구나! (3) '이랑'이란 가객과 노래패가 <늑대가 나타났다>를 부르자 좌중은 모두 일어서서 “물러가라! 물러가라!”를 연호하였다. 곧이어 한 무리의 금수 떼가 나타나 몽둥이를 휘둘러 쫓아버렸다. 금수들이 아직도 제 분을 못 이기어 한 마디씩 해댔다. “옳은 소리를 하는 것들은 모조리 없애야 해!” “암! 그럼, 그렇고말고.”그러자 이번에는 수염이 간드러진 얌생이 한 물건이 연사로 나섰다. 그 뿔은 완고해 보였고 염소수염은 고집 센 늙은이 형상이며 들까불고 눈을 할금거리나 말하는 것은 여간 느물느물한 게 아니었다. 백년 묵은 능구렁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25) 신호질(新虎叱), 이 선비놈아! 구린내가 역하구나! (4) 노랫소리와 함께 사면에서 창귀(倀鬼)들이 쇠몽둥이 하나씩 들고 뛰쳐나오는 데, 동에서는 굴각이요, 서에서는 이올이, 남에서는 육혼이 우루루루- 금수회의소로 들이닥치며 소리친다. “범님이 오셨다!” “범님이 오셨다!” “범님이 출두하옵신다!” 두세 번 외치는 소리가 벽력 치듯 나니 하늘이 와르르 무너지고 땅이 푹 꺼지는 듯, 천둥소리와 창귀소리가 산천을 진동시켰다. 금수들이 겁을 내어 이리뛰고 저리뛰고 넘어지고 자빠지고 울타리에 자라처럼 대가리를 들이민 놈, 시궁창에 떨어진 놈, 오줌 지리고 애고대고 우는 놈, 대가리 감싸 안고 쥐구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27) 후생가외(後生可畏), '씨알 데 있는 말'을 하는 선생이라야 역시 대학 총장님다웠습니다. 75세인데도 옷차림은 세련되었고 예약된 음식점은 한식으로 정갈한 상차림이었습니다. 식사를 마치자 함께 자리했던 분은 가시고 나와 그 분만 고풍스런 향기가 나는 찻집으로 옮겼습니다. 이 찻집도 총장님의 단골집이랍니다. 자연스럽게 이야기 줄기는 요즈음 외국 학생이 많이 들어오는 대학 현실로 들어섰지요. “아! 우리도 옛날에 그렇게 다 외국 가서 박사 따 와서 교수하고 그랬지 뭐. 박사학위 그런 거 대충 줘요.” 학위를 너무 남발한다는 내 말에 대한 대답이었습니다. “나도 다 아는 그런 말 말고.” “이번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