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양평 거북섬 근황이 최근 보도됐다. 50년 동안 인적이 끊겼던 섬을 둘러보기 위해 군수 일행이 섬을 찾은 덕이다. “섬 전체 면적의 약 절반 정도는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숲이 우거져” 있었다는 문장에 눈길이 꽂혔다. (인천일보 5월10일자) 농작물은 농부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크지만, 야생의 숲은 사람 발길이 닿지 않아야 무성해 지는 것일까.

양평군 양서면 대심리 거북섬은 원래 섬이 아니다. 1970년대 초 팔당호 담수가 시작되면서 남한강 물길이 변했고, 낮은 지대가 물에 잠기는 바람에 섬이 되었다. 한강에는 팔당댐으로 인해 생겨난 하중도(河中島)가 여럿 있다. 예를 들면, 광주시 남종면 우천리는 마을 전체가 아예 수몰되고, 동네의 가장 높은 지대만 남아 섬으로 떠 있다.

조선시대 진경산수의 대가 겸재 정선(謙齋 鄭敾)이 남긴 <경교명승첩>에 예전 우천리를 그린 그림이 전해진다. 1740년대에 한양 근처 경치 뛰어난 곳을 골라 그린 화첩에 들 정도이니, 우천리 풍광이 상당했을 터이나 지금은 그저 한갓 하중도일 따름이다. 거북섬처럼 생태계는 살아났을까 문득 궁금하다.

지난 2009년 경기도지사 일행이 남한강 섬들을 돌아보았던 적이 있다. '남한강 생태벨트' 조성을 위한 답사였다. 당시 지사 일행은 여주 양섬과 백석리섬, 양평 양강섬(양근리섬)과 대하섬 등을 방문했다. 이후 경기도가 '남한강 생태벨트' 사업을 얼마나 지속해서 추진했는지 알 수 없으나, 하여튼 양강섬은 양평군이 공원으로 꾸몄고, 여주 양섬도 여주시가 근린공원으로 변모시켰다. “제2의 남이섬이 될 잠재력이 있다”던 여주 백석리섬은 안타깝게도 전투기 훈련장 신세를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다.

양평군 강하면 운심리 대하섬은 서두에 언급한 거북섬과 남북으로 나란히 있는 하중도다. 크기도 대하섬이 21만㎡, 거북섬이 24만㎡로 크기도 비슷하고, 사유지와 국유지(하천부비)의 비율도 비슷하다. 대하섬 역시 반딧불이가 많이 서식하는 친환경 생태 섬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하섬은 운심리에서, 거북섬은 대심리에서 배를 타야만 들어갈 수 있다.

양평군은 현재 대하섬과 거북섬을 활용방안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듣자 하니 강 위로 케이블카를 연결해 관광지화하는 방안도 거론 중인 모양이다. 일단 두 하중도의 생태가 어느 정도인지 정확히 파악한 후에 충분히 논의해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이야기가 먼저 튀어나오는 듯해서 마음이 편치 않다. 사족 : 겸재 후예들이 한강 하중도 진경산수를 그리도록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 어떨까?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공존은 시대의 명령 인간과 고라니가 공존하는 길은 없을까? 요즘 광교산 일대에 고라니가 출몰해 농작물 등이 피해를 본다는 소식에 마음이 언짢다. 지난해 10월 세종시 세종수목원이 고라니 12마리를 총기 사살해 물의가 빚어졌다. 멸종위기종인 야생 동물을 그리 잔혹하게 포획할 수 있느냐는 시민 항의가 잇따랐다. 수목원 측도 할 말이 없지는 않았다. 2020년부터 고라니가 떼를 지어 다니면서 애써 심은 식물들의 새싹을 먹어치웠다. 고라니는 유해조수이기도 하다.식물보호를 위해 말 못하는 동물에게 총을 써야 하는 아이러니 상황. 세종수목원이 찾아낸 해법은 울타 [썰물밀물] 서희의 탁견과 당당함 소손녕(蕭遜寧)은 거란 군사가 80만이라 주장하며 고려에 항복을 다그쳤다. 협상에 나선 서희(徐熙)는 소손녕과 첫 대면 방식을 놓고 기 싸움을 벌였다. 소손녕은 요(거란)가 대국이므로 서희가 뜰 아래에서 예를 갖추어야 한다고 압박했다. 서희는 외교 상대에게 군주-신하의 예를 강요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다. 두세 번 말해도 소손녕이 받아들이지 않자. 서희는 분노를 드러내며 관사로 돌아가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았다. 결국 소손녕이 마주 앉아 예를 표할 수밖에 없었다. 고려 조정에는 영토를 일부 떼 주고라도 요나라와 화친하자는 [썰물밀물] 아, 홈 스위트 홈! '홈 스위트 홈'의 작사가 존 하워드 페인은 평생 집이 없었다던가. 오페라 삽입곡으로 쓰였다는 '홈 스위트 홈'은 미국 남북전쟁 당시 남군도 북군도 가장 즐겨 부르던 노래였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집은 돌아갈 수 없을 때 더 그립고 간절하게 생각나는 법이다. 하여 '스위트 홈(sweet home)'은 반어법으로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올해 이상문학상을 받은 최진영 작가의 '홈 스위트 홈'은 집에 대한 기억을 다룬다. 폐암 말기에 접어든 주인공은 폐가를 사들여 생의 마지막 공간 [썰물밀물] 군포, 수리산의 선물 군포시 재궁동에 밤바위산이라는 작은 산이 있다. 밤나무 숲 속 밤바위라 불리는 큰 바위 덕에 그리 불렸다. 밤바위에 오르면 군포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는데, 그 풍경이 근사하여 예로부터 군포8경의 하나로 꼽혔다. 밤바위에는 둘로 크게 갈라진 부분이 있어 청소년들이 바위 틈새를 날아오르듯 뛰어넘는 담력 겨루기를 하곤 했다. <군포시사> 별책으로 편집된 '군포 사진 스케치'에는 바위 틈새로 도약하는 소년을 아래에서 촬영한 역동적인 사진(1968년)이 실려 있다. 밤바위산 일대는 현재 한얼공원으로 조성돼 있다.수리산 풀장에서 [썰물밀물] 내가 예술인 기회소득에 찬성하는 이유 유네스코(UNESCO)가 1980년에 내놓은 '예술가의 지위에 관한 권고'는 첫머리에서 '예술가'를 이렇게 정의한다. “어떤 협회에 관계하고 있는지와는 관계없이 예술가로 인정받을 수 있거나 인정받기를 요청하는 모든 사람.” 한마디로, 자기 생활의 본질이 예술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누구나 예술가라는 것이다. 그 앞에 몇 줄의 설명이 붙어 있기는 하지만 다시 읽어 봐도 저 한 줄로 수렴된다.이솝 우화 <개미와 매미>든, 변형 버전인 <개미와 베짱이>든, 매미와 베짱이는 예술가인가 아닌가. 그들 생활의 본질이 [썰물밀물] 박두진 다시 읽기 박두진 시인(1916~1998)의 마지막 집필실이 잡초에 묻혀간다는 기사를 읽었다. 안성시 금광면 오흥리 집필실 소유권이 후손에서 타인으로 넘어갔고, 새 집주인은 철거를 원하는 상태라고 한다. 시인의 유품을 옮겨 보관할 예정이라지만, 한국문단의 거목이 남긴 공간을 이렇게 스러지도록 내버려 둘 수밖에 없는가. '살아서 설던 주검 죽었으매 이내 안 서럽고, 언제 무덤 속 화안히 비춰줄 그런 태양(太陽)만이 그리우리.' <묘지송>은 시인의 데뷔작이자 대표시 가운데 하나다. 마지막 집필실은 태양이 그리울 게다.시인의 고향은 [썰물밀물] 세계문화유산 도시의 상상력 1997년 3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실사단이 수원을 방문했다. 대한민국은 창덕궁과 수원화성(사적 3호)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밀고 있었다. 수원시가 적극적으로 나선 덕에 실사단은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돌아갔다. 하지만 6월 들어 창덕궁은 가능하지만 화성은 어려울 것 같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심재덕 당시 수원시장은 즉시 유네스코 본부가 있는 파리 행 비행기를 탔다. 직접 가서 심사위원들을 설득해보겠다는 것이었다.심 시장은 출국 전 역사학자 사운 이종학으로부터 건네받아 온 <화성성역의궤> 영인본을 펼쳐 보이며 심사위원들을 각개격파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