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1989년 4월 노태우 정부는 성남 분당과 더불어 고양 일산에 수도권 신도시를 짓겠다고 공표했다. 1년 전 안양 평촌, 군포 신본, 부천 중동 신도시 계획을 발표했어도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200만호 건설 목표 달성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한강 이북에 신도시가 들어선다니 놀랍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휴전선까지 20㎞ 남짓인 지근거리에 인구밀집 신도시를 건설한다는 구상이 당시의 안보논리 상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후일담에 의하면, 고양 백마사단장을 지낸 노 대통령이 각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산 신도시를 밀어붙였다고 한다.

1992년 고양시 승격 전, 고양군을 하나의 도시가 아니라 3~4개의 시로 분할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대두하였다. 신도시가 들어서는 일산 쪽과 원당, 지도, 신도, 화전 등이 별개의 생활권으로 발전하고 있었던 탓이다. 결국 도농복합시라는 개념으로 하나의 도시 정체성을 유지하기로 결론이 났다. 일산 주민들을 중심으로 고양시 대신 일산시로 명칭을 바꾸자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고양'이라는 500년 넘은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거로 귀착되었다. 그 덕에 고양시는 오늘날 전국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기초자치단체가 꼽히기에 이르렀고, 특례시로 승격할 수 있었다.

고양은 서울을 서북쪽으로 감싸고 있는 고장이다. 조선총독부는 고양을 수제비 반죽 주무르듯 주물러 뗐다 붙였다 행정구역을 개편했다. 1914년 고양군 아래 면을 설치해 여의도에서 뚝섬과 잠실까지 관할하게 했다가, 1936년에는 일부를 떼어 경성부(서울)로 편입시켰다. 한강 북쪽 서울 가운데 도봉구 노원구 등 양주군에 속했던 지역을 제외하면 모두 고양군 땅이었다. 해방 직후 고양군 숭인면 뚝도면 은평면이 완전히 서울시로 넘어갔다. 고양군청은 1961년 8월 초까지 서울 을지로에 있다가 원당면 주교리(현 덕양구 주교동)로 옮겨왔다.

고양시 시청사 이전 문제를 두고 시끌시끌하다. 민선8기 시장이 전임 시장 때 추진된 주교동 시청사 신축 계획을 백지화하고 일산동구 백석동으로 시청을 이전키로 결정한데 대해 덕양구 시민들 반발이 거세다. 백석동 이전을 지지하는 시민들은 시 재정 몇천억을 절약할 수 있다고 반기는 반면 이전 반대 측은 덕양구의 발전 지체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주장한다. 자칫하면 '고양'이라는 지역정체성을 위협할 가능성도 감지된다. 정답은 없다. 지역통합을 유지하는 것만이 올바른 선택일 리도 없고, 쪼개는 게 능사일 리도 없다. 다만 이렇듯 날카롭게 지역여론이 대립하는 방식으로 이전을 추진하는 게 최선이었지 묻고 싶고, 답을 듣고 싶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정의로운 난방 연탄 난방 세대다. 집에서는 19공탄을 땠고, 학교에서는 조개탄을 피웠다. 연탄 아끼려고 불구멍은 거의 닫아 놓고 살았다. 자다 깨서 탄을 갈아본 기억은 거의 없으나 낯엔 가끔 녹슨 부엌칼로 아래위 붙은 연탄을 내려쳐 떼 내는 일을 해야 했다. 후에 번개탄이라는 게 생겨 꺼뜨린 연탄불을 다시 지피는 일이 조금 수월해지기는 했어도, 번개탄에서 나는 맵고 독한 '까스'가 질색이었다. <검정고무신> 세대가 공유하는 기억이다.자리끼가 얼어 터지는 방에서 자본 일은 없다. 잠들기 전 머리맡에 주전자에 물을 받아놓기는 했어도, [썰물밀물] 경기도 산업관광 중1 학교 소풍 길에 라면 공장을 견학했다. 대형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흐르는 국수가락이 끓는 기름에 들어갔다가 나와 꼬불꼬불 면발로 변하고, 자동으로 낱개 포장까지 되는 일관 공정이 신기하기만 했다. 게다가 돌아오는 길에 전교생이 라면과자를 선물 받았다. 교복 아래위 주머니란 주머니에 과자를 싱글벙글 눌러 담던 기억이 새롭다. 성인이 된 후에 맥주를 공짜로 무한 시음하게 해주던 맥주공장과 국내 최대 가전제품 공장을 견학할 기회가 있었지만, 사춘기 초입에 가 본 라면공장 기억이 가장 인상 깊다. 역시 뼈 굳기 전 경험이 가장 강력한 [썰물밀물] 계묘년의 춤 주말에 뒹굴거리며 '유 퀴즈 온 더 블록' 재방을 보다가 '저스트 절크(Just Jurk)'라는 댄스 크루를 알게 됐다. 춤은 딴 차원 세계이거기 여기며 살아온 눈에도 젊은이들 춤이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검색해보니, 2016년 국제 춤 경연(Body Rock Dance Competition) 우승, 2017년 아메리칸 갓 탤런트 시즌 12에서 쿼터파이널까지 진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단독공연 등 경력이 화려하다. 직역하면 '그냥 바보'인 팀명을 쓰는 자신감 또한 남달라 보였다 [썰물밀물] 아파트 정원의 재발견 아파트 단지에는 사람과 반려동물만 사는 게 아니다. 나무와 풀도 산다. 인천 출신 나무칼럼니스트 고규홍은 이렇게 썼다. “도시는 어떠한 산과 들, 혹은 농촌 산촌과 같은 시골 마을보다 훨씬 다양한 식생을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자연스러움이 모자랄지 몰라도 다양함에서만은 시골보다 앞설 수밖에 없다.” (<도시의 나무 산책기>) 사실이다. 출퇴근길에, 편의점 가는 길에 잠시 아파트 단지를 둘러보시라. 이름을 아는 나무보다 모르는 나무가 훨씬 많을 정도로 수종이 다양하다는 사실에 놀라게 될 터이다. 나의 경험담이기도 하다.2021년 말 [썰물밀물] '광명동굴 2.0' 광명동굴의 본디 이름은 가학광산이다. 가학광산 광업권 기록은 1912년 일본인 반전구일랑(飯田久一郞)이 처음이다. 식민세력은 말 그대로 삼천리 방방곡곡을 뒤져 광물자원을 찾아다녔다. 학이 마을을 빙 두른 모양새여서 가학리라 부르던 마을은 졸지에 광산촌으로 변모해 갔다. 가학산에 묻힌 광물은 금, 은, 동, 아연이었다. 금은 일찌감치 다 파먹었고, 해방 무렵 가학광산에서는 구리와 아연, 납 광석이 채굴되었다. 파낸 광물은 선광과 분광 등 공정을 거쳐 금속성분을 추출한 다음 장항제련소 등지로 실어 보냈다.해발 220m 남짓한 가학산에 [썰물밀물] 부천 필의 300회 정기연주회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지난 24일 제300회 정기연주회를 가졌다. 이날 연주회는 우크라이나 지휘자 유리 얀코가 지휘봉을 잡았다. 공연 주제는 베토벤의 '영웅'.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을 맞아 우크라이나인들을 위로하고 응원하자는 취지다. 지난 35년간 탁월한 기획력을 선보였던 교향악단다운 섬세하고 치밀하고 따뜻한 배려다. 유리 얀코는 우크라이나 두 번째 도시 하르키우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다. 하르키우 공연장은 러시아의 포격으로 공연장 일부가 파괴된 상태라고 한다. 우크라이나 인민예술인인 유리 얀코는 “평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