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주말에 뒹굴거리며 '유 퀴즈 온 더 블록' 재방을 보다가 '저스트 절크(Just Jurk)'라는 댄스 크루를 알게 됐다. 춤은 딴 차원 세계이거기 여기며 살아온 눈에도 젊은이들 춤이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검색해보니, 2016년 국제 춤 경연(Body Rock Dance Competition) 우승, 2017년 아메리칸 갓 탤런트 시즌 12에서 쿼터파이널까지 진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단독공연 등 경력이 화려하다. 직역하면 '그냥 바보'인 팀명을 쓰는 자신감 또한 남달라 보였다. '춤에 미친 바보들' 혹은 '춤밖에 모르는 바보들', 근사하다.

지난달 부산으로 짧은 여행을 다녀왔다. 오래 외국생활을 하다 귀국한 벗을 만나러 몇몇 지인이 동행했다. 숙소에서 간단하게 저녁을 먹은 후 한 분이 나서서 그동안 배운 '벨리 댄스' 시범을 보였다. 허리 돌아가는 품새와 어깨가 들썩이는 춤사위가 예사롭지 않았다. 교단에서 은퇴한 후 일곱 달을 배우고 익힌 솜씨라 했다. 그저 골반과 어깨를 흔드는 춤인 줄 알았더니, 단전에 힘을 모으고 견갑골을 이용해야 제대로 된 춤이라 했다. 아하! 저렇게 태가 나려면 상당한 수련과 훈련이 필요하구나! 새삼 깨달았다.

이서수 작가 단편소설 <춤은 영원하다>에 나오는 이모는 춤꾼이다. 흥이 필요한 자리, 예컨대 잔치나 장터 등지에서 좌중을 휘어잡는다. 이모의 춤은 '알잘딱깔센'이다. '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 있게' “몸을 과하게 흔드는 일 없이 골반을 슬쩍슬쩍 움직이고, 손가락을 한 번씩 튕기면서” 모두의 엉덩이를 들썩이게 한다.

그런 이모가 말한다. “춤은 테크닉이지. 근데 테크닉은 누군가 정해 놓은 규칙이야. 우스꽝스럽게 움직이지 말라는 규칙. 그러니까 테크닉보다 진심이 중요해” 소설에는 할머니와 어머니의 춤도 등장한다. 평생 들일 집안일, 숨 막히는 숙명에 눌려 살던 할머니가 딱 한 번, 어머니가 한 번 시전하는 막춤. 팔다리와 신체 부위가 모두 따로 놀지만, 몰입할수록 평생 응어리가 저릿하게 전해지는 춤이다. 소설의 대단원에서 춤꾼 이모도 예의 '알잘딱깔센' 춤이 아니라 어머니와 함께 진심의 막춤을 춘다.

터키 시인 나짐 히크메트는 '진정한 여행'이라는 시에서 “불멸의 춤은 아직 추어지지 않았으며/ 가장 빛나는 별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별”이라 노래했다. 시인은 “어느 길로 가야 할지 알 수 없을 때/ 그 때가 진정한 여행의 시작”이라고도 했다. 음력 계묘년이 닷새 남짓 남았다. '저스트 절크'도, 벨리 댄스 선생님도, 어머니와 이모도 그리고 당신도 진심 담은 춤을 추는 계묘년이기를…. 최고의 날들은 아직 살지 않은 날들이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아파트 정원의 재발견 아파트 단지에는 사람과 반려동물만 사는 게 아니다. 나무와 풀도 산다. 인천 출신 나무칼럼니스트 고규홍은 이렇게 썼다. “도시는 어떠한 산과 들, 혹은 농촌 산촌과 같은 시골 마을보다 훨씬 다양한 식생을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자연스러움이 모자랄지 몰라도 다양함에서만은 시골보다 앞설 수밖에 없다.” (<도시의 나무 산책기>) 사실이다. 출퇴근길에, 편의점 가는 길에 잠시 아파트 단지를 둘러보시라. 이름을 아는 나무보다 모르는 나무가 훨씬 많을 정도로 수종이 다양하다는 사실에 놀라게 될 터이다. 나의 경험담이기도 하다.2021년 말 [썰물밀물] 안성시 보개면 기좌리 안성시 보개면 기좌리에서도 정월이면 마을 민속놀이로 줄다리기가 벌어졌다. “숫줄은 남자가 당기고 암줄은 여자가 당기는데 줄을 당기는 도중 여자 노인 중 몇 명이 남자들 쪽에 와서 줄을 못 당기게 회초리로 남자들의 손등을 때렸다고 한다. 그러면 대부분 여자 쪽에서 승리하였고 그해에는 풍년이 들었다고 한다.” <자치안성신문>의 이 기사는 기좌리 마을지인 <적재울의 발자취>에 소개된 내용이라고 했다. 힘 센 편의 손등을 회초리로 친다는 발상이 웃음을 머금게 한다.기좌리는 안성 한지(韓紙)의 고향이다. 조선 중기부터 안성 기좌리에서는 다양 [썰물밀물] 포천시 자작동 국방부가 지난주 포천시 자작동 6군단 부지 내 포천시 소유 부지를 시에 돌려주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국전쟁 이래 70년 간 점용했던 땅을 뒤늦게 반환하는 것이지만, 반가운 연말 선물이 틀림없다. 도농복합도시 포천시가 도시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소흘읍과 포천시청을 잇는 축선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자작동 6군단 부지는 이 라인의 노른자에 해당하는 땅이다. 더군다나 부지의 무상사용 기한이 올해 말 끝나도 국방부가 다른 부대를 배치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아 포천 관계자들이 애를 태우던 참이었다.자작동은 해발 737m 왕방산 남동쪽에 위치한 [썰물밀물] 수원 국립농업박물관 조선은 1883년 미국과 서구에 보빙사(報聘使)라는 외교사절단을 파견했다. 보빙사 일행은 서구 근대의 문물을 두루 돌아보았다. 미국 보스턴의 한 농장을 시찰한 보빙사는 조선의 전통 농업과 차원이 다른 농법과 농업경영에 큰 감명을 받았다. 홍영식은 귀국 뒤 고종에게 서구식 근대 농업 도입에 앞장 설 모범농장 설치를 건의했다. 그에 따라 1884년 농무목축시험장이라는 모범농장이 망우리에 설치되었다. 관리 책임은 보빙사를 수행했던 최경석이 맡았다. 농무목축시험장은 한국 근대농업의 효시였다. 하지만 아쉽게도 최경석이 1886년 병사하자 농 [썰물밀물] 안성 '정의로운 전환' 시민 조례 기후위기 안성비상행동은 지난 8월 중순부터 두 달여 부지런히 시민 서명을 받으러 다녔다. '안성시 탄소중립 정의로운 전환 기본 조례안'을 발의하기 위해서였다. 탄소중립이 거스를 수도 없고, 절대 늦추어서는 안 되는 지구인의 목표가 되었으나, 아직 실감하지 못하는 시민이 많은 상황이어서 '정의로운 전환' 조례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일이 만만하지는 않았을 듯하다. 하지만 안성비상행동은 결국 해냈다. 조례안은 3700명 서명으로 안성시의회에 제출됐다. 기후위기 대응 조례가 시민 발의로 성사되기는 안성이 전국 최 [썰물밀물] 경기도 산업관광 중1 학교 소풍 길에 라면 공장을 견학했다. 대형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흐르는 국수가락이 끓는 기름에 들어갔다가 나와 꼬불꼬불 면발로 변하고, 자동으로 낱개 포장까지 되는 일관 공정이 신기하기만 했다. 게다가 돌아오는 길에 전교생이 라면과자를 선물 받았다. 교복 아래위 주머니란 주머니에 과자를 싱글벙글 눌러 담던 기억이 새롭다. 성인이 된 후에 맥주를 공짜로 무한 시음하게 해주던 맥주공장과 국내 최대 가전제품 공장을 견학할 기회가 있었지만, 사춘기 초입에 가 본 라면공장 기억이 가장 인상 깊다. 역시 뼈 굳기 전 경험이 가장 강력한 [썰물밀물] 정의로운 난방 연탄 난방 세대다. 집에서는 19공탄을 땠고, 학교에서는 조개탄을 피웠다. 연탄 아끼려고 불구멍은 거의 닫아 놓고 살았다. 자다 깨서 탄을 갈아본 기억은 거의 없으나 낯엔 가끔 녹슨 부엌칼로 아래위 붙은 연탄을 내려쳐 떼 내는 일을 해야 했다. 후에 번개탄이라는 게 생겨 꺼뜨린 연탄불을 다시 지피는 일이 조금 수월해지기는 했어도, 번개탄에서 나는 맵고 독한 '까스'가 질색이었다. <검정고무신> 세대가 공유하는 기억이다.자리끼가 얼어 터지는 방에서 자본 일은 없다. 잠들기 전 머리맡에 주전자에 물을 받아놓기는 했어도, [썰물밀물] 고양 시청사 이전, 이게 최선입니까? 1989년 4월 노태우 정부는 성남 분당과 더불어 고양 일산에 수도권 신도시를 짓겠다고 공표했다. 1년 전 안양 평촌, 군포 신본, 부천 중동 신도시 계획을 발표했어도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200만호 건설 목표 달성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한강 이북에 신도시가 들어선다니 놀랍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휴전선까지 20㎞ 남짓인 지근거리에 인구밀집 신도시를 건설한다는 구상이 당시의 안보논리 상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후일담에 의하면, 고양 백마사단장을 지낸 노 대통령이 각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산 신도시를 밀어붙였다고 한다. [썰물밀물] '광명동굴 2.0' 광명동굴의 본디 이름은 가학광산이다. 가학광산 광업권 기록은 1912년 일본인 반전구일랑(飯田久一郞)이 처음이다. 식민세력은 말 그대로 삼천리 방방곡곡을 뒤져 광물자원을 찾아다녔다. 학이 마을을 빙 두른 모양새여서 가학리라 부르던 마을은 졸지에 광산촌으로 변모해 갔다. 가학산에 묻힌 광물은 금, 은, 동, 아연이었다. 금은 일찌감치 다 파먹었고, 해방 무렵 가학광산에서는 구리와 아연, 납 광석이 채굴되었다. 파낸 광물은 선광과 분광 등 공정을 거쳐 금속성분을 추출한 다음 장항제련소 등지로 실어 보냈다.해발 220m 남짓한 가학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