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광명동굴의 본디 이름은 가학광산이다. 가학광산 광업권 기록은 1912년 일본인 반전구일랑(飯田久一郞)이 처음이다. 식민세력은 말 그대로 삼천리 방방곡곡을 뒤져 광물자원을 찾아다녔다. 학이 마을을 빙 두른 모양새여서 가학리라 부르던 마을은 졸지에 광산촌으로 변모해 갔다. 가학산에 묻힌 광물은 금, 은, 동, 아연이었다. 금은 일찌감치 다 파먹었고, 해방 무렵 가학광산에서는 구리와 아연, 납 광석이 채굴되었다. 파낸 광물은 선광과 분광 등 공정을 거쳐 금속성분을 추출한 다음 장항제련소 등지로 실어 보냈다.

해발 220m 남짓한 가학산에 유용한 광물이 꽤 묻혀 있었던 모양이다. 1912년 시작된 가학광산은 1972년까지 60년 동안 가동되었다. 수평·수직 갱도가 7~8개 층을 이루었다 한다. 시흥광산이라고도 불렸던 가학광산의 광업권을 마지막으로 인수한 김기원 씨는 광업권을 갱신하기 위해 돈깨나 들였지만 결국 실패했다. 가학광산은 1994년 완전히 폐쇄됐다. 시기를 굳이 나누자면 1912~1972년이 가학광산 1기, 1972~1994년이 2기쯤 된다. 1기는 전성기, 2기는 암흑기다.

폐광 이후 가학광산은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다. 다 파먹은 김칫독은 다음 김장철에 재활용이라도 하지만 광부 떠난 동굴을 활용할 길이 막막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광석을 깨고 부수는 과정에서 나온 찌꺼기(우리말로 '복대기', 한자로 광미) 더미가 작은 언덕을 이루며 쌓여 있었고, 여기서 흘러나온 침출수가 아랫동네 중금속 오염을 야기했다. 그나마 광미 문제는 복토가 이루어져 광명시 자원회수시설이 들어서면서 사라졌으나, 폐갱 용도는 여전히 오리무중이었다. 광업권자는 하는 수 없이 서늘한 갱도를 새우젓 보관 창고로 썼다.

2005년 광명시는 가학광산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자는 정책연구 자료를 발간했다. 이 제안이 현실이 된 것은 2011년이다. 당시 광명시장(양기대)이 우여곡절 끝에 가학광산을 사들였고, 2015년에는 광명동굴이라 이름을 바꾼 다음 관광지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2022년 말 현재 광명동굴은 유료관광객만 700만 명이 다녀간, 수도권 명소로 자리 잡았다. 수탈과 산업화의 현장에서 손가락질받는 폐물이 되었다가 화려하게 부활한 공간의 유전이 흥미롭다.

광명동굴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시키자는 논의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인천일보 2월17일자 '문화예술로 광명동굴 재창조의 기적을') 음악 미디어아트 스토리텔링 전문가들의 제안이 솔깃하다. 다만 오랫동안 명소가 되도록 더 깊이 따져보고 차근차근 준비했으면 한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고양 시청사 이전, 이게 최선입니까? 1989년 4월 노태우 정부는 성남 분당과 더불어 고양 일산에 수도권 신도시를 짓겠다고 공표했다. 1년 전 안양 평촌, 군포 신본, 부천 중동 신도시 계획을 발표했어도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200만호 건설 목표 달성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한강 이북에 신도시가 들어선다니 놀랍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휴전선까지 20㎞ 남짓인 지근거리에 인구밀집 신도시를 건설한다는 구상이 당시의 안보논리 상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후일담에 의하면, 고양 백마사단장을 지낸 노 대통령이 각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산 신도시를 밀어붙였다고 한다. [썰물밀물] 정의로운 난방 연탄 난방 세대다. 집에서는 19공탄을 땠고, 학교에서는 조개탄을 피웠다. 연탄 아끼려고 불구멍은 거의 닫아 놓고 살았다. 자다 깨서 탄을 갈아본 기억은 거의 없으나 낯엔 가끔 녹슨 부엌칼로 아래위 붙은 연탄을 내려쳐 떼 내는 일을 해야 했다. 후에 번개탄이라는 게 생겨 꺼뜨린 연탄불을 다시 지피는 일이 조금 수월해지기는 했어도, 번개탄에서 나는 맵고 독한 '까스'가 질색이었다. <검정고무신> 세대가 공유하는 기억이다.자리끼가 얼어 터지는 방에서 자본 일은 없다. 잠들기 전 머리맡에 주전자에 물을 받아놓기는 했어도, [썰물밀물] 경기도 산업관광 중1 학교 소풍 길에 라면 공장을 견학했다. 대형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흐르는 국수가락이 끓는 기름에 들어갔다가 나와 꼬불꼬불 면발로 변하고, 자동으로 낱개 포장까지 되는 일관 공정이 신기하기만 했다. 게다가 돌아오는 길에 전교생이 라면과자를 선물 받았다. 교복 아래위 주머니란 주머니에 과자를 싱글벙글 눌러 담던 기억이 새롭다. 성인이 된 후에 맥주를 공짜로 무한 시음하게 해주던 맥주공장과 국내 최대 가전제품 공장을 견학할 기회가 있었지만, 사춘기 초입에 가 본 라면공장 기억이 가장 인상 깊다. 역시 뼈 굳기 전 경험이 가장 강력한 [썰물밀물] 계묘년의 춤 주말에 뒹굴거리며 '유 퀴즈 온 더 블록' 재방을 보다가 '저스트 절크(Just Jurk)'라는 댄스 크루를 알게 됐다. 춤은 딴 차원 세계이거기 여기며 살아온 눈에도 젊은이들 춤이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검색해보니, 2016년 국제 춤 경연(Body Rock Dance Competition) 우승, 2017년 아메리칸 갓 탤런트 시즌 12에서 쿼터파이널까지 진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단독공연 등 경력이 화려하다. 직역하면 '그냥 바보'인 팀명을 쓰는 자신감 또한 남달라 보였다 [썰물밀물] 부천 필의 300회 정기연주회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지난 24일 제300회 정기연주회를 가졌다. 이날 연주회는 우크라이나 지휘자 유리 얀코가 지휘봉을 잡았다. 공연 주제는 베토벤의 '영웅'.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을 맞아 우크라이나인들을 위로하고 응원하자는 취지다. 지난 35년간 탁월한 기획력을 선보였던 교향악단다운 섬세하고 치밀하고 따뜻한 배려다. 유리 얀코는 우크라이나 두 번째 도시 하르키우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다. 하르키우 공연장은 러시아의 포격으로 공연장 일부가 파괴된 상태라고 한다. 우크라이나 인민예술인인 유리 얀코는 “평화 [썰물밀물] 처인성 1232년 몽골군이 고려로 쳐들어왔다. 벌써 4번째. 고려 고종은 강화도로 피했다. 몽골군은 강화도로 건너가고자 했으나 수군이 약해 실패했다. 총지휘관인 살리타이(살례탑)는 개성 일대를 비롯해 경기도를 불태워 강화도를 고립시키고, 더 남하하여 고려 땅 전체를 초토화하기로 했다. 그해 12월 10만 대군을 이끌고 남쪽으로 진격하던 살리타이는 처인부곡 근처의 작은 성에 곡식이 상당히 저장되었다는 보고를 받았다. 살리타이는 100명 정도 들어가면 꽉 차는 작은 성, 처인부곡성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처인부곡성은 승장(僧將) 김윤후(金允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