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체역학 원리를 활용한 진공 청소기는 청소 방식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 유체역학 원리를 활용한 진공 청소기는 청소 방식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새해를 맞이하여 몸과 마음을 단정히 하고, 공간을 깨끗이 하는 청소의 과학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한다. 인류의 탄생 이후 의식주와 더불어 기본적인 생활에 빠질 수 없는 필수 요소가 청소다. 고대부터 수천, 수만 년에 걸쳐 방식만 달라졌을 뿐 청소는 지역과 시대를 불문하고 불가결한 작업으로 여겨졌다. 현대 과학 기술은 빗자루와 걸레보다 진공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가 더 친숙할 정도로 청소 도구와 기계를 혁신적으로 발전시켰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청소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청소란 무엇인가? 청소의 사전적 정의는 더럽거나 어지러운 것을 쓸고 닦아서 깨끗하게 하는 작업이다. 좁게는 일상의 방 청소부터, 넓게는 도심 청소가 있고, 더 넓게는 지구를 넘어 우주 차원에서도 청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공위성과 발사체의 부속품, 각종 도구 등 수백만 개의 우주 쓰레기가 지구 주변을 맴돌고 있기 때문이다.

청소의 방식과 규모는 천차만별이라도 기본적으로 청소는 흩어져 있는 먼지와 쓰레기를 모으고 제자리에 있지 않은 물건을 정리정돈하는 행위의 연속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위적인 행동은 무질서 상태를 유지하려는 우주의 자연 법칙에 위배된다. 바둑알 여러 개를 힘껏 던지면 여기저기 마구잡이식으로 퍼지는 것처럼 먼지는 모여 있는 것보다 곳곳에 떠도는 상태가 물리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자연스럽다. 다시 말해 무작위가 곧 자연스러움이다. 그저 청소하기 싫은 자의 변명으로 들려도 할 수 없다. 청소는 세상 만물을 자연스럽게 뒤죽박죽 어지럽히려는 우주와 그것을 방해하고 정리하는 인간의 끊임없는 대결이자 치열한 사투다.

이처럼 지극히 부자연스러운 청소는 먼지를 치우고 얼룩을 제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우선 먼지를 털기 위해서는 공기를 불고, 먼지를 모으기 위해서는 공기를 빨아들여야 한다. 먼지는 매우 가벼워 바람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다.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흩어진 먼지를 손쉽게 제거한다. 반면 액체가 굳어서 생긴 얼룩은 주로 물기를 이용하여 닦아낸다. 오염 물질과 쉽게 결합하며 유동성까지 갖춘 물의 특성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이와 같이 청소는 공기와 물처럼 흐르는 것들을 매개체로 하여 오염원을 제거하는 과학적 과정이다. 따라서 청소의 원리와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흐르는 것들의 과학'인 유체역학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행하는 청소는 사소해 보이지만 신체적으로 위생과 건강을 챙기기 위해 꼭 필요하며, 정신적으로는 마음가짐을 다잡는 숭고한 행위다. 덧붙여 청소는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일본의 정리 컨설턴트 마리 콘도에 따르면 청소의 목적은 단지 공간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환경에 머무를 때 행복을 느끼기 위함이다. 청소는 공간을 바꾸고, 공간은 생각을 바꾸며, 생각은 인생을 바꾼다.

▲ 송현수 과학 저술가·공학박사.
▲ 송현수 과학 저술가·공학박사.

/송현수 과학 저술가·공학박사



관련기사
[송현수의 역사 속 과학 이야기] 로마 제국의 수도교 (하) 고대 로마에 이미 상수도 시설이 정비되었지만 16세기 유럽 도시의 가장 큰 문제는 여전히 마실 물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영국 런던은 템스강의 오염으로 강물을 마실 수 없게 되어 먼 곳에서 깨끗한 물을 끌어와야 했다. 이를 위해 1613년 수도 회사 뉴리버가 설립되었다. 뉴리버는 런던 전역에 상수도관을 설치하고 가정에 물을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회사 이름 그대로 런던 시민들에게 새로운 강이 된 것이다.1830년대에는 유럽에 콜레라가 크게 유행하면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콜레라는 역사상 처음으로 빠르게 전 세계로 확산된 질병이 [송현수의 역사 속 과학 이야기] 로마 제국의 수도교 (중) 바람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부는 것처럼 유체는 항상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움직인다. 마찬가지로 물도 압력 차이만 있다면 지대가 낮은 지역에서 높은 지역으로 역류할 수 있다. 하지만 인위적인 압력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펌프가 발명되기 전에는 낮은 곳의 물을 높은 곳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자연 현상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고대 로마의 수로가 계곡을 지날 때 하강과 상승을 피하기 위해 수도교를 짓기도 하였지만 공사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물을 흘려 보냈다. 바로 역사이펀(inverted siphon) 작용이다. [송현수의 역사 속 과학 이야기] 로마 제국의 수도교 (상) 고대 로마 제국이 2000년 넘게 강대국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었던 결정적 이유는 상하수도의 발달 덕분이었다. 로마는 도심에서 먼 수원지로부터 맑은 물을 끌어와서 목욕탕과 분수 같은 공공 건축물에 공급하고, 시민은 마을 구석에 있는 급수장에서 물을 길었다. 당시 로마 시민 한 명의 1일 물 사용량은 약 180ℓ였는데, 이는 오늘날 이탈리아의 1인당 물 사용량인 234ℓ와 큰 차이가 없을 정도다.이처럼 경이로운 급수는 수로 덕분에 가능했다. 수로를 건설하고 물을 효과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건축학과 유체역학 지식이 총동원되었다. [송현수의 역사 속 과학 이야기] 태양보다 밝은 빛 (하) 원자 폭탄은 뜨거운 열기와 함께 강력한 후폭풍을 몰고 왔다. 폭발 압력으로 폭심지로부터 구형으로 충격파가 형성되었으며, 이때 화구(火球)는 폭발력으로 대기를 밀어내는 힘과 주변 대기가 막는 힘의 균형이 맞춰지는 크기로 결정된다.유체역학에 큰 업적을 남긴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 제프리 테일러는 신문에 실린 원자 폭탄의 폭발 후 사진만 보고 차원 해석을 통해 폭발 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차원 해석은 어떤 현상과 관련된 물리 변수들을 도출하고, 이들을 구성하는 기본 차원을 살펴 변수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파악하는 수학적 방법을 말한다. [송현수의 역사 속 과학 이야기] 태양보다 밝은 빛 (중) 맨해튼 계획의 결과물로 길이 3m, 직경 71㎝, 무게 4t의 원통형 원자 폭탄 리틀 보이(Little Boy)가 만들어졌다. 리틀 보이는 루스벨트 대통령의 별명으로 이름과는 달리 엄청난 파괴력을 지니고 있었다. 이 폭탄의 폭발력은 약 15kt 수준인데, 이는 폭약으로 널리 알려진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 일명 TNT 1.5만t의 위력을 의미한다. 리틀 보이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무기로 이후 핵무기 위력의 기준이 되었다.1945년 7월 미국, 영국, 중국의 대표가 독일 포츠담에 모여 일본의 항복 조건과 점령지 처리에 관해 발표한 [송현수의 클리닝사이언스] 먼지 없는 공간 '청정실' 모든 공간은 깨끗해야 한다. 하지만 어떤 공간은 다른 공간보다 더욱 깨끗해야 한다. 음식물을 다루는 식당, 오염원에 취약한 환자가 있는 병원 그리고 반도체 소자를 생산하는 공장이 특히 그러하다. 자그마한 불순물이 곧바로 배탈, 감염, 불량이라는 크나큰 타격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을 엄격히 관리하기 위해 단순히 먼지가 많고 적음이 아니라 먼지 개수로 깨끗한 정도를 수치화한다. 그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그리고 압력을 원하는 수준으로 제어하는 공간을 청정실(clean room)이라 한다.청정 기준은 CLASS 등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