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가 프랙탈에 대해서 강연하는 모습.
▲ 저자가 프랙탈에 대해서 강연하는 모습.

요즘 학생들이 초·중·고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의 최종 목적지는 어디일까요? 바로 ‘대학 입시’입니다. 학생들은 대학 입시라는 큰 관문을 통과하기 위해서 틀에 짜여진 입시 수학을 배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학생들은 무의식적으로 수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들을 합니다.

“수학은 대학 입학 시험에서 중요한 교과목이야.” “수학은 생활에서 쓰임새가 전혀 없어.” “수학을 왜 배우는지 모르겠어.”

맞는 말이에요. 현재 학생들이 배우는 수학의 모든 것들은 대학에 들어가는 수단과 방법으로만 수학 공부를 유인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학 과목을 지도하는 교사조차도 학생들이 기습적으로 수학을 왜 배우는지 질문을 하면 “어, 어, 어… 그러니까… 왜 수학을 배울까?”라고 버벅거리기도 하지요. 수학을 대하는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가 수학을 포기할 수는 없고, 어쩔 수 없이 가지고 가야 될 족쇄로 여기고 있는 것입니다.

학교나 학원에서도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직설적으로 이야기하여, 왜곡된 수학 이미지를 각인시키고 있습니다.

“얘들아, 수학은 암기 과목이야.” “수학은, 몰라도 공식만 외우면 돼.” “수학을 왜 배우는지는 대학에 들어간 다음에 알아도 돼.”

너무나 무책임한 발언들이에요. 이러한 사회적인 인식이 수학 포기자를 만들어 내고 있고, 무의미한 수학 수업을 조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많은 수업 시간 중에서 왜 수학 시간에 학생들은 잠을 잘까요? 그 이유는 아래와 같이 간단합니다. “선생님, 수학 수업이 재미없고, 제가 왜 배우는지 모르겠어요.”

▲./사진출처=ktv
▲ 2022 개정 교육과정 핵심 관련 방송 자료./사진출처=ktv

수학을 지도하는 교사조차도 수업을 준비하면서 ‘이 단원은 왜 가르쳐야 되지?’라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수학을 전달하는 교사부터 입시에 올인하는 수업을 진행하다 보니, 억지로 따라가는 학생을 제외하고는 일찌감치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발생하는 것이지요. “선생님, 저는 수학을 초등학교 4학년 때 포기했어요.”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니 너무나 많은 계산들이 지루해요.”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선생님은 진도만 빼요.” “제가 모르는 것을 금방금방 질문하지 못해요.”

학생들은 위와 같은 신호를 보내지만, 그 신호를 받고도 학생들의 문제를 시원하게 해결해 주지 못합니다. 교실에서 수업하는 학생들의 수가 아직도 많기 때문입니다. 한 교실의 학생 수가 20명 이하인 경우는 어느 정도 개별 지도가 가능하지만, 20명이 넘어가면 아무리 유능한 교사라 하더라도 한계에 부딪칩니다. 진정한 미래교육은 학급당 학생수 20명이하로 감축부터 해야 합니다.

▲ 필자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수업하는 장면.
▲ 필자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수업하는 장면.

수학을 포기하지 않게 하는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학생들의 ‘왜’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준비하는 것이지요. 수학 교사는 학생들에게 수학을 배우는 이유를 충분히 알려 줘야 합니다. 타당한 이유가 있고, ‘왜?’라는 궁금증에 속 시원히 답을 줄 수 있는 수학 수업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상급 학교 진학에만 맞춰 프레임이 짜여진 현재의 교육과정도 수학 포기자를 만듭니다. 이를 막으려면, 수학 교과서부터 전면 바꿔야 합니다. 최근 2015년 이후 7년 만에 교육과정이 전면적으로 바뀌게 되는데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바로 디지털 교육 강화와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는 것입니다.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정착, 대학 입학시험의 다양화 등 여러 변수들이 존재합니다. 무엇보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은 학생들이 수학을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교육과정이어야 합니다.

학생들은 수학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느끼고 싶어 합니다. ‘수포자’가 된 것은 학생들의 책임이 아니에요. 교육과정을 만든 국가와 지도하는 교사의 책임이 큽니다. 학생들이 수학을 즐겁게 배우고, 느끼고, 그 속에서 호기심을 갖고 자극을 받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것이 수학임을 깨닫도록 해 줘야 합니다. “수학을 왜 배울까?”에 대한 답을 준비하는 수업이라면, 학생들은 쉽게 수학을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최우성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수포자도 수학1등급 받을 수 있어' 저자
▲ 최우성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수포자도 수학1등급 받을 수 있어> 저자.

/최우성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수포자도 수학1등급 받을 수 있어> 저자



관련기사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사제동행 교사가 되기 전부터 '사제동행'이라는 단어를 수천 번 넘게 들었는데, 실천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교사들도 가능하면, 수업이 빈 공강 시간에 동료 교사들과 함께 식사하길 원하는 세상이에요. 저 또한 피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렇다고 아이들과의 점심 데이트를 소홀히 할 수는 없어서, 점심시간 전에 수업이 있으면 가능한 한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식사를 합니다. '사제동행'은 말 그대로 스승과 제자가 같이 행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소소한 부분부터 실천을 하고 있는데, 그중 두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단 1명의 수포자도 관리해야 “저는 한때 수포자였음을 고백합니다. 수포자로 초등학교(국민학교) 6년을 가방만 메고 출첵을 했고, 중학교도 수포자로 3년을 다녔답니다. 거의 까막눈 수준이었음을 고백합니다.”이런 제가 수학을 가르치는 중등 수학 교사로 성장했다는 사실을 믿을 수 있을까요?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 벌어진 것입니다.제가 변화할 수 있었던 계기는 가까운 곳에 있었답니다. 고1 수학을 지도해 주셨던 은사님께서 수포자인 저를 포함한 학생들이 알기 쉽게, 연관성을 지닌 수학을 가르쳐 주신 것이었어요. 그때부터 자극을 받아 제 스스로 자기 주도 학습을 하면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누구나 신문사 사장이 될 수 있다구?! 수학 신문 만들기아이들과 수학을 공부한 후에는, 배운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대개 수행평가나 과제 발표 등을 활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신문을 활용하는 것이에요.신문은 다양한 뉴스나 소식 등을 전하는 글, 기사, 칼럼, 사진, 그림 등을 일정한 틀에 넣어서 예쁘게 편집하는 것입니다. 수업 시간에 배운 수학을 가지고 아이들과 신문 만들기를 하는 것은 배운 내용에 대해 깊숙이 이해하는 계기가 된답니다.책에 나오는 수학 교과 내용, 관련된 수학자, 수학을 배운 학생들에 대한 인터뷰, 지도하는 교사에 대한 인터뷰 등을 이용하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악기의 진동이 소리로, 소수를 아는 매미 악기의 진동이 소리로제곱근이라는 용어를 들어 보았나요? 제곱하여 4가 되는 수에는 2와 -2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어떤 수 x를 제곱하여 a가 될 때, x^2=a일 때, x를 a의 제곱근이라고 합니다. 이 제곱근은 음악과도 관련이 깊어요.우리에게 아름다운 음악을 선사하는 악기들은 구조와 연주하는 방법에 따라 현악기, 관악기, 건반 악기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즐거움을 주는 악기 소리의 원리를 알면 더욱 실감나게 연주를 감상할 수 있지요. 주변에 있는 종이컵, 야쿠르트 병 등 각종 병의 입구를 불어 소리를 내 본 적이 있나요? 당연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학교 안에서 충분히 성공하고 실패하자 짧은 단상, 교사에게 찾아오는 아이들수학을 잘하지는 못하지만 수학을 좋아하고 교사를 잘 따르는 아이는, 종종 쉬는 시간에 수학에 대한 고민을 질문하려고 교무실에 들어옵니다. 이 아이가 계속적으로 교사를 찾아오고, 수학에 대해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것은 아이와 교사의 관계 형성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이에요. 아이들은 정직합니다. 싫어하는 교사에게는 먼저 다가서지 않아요. 용기 내어 다가오는 아이들에게, 아이의 성장과 실천에 대해 “너 참으로 대견하다.”, “선생님은 너의 행동에 대해 지지를 보낸다.”, “너의 풀이과정이 틀린 것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코로나19, 더욱더 격차가 벌어지는 '수학 성적' 코로나19 이후 등교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권의 하락 폭이 커 코로나19로 인한 학습격차가 현실화한 것으로 확인됐다.4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육과정 평가연구에 실린 ‘코로나19를 전후한 고등학생 수학 성취도 변화: 실태 및 영향요인’ 논문에서 코로나19 발생 전‧후인 2019년과 2020년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결과를 비교‧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9년 1만1518명, 2020년에는 1만472명의 표본이 사용됐다.연구결과에 따르면 2019년 148.42 [미래교육] 교육은 교사로부터 시작된다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학교는 다양한 교육 방법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지식’이 아닌 ‘지혜’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등장은 고무적인 현상이다.과거와 다르게 교사들은 정해진 교육 과정과 교과서만을 사용하여 교수 학습을 진행하지 않고, 자신들이 재구성한 교육 과정과 재편집한 교과서를 사용하여 수준 높은 학습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수업 과정 속에서 아이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면서, 동시에 생활 지도와 상담 및 평가 등에서도 생산적인 고민을 하고 있다.두발과 복장 등에서도 강압적인 생활 지도 단속이 있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