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맨과 콜라병
▲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천차만별이다. 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역학(易學)에서 미래예측의 방법 중 하나가 '상수리(象數理)'다. 유·무형의 상(象)과 그 형상 속에 담긴 수(數)를 파악하여 다가올 일을 예측(理)한다는 것이다.

먼저 형상에 대한 설명은 '부시맨'이라는 영화이야기로 해보자. <부시맨>은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에서 살아가던 부시맨 부족 마을에 어느 날 비행기 조종사가 떨어뜨린 콜라병 하나로 인해 갖가지 해프닝이 벌어지는 코미디영화이다. 난생 처음 보는 문명세계의 산물인 코가 콜라병을 보고 “무엇에 쓰는 물건인지?” 격론을 벌인 끝에 신의 물건이란 결론을 얻었으나 그 병으로 인해 마을의 평화가 깨진다. 그러자 주인공은 그 콜라병을 신에게 돌려주기 위해 세상의 끝이란 곳으로 여행을 떠난다는 내용이다. 특히 재미있는 장면은 부시맨이 콜라병을 나름대로 분석한답시고 요리저리 콜라병을 뜯어보는 장면들이다. 세상에 있는 유형의 물건[象]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숫자[數]를 알아야 한다.

유형물은 오직 숫자로써 그 정체성을 드러낸다. 예를 들면, 볼펜의 경우는 길이, 두께, 볼펜심의 지름, 육각형의 곡경 등을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각 부분을 수치로 나타낸 설계도를 3D출력기로 재생하면 똑 같은 볼펜이 나온다. 하지만 무형의 상(이미지, 느낌)은 숫자로 객관화시키기가 어렵다. 즉 얼굴에 나타난 기쁜 표정이나 화난 표정을 어떻게 수치화(數値化)할 수 있겠나? 기쁨의 정도가 '25'인지, 분노의 수치가 '74'인지 그건 알 수가 없다.

이처럼 유형의 상은 숫자로 전환이 쉽지만 무형의 상(느낌, 낌새)은 쉽지 않다. 우리들은 하루에도 수만 건씩 쏟아지는 정보의 바다 속에 살고 있다. 게다가 이전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문명의 혜택으로 옛사람들보다 더 똑똑해졌고, 풍부한 지식들을 갖고 있다.

우리들이 접하는 정보들은 수치화된 데이터도 많지만, 반면에 계량화할 수 없는 주관적인 데이터도 많다. 그러다보니 풍요 속의 빈곤이라는 말처럼 실제 나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

그럼 계량화된 정보만 있으면 만사 OK인가? 꼭 그렇다고 볼 수 없다. 예를 들면, 시시각각으로 수치화된 투자정보들을 제공받아 주식에 투자하지만 실제 성공투자로 이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성공적인 주식투자는 기업관련 데이터, 차트, 매수·매도 시점 같은 수치정보도 중요하지만 투자심리 같은 주관적인 변수들에 의해 좌우될 때가 더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끔 상수리와 '징크스(Jinx)'를 혼동하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운명적인 예감(象), 어떤 특정 숫자(數)와 연관된 것은 비슷할지 모르나 정확히 말하면 둘은 같다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비록 상과 수는 같다 할지라도 징크스는 예측(理) 결과가 한 개인의 주관적 판단인 사리(私理)이며, 주로 불길한 일을 지칭한다면, 상수리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공리(公理)이며, 행·불행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이다. 또 유교철학에는 '격물치지(格物致知)'라는 것이 있다.

사서의 하나인 <대학>에 나오는 말로 '사물이나 현상 속에 깃든 이치를 탐구하여 자신의 지식을 완전하게 이룬다'는 뜻이다. 옛 성현들은 “경서(經書)를 깊이 연구하는 것은 실용(實用)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설파한다. 상수리를 공부하는 목적도 마찬가지다.

“다가오는 미래를 알아서 그에 대비를 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앎(知=理)이란 손에 잡히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용이 가능한 지식이 될 때만 살아 있는 것이다.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0. 그 보따리 속에는 무엇이? (1) 왜 <주역>을 공부하는가? 다가오는 미래에 대비하려는 것이다. 그럼 미래를 어떻게 알 수 있나? 역학에서는 '상수리(象數理)'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럼 상수리란 무엇인가? 우리들이 먹는 도토리(상수리)가 아니라 앞일을 미리 보여주는 '이미지·징조[象]'과 비밀코드를 풀 수 있는 '숫자[數]', 그리고 상과 수를 바탕으로 미래를 해석하는 '이치·이법[理]'를 말한다. 세상의 모든 만물들은 각자 고유한 형상[象]이 있으며, 모든 만물은 수[數]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과 수로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39. 인류 최초의 경전, 천부경 혹독한 일제 강점기에 국내외 민족지도자와 항일독립투사들의 정신적 지주는 바로 천부경(天符經)이었다. 도대체 천부경이 무엇이길래? 주문처럼 읽으며 고난의 시대를 극복해냈을까?천부경의 역사를 알려주는 <태백일사(太白逸史)>를 보면, 최초의 나라 환국(桓國)시대부터 전해온 인류 최초의 경전으로 인류의 원형정신을 담고 있는 원형문화의 원전으로서 오늘날 유불선의 뿌리가 되는 경전이다. 천부경은 하나(一)에서 시작하여 하나(一)로 끝나는 81자밖에 되지 않은 짧은 경전이다. 그렇지만 거기에 담긴 사상은 심오하다. '우주 창조의 근원&#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38. 아! 천부경 며칠 전 개천절이었다. 과연 개천(開天)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있는 국민이 얼마나 될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 쉬는 공휴일쯤으로 알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5대 국경일(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이 있다. 특히 개천절은 상해 임시정부에서부터 국경일로 지정하여 경축해온 유서 깊은 국경일이다. 헌법에도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았다고 명시되어있다. 그만큼 개천절은 최고의 국경일이 되었어야 함에도 정작 현실은 그렇지 않다.일제 침략이 없었다면 생기지도 않았을 삼일절이나 광복절은 다채로운 경축행사 등을 벌이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37. 다누리호(號)와 주역(周易) 얼마 전 대한민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호'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앞서 6월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들어진 '누리호'에 이은 우주과학기술의 쾌거로 미국, 러시아 등 세계 7대 우주 강국 반열에 올라섰다. 필자가 초등학교 시절, 동네 전파상 앞에서 금성사(골드스타) 흑백 TV로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던 것을 보고 부러워했던 때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우주는 일천억 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은하계가 일천억 개 이상이 있을 정도로 광활하며, 1초에 100개씩을 세어도 다 헤아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2. 세상을 보는 눈, 상수리(象數理) - 상(象) 벌써 가을이다. 무엇이 그리 바쁜지 세월 가는 줄 모르지만 시간은 어김없이 계절의 속살을 드러내준다. 요즘 같은 가을의 상수리(象數理)는 무엇인가? 가을의 상징(象)은 낙엽, 열매 등이며, 숫자(數)는 4·9, 이치(理)는 풍요, 결실로 요약할 수 있다. 현대과학은 ‘시간의 비밀’을 풀고자 한다. 우주가 대폭발로 시작되었다는 ‘빅뱅(Big Bang)이론’도 우주 탄생의 시간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들은 시간의 실체를 알지 못한다.그런데 <주역>은 시·공간을 실감나게 설명해준다. 주역(周易)이란 말 자체가 ‘주(周)’는 공간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3. 세상을 보는 눈, 상수리(象數理) - 수(數)(1) 오늘은 세상을 분석하는 3가지 수단[象數理] 중 하나인 '숫자(數)'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분은 수(數)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세상은 수(數)로 되어있다. 그걸 알려면 우리 삶이 얼마나 숫자와 밀접한가를 살펴보면 된다. 우린 태어나면서부터 숫자로 시작한다. 태어난 날인 생일, 신생아의 신장과 체중의 수치, 주민등록번호, 학창시절의 학번과 군대의 군번도 모두 숫자다. 휴대폰 번호와 온라인 계정들의 비밀번호에도 숫자가 들어간다. 모든 경제행위들이 숫자로 되어 있다. 통장 속의 잔고, 회사의 매출, 주식의 시세도 숫자로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4. 남들이 열 번 하면 나는 천 번을 해서라도 이제 며칠 후면 새해가 밝아온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멋진 계획을 세운다.하지만 며칠 지나다보면 작심삼일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필자 또한 마찬가지다. 그럴 때마다 심지(心志)가 굳지 못한 걸 후회하며 되새기는 글귀가 있다. “남들은 한 번에 할 수 있는 일도 난 백 번을 하며, 남들이 열 번해야 익숙해지는 일은 난 천 번을 해서라도 그렇게 한다(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 이렇게 한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다. 그런데 <중용(中庸)>의 이 글귀를 몸소 보여준 인물이 있었으니 전설적 독서광인 김득신(金得臣,1604~1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5. 수(數)가 돈이다 수(數)가 돈이다! 숫자에 도통하면 부자가 될 수 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사람 팔자를 다른 말로 운수(運數)라고 하는데, 사람 팔자는 “얼마나 수(數)를 잘 핸들링(運)하느냐”에 달렸다는 것이다. 예컨대 로또복권도 숫자놀음 아닌가. 숫자 6개만 잘 고르면 팔자를 고칠 수 있지만 그게 어디 쉬운 일이던가. 그래도 보통 사람들이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하다. 단 끈기와 인내심으로 버텨낼 수 있다면. 얼마 전 25년간 매주 같은 번호를 고집하여 마침내 3800억 원의 잭폿을 터뜨린 한 미국인의 뉴스를 보았다. 그야말로 '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6. 서화담과 종달새 세상 이치를 파악하는데 하나가 상수리(象數理)이다. 상수리는 앞일을 미리 보여주는 ‘징조[象]’와 비밀코드를 풀 수 있는 ‘숫자[數]’ 그리고 상∙수를 바탕으로 그것을 해석하는 ‘이치[理]’를 말한다. 즉 세상만사는 각자 고유한 상(象)이 있으며, 그것은 수(數)로 이루어져 있어 상과 수를 알게 되면 이면에 담긴 이치(理)를 알 수 있다는 말이다. <주역>을 다른 말로 상수학(象數學)이라 한다. 그래서 <주역>을 공부하게 되면 세상 이치의 ‘한소식’을 들을 수 있다.그런데 상수(象數)도 알기 어렵지만, 리(理) 또한 만만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