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오늘은 세상을 분석하는 3가지 수단[象數理] 중 하나인 '숫자(數)'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분은 수(數)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세상은 수(數)로 되어있다. 그걸 알려면 우리 삶이 얼마나 숫자와 밀접한가를 살펴보면 된다. 우린 태어나면서부터 숫자로 시작한다. 태어난 날인 생일, 신생아의 신장과 체중의 수치, 주민등록번호, 학창시절의 학번과 군대의 군번도 모두 숫자다. 휴대폰 번호와 온라인 계정들의 비밀번호에도 숫자가 들어간다. 모든 경제행위들이 숫자로 되어 있다. 통장 속의 잔고, 회사의 매출, 주식의 시세도 숫자로 표시된다. 뭐니뭐니 해도 머니라는 돈도 숫자로 되어 있어 내가 갖고 있는 게 큰 숫자냐, 작은 숫자냐에 따라 희비의 쌍곡선이 그려지기도 한다. 연예인의 인기나 스타플레이어의 유명세도 숫자로써 몸값을 나타낸다. 또 간, 혈당 등의 정상여부도 숫자로 판별한다. 이 뿐만이 아니다. 연초에 보는 '일년신수(一年身數)', '오늘의 운수(運數)', '재수(財數) 좋은 날'에도 수(數)라는 글자가 붙어있다. 역학(易學)의 근간이 되는 하도(河圖)·낙서(洛書)도 숫자로 되어 있다.

심지어 요즘은 고통조차도 수치로 나타낸다(하나도 힘들지 않는 정도를 0, 죽고 싶을 만큼 힘든 것을 10). 이미 수천 년 전 그리스 철학자 피타고라스(Pythagoras)는 “이 세상 만물은 수(數)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였으며, 동아시아에서는 수를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수 자체를 '수철학(數哲學)'으로 보았다.

즉 1, 2, 3, 4, 5, 6, 7, 8, 9, 10의 각 숫자를 '수리(數理)철학'으로 인식하였다. 그래서 숫자로 이루어진 사주팔자(四柱八字)를 보고 운명을 풀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사주'는 태어난 해·달·날·시의 숫자로 된 네 기둥이며, 연·월·일·시에 해당하는 간지(干支)의 합, 여덟 글자인 '팔자' 또한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 알고 보면 사람운명이란 것도 결국은 '숫자놀음'이다. 혹자는 고유번호인 주민번호를 보고도 그 사람의 운명풀이를 할 수 있다고 한다.

숫자와 관련된 도사들의 상수리 이야기를 해보자. 왜정 때 격물치지에 도통했다는 박만수가 제자들과 어느 곳을 가는데, 낚시하는 사람을 보자 고기를 얼마나 낚았는지 제자들이 묻자, 열여섯 마리라고 하지 않는가. 세어 보니 틀림없는 열여섯 마리였다. 놀란 제자들이 어떻게 열여섯 마리인 줄 알았느냐고 물으니, 박도사 왈 “우리가 길 가는 중에 고기 낚는 것을 보았으니[象], 갈 행(行)자 가운데 고기 어(魚)자를 하면 저울대 형(衡)자가 된다[理]. 저울의 한 근이 열여섯 량이 아니더냐[數].”

이주역(李周易)이라 불리던 야산선생이 어느 날, 경사스러운[慶] 소식을 듣는[聞]다는 문경에 가서 자시(子時)에 '닭이 세 번' 울어야 새벽이 온다고 해서 닭 울음소리를 세 번 내게 하고선 “이제 밤이 밝아오니 도적은 물러가리라. 다만 암탉의 울음이라 애석할 뿐, 차후 장닭이 울어대는 날 비로소 완전한 독립이 이루어지리라”고 말하니 이 날이 바로 광복일이었다.

즉 1910년 음력 7월8일 일제에 합병되어 1945년 음력 7월8일에 해방되니 음력으로 계산하면 432개월로 단 한 달도 차이나지 않고 딱 들어맞는 36년이다. 닭이 세 번 울었다는 것은 대일항쟁기 동안 닭의 해[酉]가 세 번 있었다는 뜻이니 즉 신유년(辛酉年, 1921년)과 계유년(癸酉年, 1933년) 그리고 을유년(乙酉年, 1945년)이다.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2. 세상을 보는 눈, 상수리(象數理) - 상(象) 벌써 가을이다. 무엇이 그리 바쁜지 세월 가는 줄 모르지만 시간은 어김없이 계절의 속살을 드러내준다. 요즘 같은 가을의 상수리(象數理)는 무엇인가? 가을의 상징(象)은 낙엽, 열매 등이며, 숫자(數)는 4·9, 이치(理)는 풍요, 결실로 요약할 수 있다. 현대과학은 ‘시간의 비밀’을 풀고자 한다. 우주가 대폭발로 시작되었다는 ‘빅뱅(Big Bang)이론’도 우주 탄생의 시간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들은 시간의 실체를 알지 못한다.그런데 <주역>은 시·공간을 실감나게 설명해준다. 주역(周易)이란 말 자체가 ‘주(周)’는 공간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1. 그 보따리 속에 무엇이?(2)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천차만별이다. 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역학(易學)에서 미래예측의 방법 중 하나가 '상수리(象數理)'다. 유·무형의 상(象)과 그 형상 속에 담긴 수(數)를 파악하여 다가올 일을 예측(理)한다는 것이다.먼저 형상에 대한 설명은 '부시맨'이라는 영화이야기로 해보자. <부시맨>은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에서 살아가던 부시맨 부족 마을에 어느 날 비행기 조종사가 떨어뜨린 콜라병 하나로 인해 갖가지 해프닝이 벌어지는 코미디영화이다. 난생 처음 보는 문명세계의 산물인 코가 콜라병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0. 그 보따리 속에는 무엇이? (1) 왜 <주역>을 공부하는가? 다가오는 미래에 대비하려는 것이다. 그럼 미래를 어떻게 알 수 있나? 역학에서는 '상수리(象數理)'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럼 상수리란 무엇인가? 우리들이 먹는 도토리(상수리)가 아니라 앞일을 미리 보여주는 '이미지·징조[象]'과 비밀코드를 풀 수 있는 '숫자[數]', 그리고 상과 수를 바탕으로 미래를 해석하는 '이치·이법[理]'를 말한다. 세상의 모든 만물들은 각자 고유한 형상[象]이 있으며, 모든 만물은 수[數]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과 수로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39. 인류 최초의 경전, 천부경 혹독한 일제 강점기에 국내외 민족지도자와 항일독립투사들의 정신적 지주는 바로 천부경(天符經)이었다. 도대체 천부경이 무엇이길래? 주문처럼 읽으며 고난의 시대를 극복해냈을까?천부경의 역사를 알려주는 <태백일사(太白逸史)>를 보면, 최초의 나라 환국(桓國)시대부터 전해온 인류 최초의 경전으로 인류의 원형정신을 담고 있는 원형문화의 원전으로서 오늘날 유불선의 뿌리가 되는 경전이다. 천부경은 하나(一)에서 시작하여 하나(一)로 끝나는 81자밖에 되지 않은 짧은 경전이다. 그렇지만 거기에 담긴 사상은 심오하다. '우주 창조의 근원&#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4. 남들이 열 번 하면 나는 천 번을 해서라도 이제 며칠 후면 새해가 밝아온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멋진 계획을 세운다.하지만 며칠 지나다보면 작심삼일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필자 또한 마찬가지다. 그럴 때마다 심지(心志)가 굳지 못한 걸 후회하며 되새기는 글귀가 있다. “남들은 한 번에 할 수 있는 일도 난 백 번을 하며, 남들이 열 번해야 익숙해지는 일은 난 천 번을 해서라도 그렇게 한다(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 이렇게 한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다. 그런데 <중용(中庸)>의 이 글귀를 몸소 보여준 인물이 있었으니 전설적 독서광인 김득신(金得臣,1604~1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5. 수(數)가 돈이다 수(數)가 돈이다! 숫자에 도통하면 부자가 될 수 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사람 팔자를 다른 말로 운수(運數)라고 하는데, 사람 팔자는 “얼마나 수(數)를 잘 핸들링(運)하느냐”에 달렸다는 것이다. 예컨대 로또복권도 숫자놀음 아닌가. 숫자 6개만 잘 고르면 팔자를 고칠 수 있지만 그게 어디 쉬운 일이던가. 그래도 보통 사람들이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하다. 단 끈기와 인내심으로 버텨낼 수 있다면. 얼마 전 25년간 매주 같은 번호를 고집하여 마침내 3800억 원의 잭폿을 터뜨린 한 미국인의 뉴스를 보았다. 그야말로 '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6. 서화담과 종달새 세상 이치를 파악하는데 하나가 상수리(象數理)이다. 상수리는 앞일을 미리 보여주는 ‘징조[象]’와 비밀코드를 풀 수 있는 ‘숫자[數]’ 그리고 상∙수를 바탕으로 그것을 해석하는 ‘이치[理]’를 말한다. 즉 세상만사는 각자 고유한 상(象)이 있으며, 그것은 수(數)로 이루어져 있어 상과 수를 알게 되면 이면에 담긴 이치(理)를 알 수 있다는 말이다. <주역>을 다른 말로 상수학(象數學)이라 한다. 그래서 <주역>을 공부하게 되면 세상 이치의 ‘한소식’을 들을 수 있다.그런데 상수(象數)도 알기 어렵지만, 리(理) 또한 만만치 않다.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7. 누런 치마이니 크게 길하다 다가오는 미래를 알아보는 방법의 하나가 상·수·리(象數理)다. 그런데 말이 쉽지 일반인들이 상수리를 캐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상수리를 담고 있는 <주역>을 공부하는 것이다. <주역>은 앞일을 예측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이다. 마치 워게임(war game)에서 시뮬레이션을 돌려 승패를 예측해보듯 주역점(周易占)도 마찬가지다. 즉 점을 쳐서 괘(卦)와 효(爻)를 뽑아보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이 점괘를 해석하는 것인데 오죽하면 ‘꿈보다 해몽’이라 했겠는가. 괘와 효의 글이 뜬구름 잡는 식으로 서술되어 해석하는 사람마다 백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8. 신비한 숫자배열, 마방진(Magic Square) 숫자만큼 재미있는 이야기도 없을 것이다. 오늘은 마방진(魔方陣) 이야기다. 마(魔)는 신비롭다는 뜻이고, 방(方)은 사각형을 의미하고, 진(陳)은 줄지어 늘어선다는 말이다. 마방진이란 정사각형에 1부터 차례로 숫자를 적되, 중복하거나 빠뜨리지 않고 가로, 세로, 대각선 숫자들의 합이 모두 같도록 만들어진 숫자 배열이다.마방진의 기원은 낙서(洛書)에서 유래하였다. 낙서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우리 고대 역사책 <태백속경>에 의하면, “단군왕검께서 희귀한 금거북이를 잡아서 등에다가 낙서를 써서 바다에 띄워 보내며 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