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건신부상(소청도).

▶ 지명 유래

소청도 등대를 돌아 동서로 펼쳐진 소청도 중간 지점에 빵~ 경적 소리와 함께 도착하는 탑동 선착장. 예동(禮洞) 마을은 선착장의 대합실을 지나 경사로를 오르면 정상부 능선을 넘으면서 시작되고, 우체국이 위치한 해안가까지 당산 자락에 가옥들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이 능선부에는 예동을 알리는 표지석이 있는데, 여기에 예동의 유래가 적혀 있다. “섬이 작아서 예부터 소수의 주민이 이곳에 거주하여 와서 서로 외로움을 달래며 돕고 살아왔는데, 너무도 외로웠던 그들에게는 지나던 상선이나 표류해 온 선박이 정박하게 되면 깍듯이 귀한 손님으로 접대하며 친절을 베풀어 예의를 지켰다하여 이곳을 예동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이곳의 행정구역은 인천시 옹진군 대청면 소청1리이며, 노화동(蘆花洞)과 함께 2개의 마을로 구성된 소청도의 중심 마을로서 2022년 7월 말 기준 세대수 143가구이며, 총 185명이 거주하고 있다.

현재 이곳에는 대청면사무소 소청출장소를 비롯하여 소청보건진료소, 폐교된 대청초등학교 소청분교가 있었고, 우체국 등 행정 및 숙박 및 편의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학생이 없어 학교가 폐교되었다는 점이 매우 안타까운 실정이다. 지형이 해안절벽과 암초, 규모가 작은 해수욕장 등이 형성되어 있어 예로부터 이런 지점을 부르는 명칭이 다양했다. 과거에는 '이룻마을'이라 불렀으나 뜻이나 유래는 분명치 않으며, 주변에는 능동, 새거메, 토끼여, 갈밭아래, 빗바위, 너덩여, 절골, 이랑구미, 남쪽 장술, 놋바람받이 등이 있다.

 

▶ 예동의 문화 유산

예동 마을을 감싸고 있는 당산은 '큰당(서낭당)'이 있어 기독교가 전래되기 전부터 민간신앙으로 큰 역할을 했다. 현재는 콘크리트 벽에 스레트 지붕으로 내부에는 무신도가 걸려 있다. 그리고 당산 중턱의 김대건 신부 동상과 동백나무 군락지가 있다. 그중 멀리서 눈에 가장 잘 띄는 것은 흰색으로 도장한 김대건 신부 동상이다. 이 동상은 상, 하의 2층 콘크리트 기단 중 상부 기단 위에 세웠으며, 전면에는 1821년 충남 당진에서 출생하여 1846년 새남터에서 처형되기(병오박해)까지 26년간의 종교 활동을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그 중 소청도와의 관련은 '1846년(헌종12) 4월18일 중국과 연락차 연평도를 경유하여 소청도를 거쳐 백령도로 해서 중국 어선에게 송신'하였다는 내용이다. 좀 더 들어가 김대건 신부가 처형된 병오박해를 전후하여 조선 천주교의 실정을 살펴보면 1831년 당시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는 조선을 중국의 북경교구에서 분리하여 조선대목구를 설정하고, 파리외방전교회가 조선 사목을 맡게 된다. 그 결과 1836~7년 사이 프랑스 선교사인 샤스탕, 모방, 앵베르 등이 압록강을 넘어 육로로 입국하지만 1839년 모두 처형(기해박해)된다. 그 후 7년째인 1846년 당시 제3대 조선대목구장이었던 페레올 신부는 육로를 통한 선교사의 입국 금지로 선교활동이 어렵게 되자 김대건 신부에게 육로가 아닌 해로를 통한 입국과 포교활동을 명했다. 김대건 신부는 당시 연평도 일대 조기잡이가 유명했기에 어선을 섭외하여 외국신부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연평도, 소청도, 백령도까지 나와 입국을 도우려 했지만 그해 5월 순위도에서 관헌에 붙잡혀 9월 처형됐다. 당시 소청도는 김대건 신부가 외국인 선교사의 입국을 위해 생각했던 섬 중의 하나였으며, 이곳에 1961년 부영발(傅永發) 신부의 노력으로 그의 업적을 기려 동상을 건립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소청도에는 2곳의 천주교 공소가 있었지만 현재는 예동 공소만 남아 있고 노화동 공소는 사라졌다.

▲ 김석훈 백령중고 교감·인천섬유산연구소 이사.
▲ 김석훈 문학박사·인천섬유산연구소 이사.

/김석훈 문학박사·인천섬유산연구소 이사



관련기사
[김석훈의 보물섬] 소청도의 입도 과정과 행정구역(2) ▶ 소청도의 입도과정과 행정구역(이어서) 그러나 주민입주를 허락한 지 1년 후(1794) 황해도 수사 이해우(李海愚)는 소청도의 실태를 다음과 같이 보고하고 있다. '소청도는 산세가 가파르고 골짜기가 좁아서 개간할 만한 땅이 있다 하더라도 결국 터를 잡아 살 곳은 못됩니다. 현재 22호의 민호가 움막을 치고 사는데 대청도와 다름이 없는 실정입니다. 두 섬에 살고 있는 백성들은 모두 중국 배(唐船)를 걱정하는데 이 두 섬이 중국 배가 왕래하는 중요한 길목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해) 이주민 모집에 응한 사람들은 모두 변함없는 [김석훈의 보물섬] 소청도의 입도 과정과 행정구역(1) 풍광이 아름답고 전설을 간직한 섬, 소청도. 이 섬의 지명을 처음 언급한 '선화봉사고려도경'(1123)에서 대·소청서(大·小靑嶼)는 정말 대·소청도를 의미할까? 필자는 의문점을 제기하며,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외에 '청도(靑島)'란 지명이 생긴 연원은 '대동지지(大東地志)'(1864)에서 멀리서 본 대·소청도가 산림이 울창하여 마치 '검푸른 눈썹'처럼 보인다고 하여 '푸른 섬'을 한자로 옮길 때 음을 따서 '푸른'이 '포을(包乙)&# [김석훈의 보물섬] 쓰고 남는 섬, 소청도 이야기 (1) 3형제 섬으로 구성된 대청군도를 부르는 특징적 수식어구 중 소청도는 '먹고 남는 섬'이라 부른다. 어느 섬이라 지칭할 것 없이 먹고 남거나 때고 남거나 쓰고 남는 전설 같은 사실의 별칭은 3섬의 주민이 먹고 생활하는 데 풍요로움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물 속은 돈이다'라고 여길 만큼 풍부한 어족 자원을 소유한 소청도, 이번은 소청도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인천에서 백령도행 여객선을 타고 3시간 반이면 제일 먼저 도착하는 기항지, 탑동 선착장에 도착하기 전 당안이코쟁이에 있는 소청등대와 감수지말래에 위치 [김석훈의 보물섬] 김학선 선생 업적 들여다보기 지난 호에서는 대청도 ‘김학선선생송덕비’의 비문을 통해 그의 업적을 간단히 소개했다. 그러나 비문의 내용은 간단하며, 전후 시대적 맥락 없이 사실 위주의 업적을 소개하고 있어 그의 노력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1909년 당시 46세 때 김학선의 업적으로 비문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내용을 이영학의 연구를 통해 좀 더 세밀하게 들여다보고자 한다. ▶ 김학선송덕비 비문 내용‘김학선선생송덕비’의 내용 중 1909년(명치42) 선생은 ‘乃得 大小淸島 捕貝採藻專用漁權及 各種漁權之免許 從此 島民就業安定’라는 문구가 있는데, [김석훈의 보물섬] 김학선과 김학선선생송덕비 대청도 선진동 포구에서 면사무소를 오르는 입구 오른쪽에 최근 망향비 소공원 공사를 단행했다. 여기는 모두 3기의 비석이 있는데, 과거에는 수풀로 뒤덮여 있어 대청도 전체가 숨겨진 느낌이었지만 늦게나마 주변 지역을 정비하여 소공원을 만들었으니 다행이다. 추석을 맞이하여 망향비에서 망향의 한을 풀고, 주민이나 관광객은 가까이 접근하여 대청도를 좀 더 이해하는 길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 '김학선선생송덕비'를 통해 김학선의 업적을 살펴보고자 한다. ▶ 김학선선생송덕비김학선선생송덕비(金學善先生頌德碑)는 김학선의 평생 업적을 연 [김석훈의 보물섬] 갈꽃으로 물들었던 아늑한 마을, 노화동 이야기 ▶ 지명 유래노화동(蘆花洞)은 탑동 선착장에서 예동 마을로 향하는 경사로를 오르면 정상부 능선에서 소청등대(우측) 쪽으로 향하는 소청서로를 가다보면 노화동을 알리는 표지석과 함께 소청도 남서쪽 해안가에 가옥들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이 표지석에는 마을 유래가 적혀 있는데, “예로부터 지역이 가파른데다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형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예부터 갈대가 무성하였다하여 노화동이라 불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마을은 '가래끄메', '가래끼미', '가래꾸미', ' [김석훈의 보물섬] 소청도의 너와집, 지붕의 변천 과정 ▲ 소청도의 너와집춘하추동이 있는 우리나라는 계절마다 변하는 자연 현상과 적응하는 사람의 의식주 활동은 매우 밀접하며, 특히 지붕 등 가옥의 구조는 지형 및 기후에 따른 지역별 차이가 매우 크다. 그중 소청도·대청도 등 인천의 섬 지역에서 지붕의 재료로 사용한 너와는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옹진군향리지>(1996)에 의하면 “소청도는 1900년 초에 노순국이 소청도에서 너와를 발견 개척하여 지붕을 덮게 되었다. 소청도 너와 광맥은 노화동 북쪽 아진포 가마웅덩이 부터 예동 뒤 탑동 해안 동쪽까지 너와가 매장되어 있다. 소청도에는 이와 [김석훈의 보물섬] 1908년 신설된 소청도 등대(燈臺) 등대(燈臺, lighthouse)는 항해하는 선박이 육지나 배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하거나 항만의 소재, 항(港)의 입구 등을 알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연안의 육지에 설치된 등화를 갖춘 탑 모양의 구조물을 말한다. 흔히 등대는 바다를 비춰 길을 밝혀주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 등대는 암초 같은 위험한 장애물이 있어 피할 상황에 “나, 여기 있다.”라고 항해하는 배에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짓는 시설이다. 즉 등대는 길을 인도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로 오지 말라고 알리는 신호기인 것이다.우리나라 서해 최북단에 위치한 소청도 [김석훈의 보물섬] 일제강점기 소청도 등대(燈臺) 지난 호에서는 통감부 공보를 통해 고시된 소청도 등대의 점등 시기, 위치, 광달거리, 등탑, 등질, 명호(明弧)에 대해 언급했다. 이것은 소청도 등대를 최초로 소개한 자료로서 진남포 이사청(이사장 秋本豊之進) 고시 제1호이며, 등대국에서 1908년 1월 4일 통지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번 호는 이 등대를 만든 목적과 운영했던 사람들은 누가 있을까? 에 대해 살펴본다.1. 소청도 등대의 소속1908년 처음 점등한 후 일제강점기까지 약 40년간 등대를 관리, 감독하던 등대장과 실무 담당자는 일본인이었다. 필자는 점등 후 3년 [김석훈의 보물섬] 현대의 소청도 등대(燈臺) 지난 호에서는 <직원록>을 통해 일제강점기 당시의 소청도 등대의 위상과 설립 목적에 대한 일면을 살펴봤다. 이번은 광복이후 등대를 총괄했던 '항로표지관리소장(등대장)'은 누구였을까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등대지기'에서 '항로표지관리원'으로영국 민요 'The Golden Rule'이 영국 이민자에 의해 미국으로, 미국에서 1940년대 중반 다시 일본으로 그리고 일본에서 1970년대 한국으로 건너오며 '등대지기'란 제목의 '얼어붙은 달그림자 물결위에 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