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 근본적 대책 마련해야
▲ 뭐니 뭐니 해도 최고의 혼인 예물은 갓난아이를 안겨주는(符) 것이다. / 그림=소헌

필자가 사는 집 담장 옆 건물은 공사중이다. '어린이 집'에서 '노인보호시설'로 문패를 바꾸어 달 모양이다. 주변을 돌아보니, 학원이나 산부인과 병원 등이 변경하여 그렇게 된 곳이 참 많다. 이제는 서울에서도 사라지기 시작한 고등학교. 무서우리만큼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는 출산율이 가장 큰 요인이다. 국가사회가 유지되려면 단순하게 계산해도 남녀가 혼인해서 2명을 낳아야 한다. 즉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2명 이상은 낳아야 하는데, 합계출산율(2001년)은 1명도 채 안된 0.81이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다. '한국이 다시 한 번 세계 최저 출산율을 깼다'고 외신에서는 난리다. 젊은이 수가 감소했고, 혼인연령이 늦어진 것도 모자라 아예 혼인율이 급격하게 하락했으며, 혼인을 한다 해도 늦게 낳고 안 낳거나 덜 낳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고스톱'으로 따지면 쓰리고에 피박에 광박까지 싹 털릴 판이다. 하지만 대책이 없다. 매년 수십조 원이 드는 정책비를 아예 1인당 출산비 2억원씩 주는 방안이 설득력 있다. 물론 성차별적 사회 구조와 가부장 문화 자체를 바꾸는 정책이 선행되어야 하겠지만.

玄(현)은 깊고 오묘함이요, 符(부)는 부호나 표식을 말한다. 도덕경 제55장 玄符(현부-표현할 수 없는 깊은 진리)에서 노자는 갓난아이 비유를 통하여 道의 조화로움을 알리고자 했다. 조화란 어느 한 방향으로 극단적이지 않고 서로 잘 어울려 모순됨이나 어긋남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攫(확)은 가로채거나 움켜잡는다는 뜻으로서 攫鳥(확조)는 매나 독수리처럼 억세고 사나운 새를 가리킨다. 여러 군데의 판본에서 全(전)은 (최)로 쓰였는데, 갓난아이의 음부를 말한다. 握固(악고)는 네 손가락으로 엄지손가락을 쥐는 모습이며, 益生(익생)은 貪生(탐생)과 같으니 욕심을 부려 더 살려고 바둥대는 모습이다. 祥(상)은 길흉의 징조를 말하는데 여기서는 '재앙'으로 썼다.

덕을 두텁고 후하게 지닌 사람은 갓난아이에 비길 수 있다. 독벌레도 쏘지 않고, 맹수도 할퀴지 않고, 사나운 새도 낚아채지 않는다. 뼈가 약하고 근육은 부드럽지만 쥐는 힘이 굳세다. 남녀의 교합을 모르면서도 발기하는 것은 정기가 가득 찼기 때문이다. 하루 종일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 것은 기가 조화롭기 때문이다. 조화의 도리를 아는 것을 恒常(항상.변함이 없음)이라 하고, 항상을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한다. 삶을 무리하게 탐내는 것은 재앙이며, 욕심으로 기운을 부리는 것을 강하다고 한다. 만물의 기운이 壯盛(장성.씩씩하고 힘참)하면 언젠가는 쇠하게 마련이니 그것은 무위의 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도가 아닌 것은 오래가지 못한다.

(含德之厚 此於赤子. 毒蟲不 猛獸不據 攫鳥不搏.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全作 精之至也. 終日號而不 和之至也. 知和曰常 知常曰明. 益生曰祥 心使氣曰强.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早已. <道德經> 第55章-玄符)

 

符 부 [부호 / 증표]

①'무엇을 주다' 할 때 쓰는 글자 付(부)에는 두 사람이 그려져 있다. 한 사람(亻)은 받고 한 사람은 손(寸촌)에 쥔 것을 건네주는 모습이다. ②이때 두 사람만이 알 수 있도록 대나무(竹죽)에 기호를 써서 준다(付). 이것을 증표(符부)로 삼았다.

전문가들은 당장 시도할 수 있는 유효한 출산율 대책으로 비혼출산(혼외자)을 주장한다. 실제로 대부분의 OECD 회원국에선 비혼 출산이 핵심 요인이라 한다. 필자의 남동생은 넷인데, 그 중 세 명이 장가를 못가고 있다. 이참에 한 마디 한다. “죄다 정자은행에서 유전자 좋은 백인 것만 받으려고 할 테고, 결국 한국 토종씨는 마르겠지? 제발 장가 좀 가자!”

▲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lt;수필처럼 한자&gt; 저자.
▲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老子 한국을 말한다] 54. 나를 보듯 남을 살피자 “군자의 학문은 몸을 수양하는 것이 절반이요, 나머지 절반은 백성을 기르는 것이다. 성인이 사라진 지 오래되었고 그 말씀도 없어져서 그 道가 점점 어두워졌다. 지금 관리들은 자신의 이익을 좇는 데만 급급하고 백성을 기르는 법을 모른다. 백성들은 곤궁하여 결국 병들어 쓰러져 시궁창과 골짜기에는 굶어 죽은 시신이 가득한데 목민관이라는 자들은 좋은 옷과 맛있는 음식으로 자기만 살찌우고 있으니, 어찌 슬프지 않은가?” - 「목민심서」 서문 中.이 책은 다산이 19년간 귀양살이를 한 후 풀려난 1818년에 완성하였다. 그의 나이 57세였다. [老子 한국을 말한다] 53. 증거를 더한다 정치자금을 많이 기부하면서 특권을 누리는 탐욕스런 자본가들을 ‘살찐 고양이’로 비유한다. 이 용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은행들이 파산하면서 직원들은 임금삭감과 구조조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데 반해, 은행가들은 고액의 연봉과 보너스를 받고 거기에 세제혜택까지 누리는 행태를 비꼬며 유행하였다. 우리나라 상위 10%가 평균 180,000,000원을 벌 때, 하위 50%는 평균 12,000,000원을 번다고 한다. 소득격차 14배, 부동산 등을 포함하면 무려 52배 격차가 난다. ‘살찐 고양이법’은 사회양극화를 해소하고 소득 [老子 한국을 말하다] 52. 처음으로 돌아가자 별주부의 꾐에 빠져 수궁으로 향한 토끼. 나졸들이 포위하자 자기는 토끼가 아니라며 상황을 회피한다. 「금군 모조리 순령수 일시에 내달아 토끼를 에워쌀 제. 진황 만리장성 싸듯 산양 싸움에 마초 싸듯 첩첩이 둘러싸고 토끼 들이쳐 잡는 거동. 영문출사 도적 잡듯 토끼 두 귀를 꽉 잡고 “네가 이놈 토끼냐?” 토끼 벌렁벌렁 떨며 “토끼 아니요.” “그러면 무엇이냐?” “개요.” “개 같으면 더욱 좋다. 삼복달임에 너를 잡어 약개장도 좋거니와 만병회춘의 명약이라” “아이고 개도 아니고 송아지요.” “소 같으면 더욱 좋다. 천엽 콩팥 후박 [老子 한국을 말하다] 51. 덕을 쌓다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저서 「사피엔스」에서 사람이 가축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했다. “먼저 짐승 떼를 빙 둘러 울타리를 치고는 빠져나오려고 하는 놈 먼저 잡아먹고, 다음으로는 울타리 안에서 사납게 구는 놈을 잡아먹는다. 이때 겁먹은 놈에게는 먹이를 주며 새끼를 낳게 하곤 했더니 차차 사람 말을 잘 듣는 가축이 만들어졌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가축화로 인해 소·말·양·돼지·닭 등은 번식에 성공했다. 오늘날에도 비참하게 사육되고 도살되는 닭이나 돼지, 이 종種들에게 농업혁명은 끔찍한 재앙이다. 과연 성공한 종일까? 養(양)은 기 [老子 한국을 말한다] 56. 위정자의 깊은 덕 莊子가 물가에서 낚시하고 있었다. 그때 초나라 왕이 보낸 두 대부가 찾아와서 말했다. “선생께 초나라의 정치를 맡기고자 합니다.” 장자는 낚시대를 잡은 채 돌아보지도 않고 말한다. “듣자하니 초나라에 신령한 거북이가 있는데, 죽은 지 3천 년이나 되었다는군요. 왕께서는 그것을 비단상자에 넣어 소중하게 간직하며 길흉을 점친다고 합니다. 그 거북이는 죽어서 뼈를 남긴 채 그토록 귀하게 받들어지기를 원했겠소? 아니면 살아서 진흙 속에 꼬리를 끌며 다니기를 바랐겠소?” 그들이 대답했다. “그야 물론 살아서 진흙 속에 꼬리를 끌며 다니기를 [老子 한국을 말한다] 57. 꾸밈없는 풍속 “그동안은 말로만 하루 24시간이었지. 우리가 실지로 쓴 시간은 하루 스무 시간밖에 더 됐나?” 늘 통금通禁에 쫓겨 끗발이 오를 만하면 아쉽게 일어서야 했던 노름꾼 심씨는 통금해제에 대해 소회를 밝혔다. - 이문구 作 「산너머 남촌」 중에서.그땐 그랬다. 밤 11시가 넘어가면 시내 곳곳에서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특히 눈이 많이 내려 교통이 마비되면 귀가는 전쟁통이나 다름없었다. 12시가 되면 사이렌이 울려 퍼졌고, 술꾼과 연인들은 숨어들 곳을 찾으려고 여념이 없다. 아예 술집 문을 잠그고 통금이 해제될 때까지 마시기도 했다. 만약에 [老子 한국을 말하다] 61. 낮추는 마음가짐 “무찌르자 오랑캐 몇백만이냐~.” 초등학교 시절 점심시간이 되면 여자애들은 운동장에 모여 고무줄놀이를 즐겼다. 아이들의 몸은 날렵하였으니, 체조요정이 환생했을 성싶다. 놀이가 한창 무르익을 무렵 남자애는 고무줄 한가운데를 끊어 놓고 내뺐다. 앞도 안 보고 달아나던 그 아이는 철봉대에 부딪혀 눈두덩이가 터졌다. 그 녀석이 필자다.'東夷동이'란 고대 중국인이 황해 연안 및 중국 동북부·한국·일본 등에 분포한 종족을 부르던 명칭으로서, 漢 이후는 동이·서융·남만·북적 등 중화사상을 드러내며 구체화된 용어다. 이 시기 東夷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