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추면 천하의 모든 사람이 모여든다
▲ 事(사)는 높게( ) 깃발(中)을 손( )에 들고 싸우는 일이다. / 그림=소헌

“무찌르자 오랑캐 몇백만이냐~.” 초등학교 시절 점심시간이 되면 여자애들은 운동장에 모여 고무줄놀이를 즐겼다. 아이들의 몸은 날렵하였으니, 체조요정이 환생했을 성싶다. 놀이가 한창 무르익을 무렵 남자애는 고무줄 한가운데를 끊어 놓고 내뺐다. 앞도 안 보고 달아나던 그 아이는 철봉대에 부딪혀 눈두덩이가 터졌다. 그 녀석이 필자다.

'東夷동이'란 고대 중국인이 황해 연안 및 중국 동북부·한국·일본 등에 분포한 종족을 부르던 명칭으로서, 漢 이후는 동이·서융·남만·북적 등 중화사상을 드러내며 구체화된 용어다. 이 시기 東夷에는 濊예·貊맥·韓한 계통의 우리 민족과 읍루와 왜족이 속했다. 그러다가 어찌 된 영문인지 근세 이후에는 '동이는 한민족'이라는 데 망설이지 않게 되었다. '夷'란 무슨 뜻인가?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 사전에 실린 대표적인 뜻은 '오랑캐'다. 어디서부터 잘못되었을까?

한국학을 대표한다는 한 연구원에서 저술하고 영문으로 번역한 「A History of Korea」를 보자. “중국인들은 고조선 사람들을 야만인이라며 경멸했다(the people of Gojoseon calling them barbarians.).” 영어 'barbarian'은 야만인·미개인·오랑캐 등으로 쓴다. 이를 두고 어떤 학자는 “엉터리 한국사를 보고 공부한다는 것은 상상만 해도 아찔한 일이다.”라고 꾸짖었다. 또 다른 학자는 “사대주의에서 비롯된 우리가 버려야 할 오염된 허상이다.”라고 했다.

도덕경 제61장 謙德(겸덕-낮추는 마음가짐)에서 노자의 국가관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작은 나라를 추구하였다(小國寡民). 크기의 차이가 힘의 차이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국격은 대등하다. 본문에서 '大國'은 모든 백성이 하나 되는 이상향이다. 일부에서는 '欲入事人'을 두고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를 두둔하는 논리로 쓰며 노자의 사상을 곡해하고 있다.

강물이 낮게 흐르듯 큰 나라가 낮추면 천하의 모든 사람이 모여든다. 천하는 암컷과 같다. 암컷은 항상 허정(虛靜)으로 수컷을 이기는데, 고요하게 스스로 낮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큰 나라가 겸하(謙下)하게 작은 나라를 대하면 작은 나라를 얻을 수 있고, 작은 나라가 겸하하게 큰 나라를 대하면 큰 나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큰 나라도 겸하함으로 얻고 작은 나라도 겸하함으로 얻게 된다. 큰 나라는 단지 작은 나라의 백성을 복속시키려고 할 뿐이요, 작은 나라는 큰 나라를 따르려 할 뿐이다. 서로가 모두 원하는 것을 이루려면 큰 나라가 더 낮추어야 한다.

(大國者下流 天下之交. 天下之牝 牝常以靜勝牡 以靜爲下. 故大國以下小國 則取小國. 小國以下大國 則取大國. 故或下以取 或下而取. 大國不過欲兼畜人. 小國不過欲入事人. 夫兩者各得所欲 大者宜爲下. 「道德經」 第61章-謙德)

 

事 사 [일 / 벼슬 / 정치]

①事/ (사)는 전쟁에 나가 높게( ) 깃발(中)을 손( )에 들고 싸우는 일에서 왔다. ②史(역사 사)와 吏(관리 리) 그리고 事(일 사)의 뿌리는 같다. ③史(사)는 기록하는 일, 吏(리)는 벼슬아치, 事(사)는 직책으로 나뉘었다.

「용비어천가」에는 兀良哈(올량합)이라는 기록이 있다. 여진의 종족이며 야인이라고 풀이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 등 여러 사서에는 兀良合(올량합)·斡郞改(알랑개)·兀狄合(올적합)이라는 기록이 나오는데, 모두 '오랑캐'를 옮겨 적은 것이다. 그리고 현재까지 이어진다. 단호하게 말한다. “夷(이)는 활(弓)을 잘 쏘는 큰(大) 사람이 아이(弓)를 안고 있는 인자함이다(夷是仁也).”

 

▲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 전성배 한문학자. 민족언어연구원장. <수필처럼 한자> 저자

/전성배 한문학자. 민족언어연구원장. <수필처럼 한자> 저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老子 한국을 말하다] 60. 정치하는 자리 '한비'는 전국시대 말기 韓(한)의 사상가다. 그는 젊어서 秦(진)의 '이사'와 함께 순자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이사는 언변이 뛰어났으나, 한비는 말을 더듬거렸다. 한비는 도가 유가 묵가 등 여러 학문을 섭렵하였으며, 법에 의한 정치를 주장하였다. 진시황은 한비를 얻고 싶어 했다. “한비를 얻고 싶다면 한을 공격하소서. 그러면 한비가 사신으로 올 것이고 그때 회유하면 됩니다.” 이사가 간언했다. 진시황은 그렇게 했고, 예상대로 한비가 사신으로 왔다.한비는 한이 아닌 趙(조)를 공격하라고 설명했다. “첫째 [老子 한국을 말한다] 57. 꾸밈없는 풍속 “그동안은 말로만 하루 24시간이었지. 우리가 실지로 쓴 시간은 하루 스무 시간밖에 더 됐나?” 늘 통금通禁에 쫓겨 끗발이 오를 만하면 아쉽게 일어서야 했던 노름꾼 심씨는 통금해제에 대해 소회를 밝혔다. - 이문구 作 「산너머 남촌」 중에서.그땐 그랬다. 밤 11시가 넘어가면 시내 곳곳에서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특히 눈이 많이 내려 교통이 마비되면 귀가는 전쟁통이나 다름없었다. 12시가 되면 사이렌이 울려 퍼졌고, 술꾼과 연인들은 숨어들 곳을 찾으려고 여념이 없다. 아예 술집 문을 잠그고 통금이 해제될 때까지 마시기도 했다. 만약에 [老子 한국을 말한다] 56. 위정자의 깊은 덕 莊子가 물가에서 낚시하고 있었다. 그때 초나라 왕이 보낸 두 대부가 찾아와서 말했다. “선생께 초나라의 정치를 맡기고자 합니다.” 장자는 낚시대를 잡은 채 돌아보지도 않고 말한다. “듣자하니 초나라에 신령한 거북이가 있는데, 죽은 지 3천 년이나 되었다는군요. 왕께서는 그것을 비단상자에 넣어 소중하게 간직하며 길흉을 점친다고 합니다. 그 거북이는 죽어서 뼈를 남긴 채 그토록 귀하게 받들어지기를 원했겠소? 아니면 살아서 진흙 속에 꼬리를 끌며 다니기를 바랐겠소?” 그들이 대답했다. “그야 물론 살아서 진흙 속에 꼬리를 끌며 다니기를 [老子 한국을 말한다] 55. 표현할 수 없는 깊은 진리 필자가 사는 집 담장 옆 건물은 공사중이다. '어린이 집'에서 '노인보호시설'로 문패를 바꾸어 달 모양이다. 주변을 돌아보니, 학원이나 산부인과 병원 등이 변경하여 그렇게 된 곳이 참 많다. 이제는 서울에서도 사라지기 시작한 고등학교. 무서우리만큼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는 출산율이 가장 큰 요인이다. 국가사회가 유지되려면 단순하게 계산해도 남녀가 혼인해서 2명을 낳아야 한다. 즉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2명 이상은 낳아야 하는데, 합계출산율(2001년)은 1명도 채 안된 0.81이다. 전 세계에서 유일 [老子 한국을 말하다] 62. 만물의 근원 “먼저 잡는 놈이 갖는다.” 연쇄살인마 강경호(김성규 扮)는 무차별하게 살인을 저지르고 다니는데, 경찰은 그냥 단순한 살인사건으로 여겼다. 하지만 '미친개 형사' 정태석(김무열 扮)만이 연쇄살인 사건이라고 직감한다. 비가 내리는 날 차를 몰고 가다가 우연히 살인마의 표적이 된 조직 두목 장동수(마동석 扮)는 칼을 맞고 병원으로 실려 간다. 소식을 듣고 찾아간 정태석은 장동수로부터 강경호의 범죄사실을 확신한다. 그렇게 하여 경찰의 과학수사와 조직폭력배의 인력이 합쳐 살인범을 잡기 위해 손을 잡는다.그들은 강경호가 쓰던 [老子 한국을 말하다] 63. 보답하는 은혜 '포정'이라는 백정이 소를 잡는다. 소를 다루고 칼질하는 품이 노래하듯 음률에 맞는 모습을 보던 혜왕은 탄복하였다. “참 잘한다. 어떻게 재주가 여기까지 오를 수 있는가?” 포정이 대답했다. “저는 손으로 소를 다루지 않고 도를 통해 발라냅니다. 처음에는 제 눈에 소만 보였지만, 3년이 지나자 소는 보이지 않고 마음으로 소를 대할 뿐입니다. 소 조직의 자연적인 이치를 따라 살과 뼈 사이에 난 틈이나 빈 곳을 이용해 칼을 다룹니다. 솜씨가 뛰어난 백정은 1년에 한 번씩 칼을 바꾸는데 살을 베기 때문이며, 보통 백정은 한 [老子 한국을 말하다] 65. 깊고 원대한 법도 “조선 놈은 맞아야 한다.” '조선태형령(令)'은 일제의 무단통치를 상징하는 제도로서 조선인만을 대상으로 삼은 악법이다. 이미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으나 총독부가 부활시켰다. 형틀 위로 손과 발을 묶고 아랫도리를 벗긴 후 삼끈을 칭칭 감은 대나무막대기로 볼기를 때리는 형벌이다. 너무도 혹독하여 오랫동안 치료가 필요하며 심한 경우에는 불구가 되거나 목숨을 잃기도 하였다. 조선인들에게 큰 공포심을 뿌렸는데, 일제는 이것을 이용하여 복종을 강제하였다.3·1운동에서 나타난 우리 겨레의 저항을 경험한 일제는 '문화의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