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전면해제 논의, 자영업자 시름 덜길
▲ 나무울타리(林)를 쳐서 신령한(示) 땅에 여자의 출입을 막았다(禁). / 그림=소헌
▲ 나무울타리(林)를 쳐서 신령한(示) 땅에 여자의 출입을 막았다(禁). / 그림=소헌

“그동안은 말로만 하루 24시간이었지. 우리가 실지로 쓴 시간은 하루 스무 시간밖에 더 됐나?” 늘 통금通禁에 쫓겨 끗발이 오를 만하면 아쉽게 일어서야 했던 노름꾼 심씨는 통금해제에 대해 소회를 밝혔다. - 이문구 作 「산너머 남촌」 중에서.

그땐 그랬다. 밤 11시가 넘어가면 시내 곳곳에서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특히 눈이 많이 내려 교통이 마비되면 귀가는 전쟁통이나 다름없었다. 12시가 되면 사이렌이 울려 퍼졌고, 술꾼과 연인들은 숨어들 곳을 찾으려고 여념이 없다. 아예 술집 문을 잠그고 통금이 해제될 때까지 마시기도 했다. 만약에 이 시간에 나다니다 통금 위반으로 적발되면 구치소에 갇혔다가 즉결심판에 넘겨져 벌금을 내거나 구류처분을 받아야 했다.

통금은 광복 직후인 1945년 9월 8일 서울과 인천부터 적용되었다. 20일 후 ‘미군이 점령한 조선지역 내 인민에게 밤 10시부터 새벽 4시까지 야간통행금지’라는 내용으로 포고령이 내려졌으며, 휴전 이후에도 치안유지 명목을 내세워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그래서 또다시 36년 4개월 동안 시민의 자유를 박탈하였다. 이 제도는 계엄법과 국가보안법뿐만 아니라, 한국인들의 ‘빨리빨리 문화’와 새치기 등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淳風순풍」은 제17장에서도 같은 제목으로 썼다. 도덕경 제57장 淳風(순풍-꾸밈없는 풍속)에서 노자는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을 有爲(규제/준법)와 無爲에 의한 것으로 구분하였다. 그의 사상은 규제를 내세운 공자의 유가사상이나, 법령을 중시한 한비자의 법가사상과는 대비된다. 금기할 것이 많다는 것은 해서는 안 될 일이 많다는 것으로 그만큼 기회를 잃게 된다. 그러니 더욱 빈곤해진다. 그는 고요함(靜)을 내세웠다. 제16장에서 ‘마음을 공허하게 하고 고요함을 돈독하게 하라(致虛極 守靜篤)’고 했으며, 제45장에서는 ‘맑고 고요해야 천하가 바르게 된다(淸靜爲天下正)’고 하였다. 그만큼 무위정치를 강조한 것이다. 본문에서 取(취)는 ‘治’로 쓰였고, 彌(미)는 ‘더욱’이라는 뜻이며, 朝(조)는 왕조나 통치자를 뜻한다.

나라는 바르게 다스리고 군사는 기발한 전술로 치러야 하지만, 천하는 꾸미지 않고(無爲) 다스려야 한다. 내가 어찌 그것을 알겠는가?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천하에 꺼리고 피할 것이 많으면 백성은 더욱 가난해지고, 위정자가 지략을 많이 쓰면 나라는 더욱 어둡고 혼란해지고, 사람들이 간교한 꾀를 많이 부리면 간사한 일들이 더욱 많아지고, 법령이 더욱 엄하게 되면 도적이 더욱 많아진다. 그래서 성인이 말했다. 내가 의도적으로 행하지 않으니 백성이 스스로 화육하고, 내가 고요하기를 좋아하니 백성이 스스로 바르게 되고, 내가 애써 일을 꾸미지 않으니 백성이 스스로 부유해지고, 내가 욕심을 부리지 않으니 백성이 스스로 소박해진다.

(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 吾何以知其然哉? 以此.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朝夕利器 國家滋昏. 人多伎巧 奇物滋起. 法令滋彰 盜賊多有. 故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 我好靜而民自正. 我無事而民自富. 我無欲而民自樸. 「道德經」 第57章-淳風)

 

禁 금 [금하다 / 삼가다 / 감옥]

①나무울타리(林)를 쳐서 제사하는 신령한(示) 땅에 일반인의 출입을 막았다(禁). ②특히 여종들은 정신을 팔리게 하는 요물이었다. ③그래서 婪(탐할 람)이 나왔다. 음탕한 마음은 울타리 아래에 깊이 가두어야(禁) 한다.

코로나 4단계 ‘셧다운’은 또 다른 통금이었다. 다행히 내달 ‘전면해제’를 논의하고 있다. 가게를 운영하는 사장님들이 장사가 잘되어 경기침체를 깊이 가두었으면(禁) 좋겠다.

▲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老子 한국을 말한다] 56. 위정자의 깊은 덕 莊子가 물가에서 낚시하고 있었다. 그때 초나라 왕이 보낸 두 대부가 찾아와서 말했다. “선생께 초나라의 정치를 맡기고자 합니다.” 장자는 낚시대를 잡은 채 돌아보지도 않고 말한다. “듣자하니 초나라에 신령한 거북이가 있는데, 죽은 지 3천 년이나 되었다는군요. 왕께서는 그것을 비단상자에 넣어 소중하게 간직하며 길흉을 점친다고 합니다. 그 거북이는 죽어서 뼈를 남긴 채 그토록 귀하게 받들어지기를 원했겠소? 아니면 살아서 진흙 속에 꼬리를 끌며 다니기를 바랐겠소?” 그들이 대답했다. “그야 물론 살아서 진흙 속에 꼬리를 끌며 다니기를 [老子 한국을 말한다] 55. 표현할 수 없는 깊은 진리 필자가 사는 집 담장 옆 건물은 공사중이다. '어린이 집'에서 '노인보호시설'로 문패를 바꾸어 달 모양이다. 주변을 돌아보니, 학원이나 산부인과 병원 등이 변경하여 그렇게 된 곳이 참 많다. 이제는 서울에서도 사라지기 시작한 고등학교. 무서우리만큼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는 출산율이 가장 큰 요인이다. 국가사회가 유지되려면 단순하게 계산해도 남녀가 혼인해서 2명을 낳아야 한다. 즉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2명 이상은 낳아야 하는데, 합계출산율(2001년)은 1명도 채 안된 0.81이다. 전 세계에서 유일 [老子 한국을 말한다] 54. 나를 보듯 남을 살피자 “군자의 학문은 몸을 수양하는 것이 절반이요, 나머지 절반은 백성을 기르는 것이다. 성인이 사라진 지 오래되었고 그 말씀도 없어져서 그 道가 점점 어두워졌다. 지금 관리들은 자신의 이익을 좇는 데만 급급하고 백성을 기르는 법을 모른다. 백성들은 곤궁하여 결국 병들어 쓰러져 시궁창과 골짜기에는 굶어 죽은 시신이 가득한데 목민관이라는 자들은 좋은 옷과 맛있는 음식으로 자기만 살찌우고 있으니, 어찌 슬프지 않은가?” - 「목민심서」 서문 中.이 책은 다산이 19년간 귀양살이를 한 후 풀려난 1818년에 완성하였다. 그의 나이 57세였다. [老子 한국을 말한다] 53. 증거를 더한다 정치자금을 많이 기부하면서 특권을 누리는 탐욕스런 자본가들을 ‘살찐 고양이’로 비유한다. 이 용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은행들이 파산하면서 직원들은 임금삭감과 구조조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데 반해, 은행가들은 고액의 연봉과 보너스를 받고 거기에 세제혜택까지 누리는 행태를 비꼬며 유행하였다. 우리나라 상위 10%가 평균 180,000,000원을 벌 때, 하위 50%는 평균 12,000,000원을 번다고 한다. 소득격차 14배, 부동산 등을 포함하면 무려 52배 격차가 난다. ‘살찐 고양이법’은 사회양극화를 해소하고 소득 [老子 한국을 말하다] 52. 처음으로 돌아가자 별주부의 꾐에 빠져 수궁으로 향한 토끼. 나졸들이 포위하자 자기는 토끼가 아니라며 상황을 회피한다. 「금군 모조리 순령수 일시에 내달아 토끼를 에워쌀 제. 진황 만리장성 싸듯 산양 싸움에 마초 싸듯 첩첩이 둘러싸고 토끼 들이쳐 잡는 거동. 영문출사 도적 잡듯 토끼 두 귀를 꽉 잡고 “네가 이놈 토끼냐?” 토끼 벌렁벌렁 떨며 “토끼 아니요.” “그러면 무엇이냐?” “개요.” “개 같으면 더욱 좋다. 삼복달임에 너를 잡어 약개장도 좋거니와 만병회춘의 명약이라” “아이고 개도 아니고 송아지요.” “소 같으면 더욱 좋다. 천엽 콩팥 후박 [老子 한국을 말하다] 61. 낮추는 마음가짐 “무찌르자 오랑캐 몇백만이냐~.” 초등학교 시절 점심시간이 되면 여자애들은 운동장에 모여 고무줄놀이를 즐겼다. 아이들의 몸은 날렵하였으니, 체조요정이 환생했을 성싶다. 놀이가 한창 무르익을 무렵 남자애는 고무줄 한가운데를 끊어 놓고 내뺐다. 앞도 안 보고 달아나던 그 아이는 철봉대에 부딪혀 눈두덩이가 터졌다. 그 녀석이 필자다.'東夷동이'란 고대 중국인이 황해 연안 및 중국 동북부·한국·일본 등에 분포한 종족을 부르던 명칭으로서, 漢 이후는 동이·서융·남만·북적 등 중화사상을 드러내며 구체화된 용어다. 이 시기 東夷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