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석의 지구촌./인천일보DB

미국과 소련의 냉전이 정점에 달했던 1960년대의 세계적인 뉴스 메이커는 프랑스의 드골 대통령이었다. 나토를 탈퇴하고 핵 보유국이 된 프랑스는 위대한 프랑스를 꿈꾸며 독자적인 외교·군사 정책을 펼쳐 나갔다. 1963년 독·불 우호협력조약을 통해 독일과 미래지향적 동반자 관계를 만들고 독일과 함께 유럽통합의 꿈을 실현해 나간 것도 드골이었다.

▶당시 프랑스를 위시하여 서독, 이탈리아, 베네룩스 3국 총 6개국으로 1957년 출범한 유럽경제공동체(EEC)에 영국이 가입 신청을 했지만 프랑스의 거부권 행사로 좌절되었다. EEC 헌장은 신규 회원국 가입은 기존 회원국 만장일치로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동서 냉전 상황에서 서방국가들간의 단합이 긴요했던 시기에 프랑스의 나토 탈퇴와 영국의 EEC 가입 봉쇄는 국제뉴스의 주요 쟁점이 되었다.

▶1967년 조선일보 외신부(국제부)에서 야간 근무를 하고 있던 필자는 시내판 마감시간이 박두한 시점에서 해외통신사들이 쏟아내는 뉴스에서 '드골 대통령, 영국의 EEC 가입 또다시 거부'라는 제목의 긴급뉴스를 신속하게 번역해서 편집부에 넘겼다. 경쟁지에서는 그 뉴스를 싣지 못해서 그날 아침 수도권으로 배달되는 신문에는 드골의 영국 가입 2차 거부권 행사가 1면 중간톱이 되어 필자의 특종 기사가 되었다. 이때부터 영국의 EEC 가입에 대해서는 각별한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영국의 유럽연합 가입은 1973년에 실현되었다. 프랑스 특파원으로 근무하고 있던 필자는 유럽연합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던 네덜란드의 수도 헤이그에서 취재에 임했다. 영국을 '트로이의 목마'로 지목하며 가입을 거부하던 드골 대통령이 퇴진한 후였고 영국을 가입시켜 프랑스의 잉여 농산물 시장을 확대해 보자는 여론에 프랑스도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 가입이 확정되었다. 네덜란드 현장에서 영국 가입 기사를 쓰면서 때마침 번역하고 있던 앙드레 모루아의 <영국사>에 나오는 '역사적으로 영국은 유럽의 통합을 저지하는 대외정책을 추구해 왔다'는 구절과 평소 드골 대통령이 '유럽이 미국과 분쟁이 생기면 영국은 분명히 미국편에 설 것'이라는 언급이 점철되었다.

▶영국은 유럽연합에 가입한지 46년이 되는 2019년에 드골의 예언대로 28개국으로 확대된 통일 유럽에서 탈퇴를 감행했다. 그로부터 4년이 지난 오늘날 영국은 극심한 경제 불황과 물가 상승 그리고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영국인 32%만이 유럽 탈퇴를 긍정적으로 보는 대신 56%는 실패로 생각한다. G7 국가 중 유일하게 총생산이 축소되어 스위스식으로 유럽연합과의 준회원국 관계를 시도하고 있지만 냉기류만 흐를 뿐이다. 반세기 이상 영국과 유럽의 관계를 가까이 지켜보면서 국가간의 관계는 신뢰와 존중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실감하는 요즈음이다.

▲ 신용석 언론인.<br>
▲ 신용석 언론인.

/신용석 언론인



관련기사
[신용석의 지구촌] 1074회 2023년에 기대되는 6가지 낙관론 영국의 세계적인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1889~1975)는 저서 <역사의 연구>를 통해 문명의 발전은 위기와 난관에 슬기롭게 대처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는 인류 역사가 계속 진보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과 응전의 과정에서 탄생·성장·붕괴·해체의 4단계 주기를 겪는다는 문명순환론을 주장했다. 그는 또 “역사적 성공의 절반은 죽을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되었고 역사적 실패의 절반은 찬란했던 시절에 대한 집착(환상)에서 비롯되었다”고 했다.▶한마디로 위기를 극복하면 발전이 온다는 문명순환론을 설파한 토인비의 주장이 [신용석의 지구촌] 1073회 NYT가 꼽은 2022년의 22대 사건 신문사 편집국에서 근무하고 있을 때 매년 연말이 되면 국내외 10대 뉴스를 선정하는 것이 과제였다. 필자가 조선일보사의 국제부장과 사회부장을 맡고 있던 1980년대는 국내외적으로 대형사건이 많았다. 국내적으로는 민주화를 위한 진통이, 국제적으로는 냉전 종식과 동구권 몰락이 주요 뉴스로 꼽히고 있었다. 매년 10대 뉴스를 선정하는 시각이나 안목도 대형사건 위주였던 것으로 기억된다.▶지난해 12월30일자 뉴욕타임스는 '2022년에 일어난 22가지의 획기적 사건들'이라는 제목으로 전면에 대형 특집을 꾸몄다. 2022년에 최 [신용석의 지구촌] 1072회 어둠 속의 크리스마스 축제 시장 프랑스 동북부 알자스 로렌 지방의 중심도시 스트라스부르크는 활기차고 매력적인 도시다. 독일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어 전쟁을 통해 뺏고 찾기를 거듭한 스트라스부르크는 독일 분위기가 풍기지만 프랑스의 애국심이 점철된 도시이기도 하다. 파리 특파원 시절 스트라스부르크를 자주 찾았던 것은 유럽연합(EU) 의회가 있었기 때문이었지만 도시 자체가 지닌 독특한 매력 때문이었을 것이다.▶중학교 교과서에 나왔던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도 스트라스부르크가 자리잡은 알자스가 무대였다. 평소 지각을 자주하던 학생 프란츠가 그날도 학교에 늦게 갔는데 [신용석의 지구촌] 1071회 카타르 FIFA 월드컵의 명암(明暗) 호르스트 다슬러(1936~1987) 아디다스 회장을 처음 만났던 것은 1975년 동일의 비스바덴이었다. 1974년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 연맹 선수권 대회인 42회 세계사격대회(1978년 개최)를 유치한 직후 대회 조직위 부위원장 자격으로 세계사격연맹 본부가 있던 비스바덴에서 만난 다슬러 회장은 한국에서 규모가 큰 국제대회를 멕시코와 경쟁 끝에 유치에 성공한 것을 축하하면서 아디다스도 기꺼이 대회 협찬 회사로 함께하겠다고 했다.▶아디다스의 다슬러 회장은 당시 한국 사격연맹을 맡고 있던 박종규(전 청와대 경호실장) 회장과도 친밀한 관계 [신용석의 지구촌] 1070회 '황해문화 117호'와 인천의 자부심 '3·1 운동 후 변호사 홍진(洪震) 등이 주도해 1919년 4월2일 만국공원(자유공원)에서 13도 대표자들이 극비리에 모였다. 이날 대표자회의에서는 국민대회를 조직하고 임시정부를 세워 각국에 조선독립의 승인을 요구할 것 등을 결의했다. 이후 1919년 4월11일 상해 임시정부가 탄생하였으며 한성, 상해, 노령 세 정부가 1919년 9월 통합되었다' 인천 자유공원에 '한성임시정부 13도 대표자회의 집결지'라는 비명의 내용이다.▶1907년 선각자들이 뜻을 모아 세운 인천 최초의 공립학교인 창영초등학교에는 [신용석의 지구촌] 1076회 추모(追慕)와 보은(報恩)의 가치 파리에서 두 차례에 걸쳐 조선일보 특파원으로 근무할 때 간혹 공동묘지를 찾아보았다. 대부분의 공동묘지는 항상 깨끗하게 정돈되어 있었고 시내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어 산책하기도 좋을뿐더러 유족들이나 추모객들의 화분이나 꽃다발들로 아름다운 분위기였다. 파리의 대표적인 몽파르나스와 몽마르트르 공동묘지와 함께 가장 큰 규모의 페르라쉐즈 공동묘지에는 특히 저명인사들과 예술가들의 묘소가 많았다. 특히 쇼팽이나 에디트 피아프 같은 음악가들의 묘소에는 항상 각가지 생화들이 많이 놓여있어 수십년간 지속하는 꾸준한 추모 열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파 [신용석의 지구촌] 1077회 파르테논 신전 조각품의 운명 파리의 중심부 콩코드 광장 중앙에는 이집트의 전설적인 람세스 2세 때 제작된 오벨리스크 석탑이 우뚝 서 있다. 이집트의 나일강 중류에 자리 잡고 있는 룩소르 신전에 있던 것을 4년이란 세월을 거쳐 프랑스로 옮겨온 것이다. 19세기 때 오스만 제국의 점령하에 있던 이집트 총리 무하마드 알리가 테이로 남작과 장 프랑수와 샹폴리옹을 부추겨 프랑스에 우호증진을 위해 선물로 기증한 것으로 역사는 기록하고 있다. 1845년 루이 필리프 1세는 오벨리스크 선물의 답례로 대형 벽시계를 선물로 주었다.▶길이 23m 대형 석탑을 프랑스로 운반하기도 [신용석의 지구촌] 1078회 창영초등학교와 인천의 품격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개교 50년이란 세월은 유구한 것이며 학교의 역사로서는 귀중한 것입니다. 대한제국 시대에 탄생하여 일제 지배하에서 고난의 성장을 하고 대한민국의 우수한 국민학교로서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창영국민학교는 50년의 역사와 더불어 한국 교육계의 자랑이 아닐 수 없습니다.”▶“3형제의 자식 관계로 1948년부터 창영학교의 학부형이란 영예를 지니고 있어서 창영학교를 칭찬함은 자화자찬하는 것 같지만 광복 직후 취임하신 조석기 교장을 중심으로 아동 훈육과 교육 연구에 다대한 공헌을 한 교직원들의 노력을 찬양 [신용석의 지구촌] 1079회 한국철도 역사(驛舍)의 역사(歷史) 세계에서 가장 큰 철도역은 뉴욕의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이다. 1910년에 준공된 그랜드 센트럴은 장거리 철도 노선의 종착역이기도 하지만 뉴욕 교외 지역에서 시내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철도역이기도 하다. 20세기 후반부터 항공편이 확산하면서 철도가 뒤처지기는 했지만 인구가 조밀한 동부지역의 워싱턴 DC, 필라델피아, 보스턴 같은 대도시의 철도역사에는 승객들이 붐빈다.▶철도 승객이 가장 많은 철도역은 일본 도쿄의 신주쿠(新宿)역이다. 시내 중심에 있는 도쿄역도 거미줄 같이 엉킨 도쿄 수도권의 철도망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 [신용석의 지구촌] 1080회 '직지심체요절'과 나의 인연 파리의 증권거래소와 루브르박물관을 연결하는 리슐리외 거리에 있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은 1368년 샤를 5세가 루브르 궁전에 설립한 왕립도서관을 기원으로 삼는다. 국립도서관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것은 나폴레옹 때였다. 황제 나폴레옹은 국립도서관에 없는 지방도서관의 서적을 모두 파리의 국립도서관으로 보내야 한다는 특명을 내렸고, 유럽 각지를 정복하면서 귀중한 도서를 전리품으로 도서관으로 가져왔다. 1868년 왕립도서관 창립 500주년이 되는 해에 리슐리외 거리에 웅장하고 기품 있는 도서관 건물을 완공했다.▶필자가 프랑스 국립도서관을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