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석의 지구촌./인천일보DB

프랑스 동북부 알자스 로렌 지방의 중심도시 스트라스부르크는 활기차고 매력적인 도시다. 독일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어 전쟁을 통해 뺏고 찾기를 거듭한 스트라스부르크는 독일 분위기가 풍기지만 프랑스의 애국심이 점철된 도시이기도 하다. 파리 특파원 시절 스트라스부르크를 자주 찾았던 것은 유럽연합(EU) 의회가 있었기 때문이었지만 도시 자체가 지닌 독특한 매력 때문이었을 것이다.

▶중학교 교과서에 나왔던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도 스트라스부르크가 자리잡은 알자스가 무대였다. 평소 지각을 자주하던 학생 프란츠가 그날도 학교에 늦게 갔는데 교실 분위기가 침울하고 예사롭지 않았다. 아멜 선생님은 정장을 말끔하게 입고 어른들도 심각한 표정으로 교실에 들어와 있었다. 알자스 로렌이 독일 영토가 되었으므로 앞으로 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아멜 선생님은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더라도 자기 나라말을 잊지 않는다면 감옥의 열쇠를 쥐고 있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마지막 프랑스어 수업이 끝나기 전 아멜 선생님은 칠판에 '프랑스 만세'라고 썼다는 내용의 단편이었다. 나라를 잃어 본 한국인의 가슴을 울리는 글이었다.

▶스트라스부루크의 클레베르 광장을 중심으로 한 옛 시가지와 운하로 둘러싸여 있는 쁘띠 프랑스도 항상 관광객으로 붐비지만 붉은 돌로 축조된 노트르담 대성당은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아름답고 위엄 있는 성당이다. 붉은색 성당 옆에 자리잡고 있는 고색 창연한 알자스식 건물에는 1427년에 창업한 메종 캄머젤이라는 유서 깊은 식당이 자리잡고 있다. 스트라스부르크를 갈 때마다 들렀기에 종업원들과도 잘 아는 사이가 되었고 알자스의 전통요리인 절인 양배추에 소시지와 햄이 함께 나오는 슈크르트는 필자의 단골 메뉴였다.

▶스트라스부르크의 또 다른 매력은 성탄절을 전후해서 열리는 크리스마스 노천 시장이다. 클레베르 광장과 노트르담 대성당 사이에 펼쳐지는 시장에는 300여개가 넘는 크고 작은 임시상점에서 각종 선물과 알자스 특산품 그리고 먹거리가 성탄절 분위기와 어울려 국경 넘어 독일과 스위스 사람들까지 불러들인다. 거리를 환상적으로 만드는 각양각색의 조명은 크라스마스와 연말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매년 200만명 이상이 찾아온다.

▶그러나 2022년 유럽에서 가장 크고 오래되고 유명한 스트라스부르크의 크리스마스 시장은 어두움이 깔렸다. 프랑스 정부에서 향후 2년간 10%의 에너지를 절약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시당국도 야외 조명을 중단하고 실외에서의 보온 기구도 금지했기 때문이다. 어둠 속에서 진행되는 크리스마스 시장이지만 찾는 사람들은 꾸준하다. 유럽에서는 재래시장과 마찬가지로 크리스마스 시장도 시민들이 모여서 소통하며 이웃임을 확인하는 필수적인 터전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 신용석 언론인.<br>
▲ 신용석 언론인.

/신용석 언론인



관련기사
[신용석의 지구촌] 1071회 카타르 FIFA 월드컵의 명암(明暗) 호르스트 다슬러(1936~1987) 아디다스 회장을 처음 만났던 것은 1975년 동일의 비스바덴이었다. 1974년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 연맹 선수권 대회인 42회 세계사격대회(1978년 개최)를 유치한 직후 대회 조직위 부위원장 자격으로 세계사격연맹 본부가 있던 비스바덴에서 만난 다슬러 회장은 한국에서 규모가 큰 국제대회를 멕시코와 경쟁 끝에 유치에 성공한 것을 축하하면서 아디다스도 기꺼이 대회 협찬 회사로 함께하겠다고 했다.▶아디다스의 다슬러 회장은 당시 한국 사격연맹을 맡고 있던 박종규(전 청와대 경호실장) 회장과도 친밀한 관계 [신용석의 지구촌] 1070회 '황해문화 117호'와 인천의 자부심 '3·1 운동 후 변호사 홍진(洪震) 등이 주도해 1919년 4월2일 만국공원(자유공원)에서 13도 대표자들이 극비리에 모였다. 이날 대표자회의에서는 국민대회를 조직하고 임시정부를 세워 각국에 조선독립의 승인을 요구할 것 등을 결의했다. 이후 1919년 4월11일 상해 임시정부가 탄생하였으며 한성, 상해, 노령 세 정부가 1919년 9월 통합되었다' 인천 자유공원에 '한성임시정부 13도 대표자회의 집결지'라는 비명의 내용이다.▶1907년 선각자들이 뜻을 모아 세운 인천 최초의 공립학교인 창영초등학교에는 [신용석의 지구촌] 1069회 카타르 FIFA 월드컵의 감동 제15회 아시안게임은 2006년 12월1일 카타르의 도하에서 개막되었다. 당시 인천 아시안게임 유치위원장을 맡고 있던 필자는 유치위 임직원들과 함께 카타르에서 10여일간의 유치 활동을 벌였다. 아시안게임 개막과 함께 OCA(아시아 올림픽평의회) 총회도 열렸는데 수많은 IOC 위원들과 전세계 체육지도자들이 모인 자리여서 향후 국제대회 유치를 희망하는 인천을 위시하여 기라성 같은 도시들의 제안 설명이나 준비 과정 보고가 진행되었다.▶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 희망도시인 러시아의 소치,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 한국의 평창 등이 프레젠테 [신용석의 지구촌] 1068회 영원한 스승 이인수(李仁銖) 선생님 광복된지 3년 후가 되는 1948년 5월25일 미군 상륙작전 해군 군함(LST)편으로 중국 천진에서 동포들이 인천항에 도착했다. 광복 직후 어수선한 상황에서 수많은 일본인들은 물론 만주일대에서 거주하던 한국인들의 귀국까지 해군 선편을 제공했던 미국이라는 나라의 국력과 배려를 다시 한 번 회상하게 하는 대목이다. 미국 해군은 천진에서 인천까지 총 25차에 걸쳐 LST를 배정했는데 5차편으로 인천에 도착하여 월미도 수용소에 머물고 있던 귀향인 중에는 봉천에서 교직에 있던 이인수(1911~1990) 선생이 계셨다.▶당시 인천중학교 교장으 [신용석의 지구촌] 1067회 새로 단장한 프랑스 국립도서관 파리의 중심부 루브르 박물관과 오페라 극장 사이에 위치한 프랑스 국립도서관은 필자가 조선일보의 프랑스 특파원을 두 번 13년간 역임하면서 가장 많이 출입했던 곳일 것이다. 파리에 단독으로 근무하는 것은 젊은 언론인에게는 기회이자 도전이기도 했지만 하루 일정을 알차게 보내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이기도 했다. 헛되게 보내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오후 2~3시간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국립도서관에서 읽거나 쓰기를 결심한 것은 1969년 파리에 도착한 다음해 부터였다.▶선친(汗翁 愼兌範 박사)께서는 오후 시간을 도서관에서 지낸다는 것을 아신 [신용석의 지구촌] 1073회 NYT가 꼽은 2022년의 22대 사건 신문사 편집국에서 근무하고 있을 때 매년 연말이 되면 국내외 10대 뉴스를 선정하는 것이 과제였다. 필자가 조선일보사의 국제부장과 사회부장을 맡고 있던 1980년대는 국내외적으로 대형사건이 많았다. 국내적으로는 민주화를 위한 진통이, 국제적으로는 냉전 종식과 동구권 몰락이 주요 뉴스로 꼽히고 있었다. 매년 10대 뉴스를 선정하는 시각이나 안목도 대형사건 위주였던 것으로 기억된다.▶지난해 12월30일자 뉴욕타임스는 '2022년에 일어난 22가지의 획기적 사건들'이라는 제목으로 전면에 대형 특집을 꾸몄다. 2022년에 최 [신용석의 지구촌] 1074회 2023년에 기대되는 6가지 낙관론 영국의 세계적인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1889~1975)는 저서 <역사의 연구>를 통해 문명의 발전은 위기와 난관에 슬기롭게 대처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는 인류 역사가 계속 진보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과 응전의 과정에서 탄생·성장·붕괴·해체의 4단계 주기를 겪는다는 문명순환론을 주장했다. 그는 또 “역사적 성공의 절반은 죽을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되었고 역사적 실패의 절반은 찬란했던 시절에 대한 집착(환상)에서 비롯되었다”고 했다.▶한마디로 위기를 극복하면 발전이 온다는 문명순환론을 설파한 토인비의 주장이 [신용석의 지구촌] 1075회 유럽연합을 다시 기웃거리는 영국 미국과 소련의 냉전이 정점에 달했던 1960년대의 세계적인 뉴스 메이커는 프랑스의 드골 대통령이었다. 나토를 탈퇴하고 핵 보유국이 된 프랑스는 위대한 프랑스를 꿈꾸며 독자적인 외교·군사 정책을 펼쳐 나갔다. 1963년 독·불 우호협력조약을 통해 독일과 미래지향적 동반자 관계를 만들고 독일과 함께 유럽통합의 꿈을 실현해 나간 것도 드골이었다.▶당시 프랑스를 위시하여 서독, 이탈리아, 베네룩스 3국 총 6개국으로 1957년 출범한 유럽경제공동체(EEC)에 영국이 가입 신청을 했지만 프랑스의 거부권 행사로 좌절되었다. EEC 헌장은 신규 [신용석의 지구촌] 1076회 추모(追慕)와 보은(報恩)의 가치 파리에서 두 차례에 걸쳐 조선일보 특파원으로 근무할 때 간혹 공동묘지를 찾아보았다. 대부분의 공동묘지는 항상 깨끗하게 정돈되어 있었고 시내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어 산책하기도 좋을뿐더러 유족들이나 추모객들의 화분이나 꽃다발들로 아름다운 분위기였다. 파리의 대표적인 몽파르나스와 몽마르트르 공동묘지와 함께 가장 큰 규모의 페르라쉐즈 공동묘지에는 특히 저명인사들과 예술가들의 묘소가 많았다. 특히 쇼팽이나 에디트 피아프 같은 음악가들의 묘소에는 항상 각가지 생화들이 많이 놓여있어 수십년간 지속하는 꾸준한 추모 열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