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흥도선, 장보고선과 함께 고대 국제항로를 누비다

신안선 이래로 잇따라 난파선 발굴
인천 앞바다서 '8세기경 선박' 발견

대양 오가기 좋은 첨저선 초기 형태
서남해안 특산품 황칠 운반 중 침몰

 


 

▲ 장보고선의 재현물. 배의 밑바닥이 물살을 가르며 대양을 항해하기 좋은 첨저선 형태를 하고 있다. 섬업벌에서 발굴된 영흥도선은 이러한 첨저선의 초기 형태인 준첨저선의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 장보고선의 재현물. 배의 밑바닥이 물살을 가르며 대양을 항해하기 좋은 첨저선 형태를 하고 있다. 섬업벌에서 발굴된 영흥도선은 이러한 첨저선의 초기 형태인 준첨저선의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한국의 바다에서는 모두 14척의 고대 선박이 발견됐다. 대부분 고려 시대 선박이지만 인천 영흥도에서 발견된 영흥도선은 통일 신라 시대 선박으로 밝혀져 관심을 받고 있다. 아직 인천 영종도와 강화도 지역에서는 바닷속 고대 선박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마지막 남은 보물선을 품은 곳이 바로 인천 앞바다인 셈이다.

고려 시대에는 조운(漕運)이 발달하였다. 모든 조세를 현물로 거뒀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조세는 곡창지대인 삼남지방에서 개경의 경창으로 운반되는데, 이때의 뱃길은 서해 연안을 따라 올라오는 길이었다. 하지만 연안 항해도 안전하지만은 않았다. 도처에 암초가 있고 조류의 변화에 따라 물살이 험악한 곳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진도의 울돌목, 태안반도의 안흥량, 강화의 손돌목은 악명이 높았다. '배들의 무덤'으로 불린 이곳은 모든 조운선이 지나가야 하는 길목이어서 피해갈 수도 없었다. 아무리 노련한 어부들이라도 이곳을 지날 때는 언제나 긴장하기 마련이고 때로는 파도에 휩쓸려 난파되어 목숨을 잃기도 하였다.

▲ 1. 목포 국립해양유물전시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 중인 신안선을 보고 있다.
▲ 목포 국립해양유물전시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 중인 신안선을 보고 있다.

1970년대 어부들의 그물에 하나둘 걸려 올라온 청자는 해저유물 발굴시대를 여는 기폭제가 되었다. 1976년 신안의 증도 앞바다에서 발굴된 신안선을 시작으로 진도, 십이동파도, 안좌도, 마도 등 서해 연안을 따라 10여척의 난파선이 발굴되었다. 이들 선박은 신안선을 제외하고 대부분 고려 시대의 선박으로 밝혀졌는데 바로 조세와 청자 등의 기물을 운반하다 난파된 배들이었다.

신안선은 발굴 당시부터 세계적인 관심사였다. 신안선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한·중·일의 항로를 운항하던 국제무역선이었다는 가설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즉, 중국 남부에서 출발해 한반도 강진 일대에서 중간 기착하여 고려청자를 싣고 일본으로 향하던 국제무역선이라는 설명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김병근 학술연구관도 “이제는 기존 학설에서 벗어나 한·중·일을 잇는 국제무역선으로서의 신안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2. 십이동파도선과 함께 발굴된 수많은 고려 시대 도자기들.
▲ 십이동파도선과 함께 발굴된 수많은 고려 시대 도자기들.

태안반도 지역에서 발굴된 난파선에서는 2만여 점의 청자가 발굴되었다. 태안반도 일대에서 많은 수중문화재가 발굴된 특별한 이유는 무엇일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진호신 연구관은 “이곳 태안의 마도 일대는 고려와 조선의 중요한 조운로였기에 고대 선박과 수만 점의 수중유물이 쏟아져 나온 곳”이라고 설명했다. 기물들은 곡물과는 달리 갯벌 속에서 그 형태가 잘 보존될 수 있었기 때문에 수많은 청자가 발굴될 수 있었던 것이다. 수중 발굴된 유물 중에는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도 상당수 있다. 그중에서도 뛰어난 5점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인천 앞바다에서도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영흥도선에 대한 수중발굴 작업이 진행됐다. 영흥도선은 발굴 결과 8세기 통일 신라 시대의 배로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40여 년의 수중발굴사상 가장 오래된 시기의 배인 것이다. 영흥도선이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배의 형태가 특이함에 있다. 이제까지 발굴된 배들은 국제무역선인 신안선을 제외한 나머지 배들 모두 선박의 바닥이 평평한 모양을 한 평저선(平底船)이다. 연안의 얕은 곳을 운행하기에 편리하게 만든 것이다. 신안선은 밑바닥이 뾰족한 첨저선(尖低船)인데 이는 대양을 오가며 국제무역을 하는데 안전성과 편리함을 도모한 것이다. 그런데 영흥도선은 이러한 평저선과 첨저선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다.

▲ 3.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보관돼 있는 인천 영흥도선 선체의 일부.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보관돼 있는 인천 영흥도선 선체의 일부.

인류는 고대로부터 배를 만들어 사용했다. 배의 운항은 강과 바다의 연안에서부터 차츰 먼 바다로 나아갔다. 인류는 단계마다 효율적이고 필요한 배를 만들었다. 이때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이 배의 바닥이었다. 배를 운항하는 지형의 형태에 따라 배의 모습도 다르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안전하기 때문이다.

백제는 삼국 시대에 가장 해양을 중시한 국가다. 백제라는 국명이 '백가제해(百家濟海)'에서 비롯되었듯이 황해를 주도한 해양국가다. 따라서 삼국 중 먼저 황해연안항로를 장악하고 번영을 누릴 수 있었다. 백제 선박은 기록으로 남아있지 않아서 알기 어렵지만 통일 신라 시대로 이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백제와 고구려의 조선술과 항해술을 더욱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장보고가 해상왕국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장보고는 청해진 대사가 된 후, 황해와 동중국해의 제해권을 장악하고 한·중·일을 잇는 해상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해상왕국을 운영하려면 선박과 항해에서도 선진적인 기술을 갖춰야만 가능하다. 일본의 승려 엔닌도 장보고의 은혜를 입어 무사히 고국으로 돌아왔다고 하였다. 장보고가 동아시아 네트워크를 운영한 선단의 배들은 어떤 형태였을까.

'(840년) 대재부(大宰府)에서 말하기를 “대마도 장관이 먼바다의 일은 바람과 파도가 위험하고 연중 바치는 조물과 네 번 올리는 공문은 자주 표류하거나 바다에 빠진다”고 이릅니다. 전해 듣건대 신라선은 능히 파도를 헤치고 갈 수 있다고 하니, 바라건대 신라선 6척 중에서 1척을 나누어 주십시오.' <속 일본서기>

▲ 완도선 모습.
▲ 완도선 모습.

장보고 선단의 배는 대양을 항해하기 좋은 첨저선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영흥도선은 장보고가 활약하던 시기인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된 것이다. 영흥도선의 형태는 첨저선으로 발달하는 초창기로 준첨저선에 해당하는데, 장보고 선단은 바로 이러한 선단으로 황해를 오가며 해상왕국을 건설하였던 것이다. 영흥도선이 국제무역선일 가능성이 높은 것은 배에서 발견된 유물에서도 알 수 있다. 유물 중에는 황칠이 있었는데, 이는 한반도 서남해안 완도, 보길도 등지에서만 자생하는 황칠나무에서 채취한 도료이다. 황칠은 황금빛을 띠며 내구성이 뛰어난 최고의 도료로 널리 알려졌는데, 고대 중국에서는 황제의 갑옷에 사용되던 귀한 교역품이다. 영흥도선은 배의 형태뿐 아니라 선적된 물품에서도 국제무역선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흥도선의 발견은 고대 인천 앞바다의 국제항로를 연구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영흥도선이 발견된 지점은 자월도와 영흥도의 사이다. 이 해역은 서긍의 사절단이 지나간 항로이기도 하다. 또한 부근의 이작도 앞바다에서도 많은 유물이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비춰볼 때, 덕적도와 이작도 사이를 지나 자월도와 영종도 사이를 거쳐 가는 항로가 고대로부터 국제항로로 이용되었을 알 수 있다.

 


 

고려도경에 묘사된 고려선박

사신 접대·순찰용 선박…서긍, 상세한 기록 남겨

▲ '황비창천명동경'에 묘사된 고려 시대 선박의 모습.
▲ '황비창천명동경'에 묘사된 고려 시대 선박의 모습.

서긍의 송나라 사신단은 당시로써는 가장 큰 선박인 신주(神舟)를 새로이 건조해 고려를 방문했다. 신주를 앞세워 고려에 위엄을 보이기 위함이다.

서긍은 흑산도부터 벽란도까지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올라오면서 고려의 선박에 대해서도 고려도경에 자세히 기록했다. 그가 기록한 고려의 선박은 송방과 막선, 관선, 순선 등 모두 4척으로 주로 사신 접대와 순찰을 위한 선박들이다. 고려의 국제항구인 벽란도에 수많은 국제무역선과 거대한 군선이 있었음에도 전혀 기록에 담지 않았다.

먼저 송의 사신단을 맞이하기 위해 군산도까지 내려온 김부식 일행이 타온 배가 송방(松舫)이다. 서긍의 표현에 따르면 배의 앞뒤가 직선으로 생겼다고 했다. 이는 선수와 선미가 뾰족하지 않고 사각형 모양의 뭉툭한 모습을 한 전통적인 한선의 모습을 묘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갑판 가운데에 지붕이 있는 선실 다섯 칸이 있는데 이중 외부로 트여 있는 선실 두 칸에는 비단 보료가 깔려있는데 가장 화려하다고 표현했다. 아마 이곳이 사신단을 접대하는 장소로 보인다.

사신단을 맞이하러 나온 고려의 김부식을 비롯한 고급 관료인 정사와 부사, 상절(上節)만이 탔다고 기록했다. 한마디로 사신을 영접하기 위해 마련된 전용선인 것이다.

막선(幕船)도 송방과 마찬가지로 사신영접용 선박으로 중간 관리인 중하절(中下節)을 태웠다 기록되어 있다.

막선이란 막(幕)을 둘러친 배를 일컫는데, 푸른 포(布)로 지붕을 삼고 아래는 장대로 기둥을 대신하고 네 귀퉁이는 각각 채색 끈으로 매었다고 했는데 이는 고려선의 특징인 가룡과 멍에(횡방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선박 양측 외판을 통나무로 연결하는 방식)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일반 관료들이 타고 온 배는 관선(官船)이라 불렀는데 고려와 조선까지 사용하던 대표적인 한국의 전통선박 모습과 일치했다.

고려도경에는 관선에 대해 선박 갑판 위에 지붕과 문이 있는 선실이 있고 뱃전 주위로는 선원들의 안전을 위해 난간을 둘렀다고 기록했다. 또 선박 양쪽 외판을 나무로 서로 꿰뚫어 고정했는데 이는 한선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멍에(선박 양측을 횡으로 고정한 목재)를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멍에를 배 밖으로까지 연장해 그 위에 시렁을 얹으면 배의 상판이 저판보다 넓어지는데 이는 전형적인 한선의 특징이기도 하다.

특히 중국 선박에서 주로 사용하는 격벽(선체의 내부를 몇 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간막이벽) 대신 선체의 좌우 외판을 통나무로 연결해 횡방향 강도를 높이는 한선 고유의 방식인 가룡(목)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이 밖에도 이물(선수)에는 호롱(돛을 끌어올리는 둥근 장치)이 있고 뱃집 위에는 돛대를 세워 포로 돛 20폭을 드리웠다고 묘사했다.

마지막으로 수군이 해상 순찰을 돌 때 사용하던 순선(巡船)은 문헌에 의하면 돛대가 하나고 배 위에 선실이 없으며, 노와 치가 있는 것으로 묘사됐다. 따라서 순선은 가까운 바다만 운행하던 순찰선으로 보인다.

 

/인천일보 신고려도경 특별취재팀

남창섭 기자 csnam@incheonilbo.com

이재민 기자 leejm@incheonilbo.com

허우범 교수 appolo21@hanmail.net

신춘호 박사 docu8888@daum.net

설재욱 대표 media_29@naver.com

※ 이 기사는 2022년도 인천광역시 지역언론지원사업으로 시행한 것입니다.



관련기사
[新고려도경] 7. 천하제일 고려청자, 세계를 열광시킨 예술품이었다 인류가 처음 만든 토기는 약해서 부서지기 일쑤였다. 오랜 시대를 거치며 토기는 고온에서 구워야만 튼튼해진다는 것을 알았다. 기술과 문명이 발전하자 문화수준을 반영한 자기(瓷器)가 탄생하였다. 자기는 푸른색의 유약을 바른 청자로 발전한다. 청자의 인기는 나날이 높아졌지만 공급은 한정적이었다. 청자의 수급이 원활해졌다고 생각되면 새로운 기술의 청자들이 등장하였다. 향로와 베개는 물론 피리와 장고에 이르기까지 청자의 변신은 끝이 없었다. 청자는 생활도구를 넘어 다방면에서 문화를 향유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된 것이다. 청자의 인기 [新고려도경] 6. 고려 시대로 떠나는 72시간의 항해…900년 전 뱃길 가다 지난 6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학계와 관계기관의 전문가들과 함께 900여 년 전 고려를 방문한 송나라 사신 서긍(徐兢, 1091~1153년)의 국내 해상 항로를 탐사했다.신고려도경 특별취재팀도 탐사단 여정을 동행 취재했다. 서긍이 1123년에 고려를 견문하고 이듬해 편찬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이하, 고려도경)의 국내 항로를 규명하는 것이 이번 탐사의 주요 목적이다. 6월20일부터 23일까지 약 2박 3일간 이어진 탐사에는 전통 한선의 원형을 복원한 조선통신사선이 탐사선으로 활용되었다. 중국 사신 [新고려도경] 5. 송 사절단이 오간 인천 앞바다 항로를 추적하다 900년 전, 고려와 송은 황해를 오가며 친밀한 통교를 하였다. 송은 고려와의 동맹을 추진하기 위하여 특별히 '신주(神舟)'라는 거대한 배까지 만들어가며 고려에 사절단을 보냈다. 인원도 700명에 달하는 대규모였다. 송의 사절단은 닝보를 출발한 지 5일 만에 황해를 건너 고려의 영해로 들어왔다.고려는 송의 사절단을 환영하고 연안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그 시작이 흑산도였다. 지금도 흑산도 산마루에는 봉화를 올린 터가 남아 있다. 이곳에서 시작된 봉홧불은 섬과 해안가에 설치된 봉화대와 차례로 호응하며 [新고려도경] 4. 영종도의 경원정과 제물사는 어디에 있었나 12세기 고려와 송이 황해를 오가며 통교를 한 바닷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는 개성의 벽란도를 출발하여 예성강을 타고 강화도 앞바다로 나온 후, 고려의 연안을 따라 흑산도까지 가는 항로이고. 둘째는 흑산도에서 황해를 서남쪽으로 비스듬히 비껴서 저장성(浙江省)의 닝보(寧波)에 이르는 항로다. 마지막은 닝보에서 경항대운하를 이용하여 송의 수도인 카이펑(開封)에 도착하는 항로다. 고려와 송이 왕래한 항로는 강과 바다를 이용하였는데 근세 시대까지는 수로가 육로보다 훨씬 빠르고 경제적인 길이었다.송의 사신으로 고려를 다녀간 서긍은 [新고려도경] 3. 하늘길로 뻗은 한·중 교류의 중심 '인천국제공항' 2019년 3월15일 한국과 중국이 5년여 만에 항공회담 테이블에서 마주앉았다. 중국 난징(南京)에서 열린 회담을 통해 양국은 운수권을 늘리는 데 합의했다. 높은 수요에도 기존 항공협정 체계에 묶였던 노선도 개설됐다. 인천발 4개 노선의 목적지에는 닝보(寧波)도 들어 있었다.닝보는 일찍이 바닷길로 인천과 이어진 도시였다. 900년 전 황해를 오가며 <고려도경>을 남긴 송나라 관리 서긍과 사신단이 바닷길에 오른 곳이 명주(明州), 지금의 닝보다. 사신단 일행은 고려의 국제 무역항이었던 벽란도에 당도하기 사흘 전, 어떤 섬에 머문다. [新고려도경] 2. 한·중 최초 교류의 물꼬를 튼 대중국 최대 무역항 '인천항' 지난 30년은 '격변의 시간'이었다. 1992년 한·중 수교로 '냉전'이라는 장막이 걷힌 황해는 다시 교류의 바다가 됐고, 양국은 경제 대국으로 부상했다. 코로나19를 비롯한 숱한 위기에도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으로 열린 개방의 문은 한·중 관계의 버팀목이었다. 수교 이전에 카페리 항로를 통해 민간 교류를 시작한 곳도, 시간을 거슬러 황해 물길로 한·중 관계를 이어온 곳도 인천이었다. 천 년의 바닷길은 하늘길로 뻗었고, 동아시아는 새로운 역사를 썼다. 1990년 9월15일 오후 4시 인천항 1부두에서 &# [新고려도경] 1. 프롤로그, 韓中 천 년의 바닷길을 잇다 2022년은 한·중 수교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지난 30년 동안 한국과 중국은 폭발적인 인적·물적 교류를 이뤄왔다. 수교 초기 17여만명이었던 중국인의 방문은 800여만명에 이르렀고, 매년 급증하는 교역은 수교 전에 비해 약 40배에 이른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 되었고, 중국 또한 한국이 4위의 수출국이 되었다. 양국은 지난 30년 동안 상호협력을 바탕으로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여 온 것이다.시대는 언제나 급변한다. 현시대의 동아시아는 지구촌의 중심과도 같다. 이곳에서의 움직임과 방향에 따라 5대양 6대주가 발전하거나 퇴 [新고려도경] 10. 에필로그-천년 전 고려의 외교정책이 코리아를 전세계에 알렸다 천여 년 전 동아시아는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高麗),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이 세운 요(遼), 5대 10국을 마감한 송(宋)이 정족지세(鼎足之勢)를 이루고 있었다.고려와 요는 압록강 일대를 경계로 국경을 접하고 있어서 항상 전쟁의 위험이 상존하였다. 고려는 '다물' 정신으로 고구려의 옛 영토를 회복하고자 하였지만, 요의 장수인 소손녕이 현재의 중국 랴오닝성 요양을 차지하고 고려에 항복하라고 엄포를 놓았다. 그러자 고려의 장수 서희가 소손녕을 만나 “압록강 안팎 또한 우리 땅”이라는 논리를 펴가며 외교적으로 담판을 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