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는 올해 2대와 3대가 배턴을 이었다. 6·4 지방선거에서 원내에 진출한 29명으로 지난 7월9일 원구성을 해 3대 의회가 출범했다.

 출범 6개월을 맞은 3대 의회에 대한 의회 안팎의 평가는 긍정적이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눈에 띄긴 하지만 2대 의회와 비교해 초·재선 의원들이 보조를 맞춰가며 집행부의 감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는 평가이다.

 시의회는 올들어 10회 85일간의 임시회를 열었으며 현재 정기회를 개회중이다. 3대 의회는 5회 45일간의 임시회를 열었으며 지난달 20일부터 오는 24일까지 회기 35일간의 정기회를 보내면 올해를 마감한다.

 시의회는 올 연말까지 180여건의 의안을 처리할 예정이다. 올들어 지난달 열린 67회 임시회까지 172건의 의안이 접수돼 160건을 처리했으나 현재 개회중인 정기회에서 오는 24일 시에서 상정한 20여건의 의안을 처리할 예정이다. 올들어 접수된 172건의 의안 중 2대의회에 81건이 접수 처리됐으며 3대의회에는 91건이 접수돼 79건이 처리됐다.

 67회 임시회까지 청원은 17건이 접수돼 이중 12건이 처리됐다. 의견서 채택 3건, 본회의 미부의 의결 8건, 불수리 1건, 심사보류 4건, 임기만료폐기 1건 등이다.

 진정도 70건이 접수돼 65건이 처리됐다. 처리내역은 달성 20건, 미달성 27건, 검토 18건, 처리중 5건 등이다.

 3대 의회 활동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행정사무감사, 내무위원회 재정진단소위원회, 97회계년도 결산검사 등이다.

 지난달 21일부터 30일까지 시 본청과 산하 66개 사업소 등을 상대로 지난 1년간의 행정 전반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집행부 감시자로서의 시의회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을 들었다. 행정사무감사에서 의원들은 초·재선이 호흡을 맞춰가며 집행부의 문제점을 상당 부분 파고들어 2대 의회보다 진일보 했다는 평가와 함께 앞으로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의정활동의 가능성을 열었다.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상임위는 시 집행부에 대해 100여건의 시정요구, 130여건의 처리요구, 40여건의 건의사항을 지적했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의 부지변경에 따른 예산낭비, 인천도시관광의 부실경영과 무허가 건물실태, 지하철 인턴사원제와 사업비의 잦은 변경, 공무원들의 직무태만에서 비롯된 기형적인 도로구조, 무계획적인 구획정리사업과 택지개발 등에 대해 경종을 울렸다.

 3대의회 의정활동 중 가장 돋보이는 부분은 내무위원회의 재정진단소위원회 활동상이다. 지난 6·4지방선거에서 시장 후보간의 논쟁에서 촉발돼 국정감사 등에서도 계속 거론돼온 인천시 부채와 재정의 불건전 운영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으로 문제점을 명확하게 도출했다는 평가이다.

 지난 9월 초부터 3개월간 활동을 벌인 재정진단소위원회에는 시의원들과 함께 지방행정 전문가와 회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타시도보다 뒤진 인천시의 재정운영 효율성 문제점 등을 지적해냈다.

 특히 그동안 문제제기에만 그친 관행에서 벗어나 대안까지 제시했다는 평이다. 시에서 추진한 구조조정의 효과가 의문시된다고 지적하고 보다 공격적인 조직 감축을 요구했는가 하면 불요불급한 특별회계의 일반회계 통합관리 등을 지적, 집행부로부터도 호평을 끌어냈다. 또 시민의 재정부담을 수반하는 기채발행시 실질적인 부채상환계획을 첨부토록 지적한 것도 집행부의 부채관리에 경종을 울렸다는 평이다.

 이와 함께 소위원회의 보고서는 시의원들이나 시민들에게도 시 재정운영의 문제점과 부채문제의 심각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기도 했다.

 지난 8월 초부터 9월 초까지 진행된 97회계년도 결산검사도 시의회의 활약으로 짚어줄 대목이다. 결산검사위원회는 지방채 자금관리의 효율성 제고, 채권·채무 계상의 체계적 관리미흡, 청사 부지 변경에 따른 예산 낭비, 공사하자 관리소홀, 계산지구의 중복투자와 불량시공, 기금운용의 문제점, 단동산업단지 조성 문제점 등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했다.

 시의회는 이외에도 세미나 등을 마련해 의원들에게 의정 실무교육을 시키는 한편 일본 기타큐슈시와 오이타시의회 등을 방문, 대외 협력 강화에도 노력을 기울여 왔다.

 강부일 인천시의회 의장은 99년 의정활동 중점 목표를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 ▲효율적인 예산운영 감시 ▲시의 적절한 부채 관리 감시 ▲시민 고충 최소화 등이라고 밝혔다.

wang27@incho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