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항 현대화사업…관광시설 확충에만 초점
▲ 인천 강화군 후포항이 '2019년도 어촌 뉴딜 300' 사업에 재생기반형 사업지로 선정 돼 밴댕이 마을 조성사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인천 강화군 후포항과 옹진군 답동항 등 6개 어항이 새롭게 태어난다. 이들 어항은 해양수산부의 '어촌뉴딜 300'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320여억원의 국비를 확보해 낙후된 선착장 등 어촌의 필수기반 시설을 현대화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수산자원 확보 및 지역 주민 정주 여건 개선보다 관광시설 확충 등에 비중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어촌뉴딜 300 사업은 도서민 시각에서 지역주민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 어촌·어항의 자립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어촌뉴딜 지역협의체 구성 … 사업 본격화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해수부의 어촌뉴딜 300 사업 선정 후속 조치로 내년 초 선정된 항마다 어촌뉴딜 지역협의체를 구성한다. 내실있게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주민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해 세부 사업명을 논의하는 등 자문 및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어촌뉴딜 300은 해양판 도시재생 사업으로 전국 300여개 어촌·어항을 현대화해 어촌의 성장을 이끌고, 지역경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추진된다. 앞서 해수부는 어촌뉴딜 300 사업 대상지로 중구 소무의항, 강화군 후포항, 옹진군 야달항, 답동항, 대이작항 등 총 6개항을 선정했다.

시는 △중구 소무의항은 '아름다운 어촌만들기 사업' △옹진군 야달항은 '무인도 체험관광개발' △답동항은 '자연생태 탐조관광개발' △대이작항은 '마리나 해양레저 관광개발' △강화군 후포항은 '밴댕이마을 조성 사업' 등을 추진할 구상이다. 사업비는 총 456억원으로 국비가 70%, 나머지 30%는 지자체가 부담한다.

▲정주 여건 개선에도 힘써야

그러나 어촌뉴딜 300 사업 대부분은 어항기반시설 정비 등으로 해양쓰레기 수거와 같이 수산 자원 확보나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노력은 찾아볼 수 없다. 주로 어촌 주민들을 관광 사업으로 내몰고 있다.

시는 야달항을 어항기반 시설 확충과 함께 무인도 체험을 위한 캠핑 및 체험장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 답동항에 트래킹구간 보도 조성 및 조명시설 설치하고, 포토존과 별빛 맞이 관측대도 조성한다. 외형복원이나 관광 등 시설물 설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어촌뉴딜 300 사업의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기 앞서 인천에서 이미 국비로 국가어항 개발이 이뤄졌지만 주민 생활 환경을 저해한 사례도 주목해야 한다. 옹진군 울도항이 그 사례다.

울도항은 피난항 기능에 맞춰 국가어항 개발이 진행된 반면 주민들의 생활권 보장을 외면한 채 설계되면서 외지인이 폐그물 등 각종 쓰레기를 버리고 가버리는 일이 많아 주민들은 오히려 주거 환경이 악화됐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허선규 인천해양도서연구소장은 "섬 정책을 시행할 때 육지사람 입장에서 섬은 시각적으로 좋은 모습이 돼야 한다는 단순한 생각으로 관광 활성화 계획이 수립됐다"며 "어촌뉴딜 300이 성공하려면 도서민의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



관련기사
[월요기획] '어촌뉴딜 300'의 명암-'콘크리트 칠'만으론 삶 나아지지 않는다 해양수산부의 어촌뉴딜 300 공모사업 선정에 따라 인천지역 어항에서 이뤄지는 사업 대부분은 어항기반시설 정비 등 토목형 사업에 치중돼 있다. 어촌뉴딜 300 사업이 실제 지역 주민들 삶의 도움이 되려면 도서민의 시각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하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23일 인천시의 어촌뉴딜 300 사업계획도를 보면 어항마다 각 유형에 따른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관련 표>사업 면면을 살펴보면 토목 사업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먼저 강화군 후포항은 재생기반형으로 밴댕이마을을 조성한다는 게 시의 계획이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