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시장 외 지역 여당 인사 '서울 편입론' 소신 발언 없어
'지역 행복 생활권 사업' 성과 미흡…인근 지자체 통합론 폐지
▲ 지난 10일 인천 서구 유현사거리 모습. 인천과 김포 경계를 나누는 이 도로 김포 쪽엔 더불어민주당 김포시당의 서울시 편입 관련 현수막이, 서구 쪽에는 서울 접근성을 홍보하는 청약 안내 현수막이 각각 경계 도시를 보고 서 있었다. 서구와 김포 경계에는 서로의 얘기보다 멀리 있는 서울 존재감이 더 컸다./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 지난 10일 인천 서구 유현사거리 모습. 인천과 김포 경계를 나누는 이 도로 김포 쪽엔 더불어민주당 김포시당의 서울시 편입 관련 현수막이, 서구 쪽에는 서울 접근성을 홍보하는 청약 안내 현수막이 각각 경계 도시를 보고 서 있었다. 서구와 김포 경계에는 서로의 얘기보다 멀리 있는 서울 존재감이 더 컸다./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인천은 서쪽으로는 바다, 북쪽으로는 김포와 서울 일부, 동쪽으로는 부천, 남쪽으로는 시흥과 맞닿아 있다.

과거에 경기지역과의 경계에는 논과 밭, 산, 갯벌이 주를 이뤘는데 최근 들어 가속화된 도시 외곽 팽창으로 검단신도시, 삼산지구, 소래논현지구, 서창지구, 송도국제도시 등이 건설됐다. 인천시민과 경기도민들이 도로 하나 정도를 거리에 두고 한 생활권으로 묶여 지내게 된 것이다.

검단신도시 계획인구 18만명, 삼산지구 위치한 삼산동에 6만명, 소래논현지구 있는 논현동 6만명, 서창동 5만명, 송도국제도시 계획인구 22만명까지 인천 전체 인구에서 20%에 가까운 시민들이 경기와의 경계권에서 생활하게 됐다.

문제는 인천과 경기를 나누는 경계 인접 지역에서 서울 존재감을 지울 수 없다 보니 인천과 경기 간 협업, 상생보다는 '수도 바라기'에 골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천과 경기 경계 인구 100만여명. 생활권 접근 고민해야

검단신도시에 어느 정도 입주가 마무리되고 김포 풍무역세권도시개발사업도 궤도에 오르면 인천과 경기 북쪽 경계 축인 이 일대에 인구가 급증할 전망이다. 검단신도시와 풍무역개발사업은 직선거리로 2㎞ 남짓. 중간에 풍무동 아파트 단지들이 브리지로 역할을 할 경우 인천과 김포 경계인 이 동네에 20만 이상 인구가 한 생활권을 이루게 된다. 검단신도시 계획인구 18만명, 풍무역개발사업 계획 인구만 2만여명에 이른다. 한창 논란이 되고 있는 김포시의 서울 편입 추진과 달리 인천과 스킨십이 확대된다.

현재 추진 중인 인천 계양테크노벨리와 부천 대장공공주택지구도 예상대로 사업이 완료된다면 삼산동과 상동에 이어 부천과의 밀접도를 높이는 베드타운 벨트로 자리할 가능성이 크다. 원래 논들로 이뤄진 땅들이라 인구 밀집도가 현저하게 낮았던 때와는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송도국제도시에서도 배곧신도시를 잇는 배곧대교가 현실화하면 인천과 시흥 거리감이 확연하게 줄어든다.

 

▲생활권 고민은 예전에도. 결과물은 미흡

국민의힘이 당론으로 밀고 있는 '서울 편입' 논란에서 같은 당 소속 유정복 인천시장은 “실현 가능성 없는 정치쇼” 등의 소신 발언을 할 정도로 인천은 서울 편입과 관련해 이해당사자 위치에 있지만 정작 이렇다 할 목소리를 내지는 못하는 처지다.

유정복 시장 발언 이후에 인천 지역구 국회의원이나 시의회에서 힘을 보태는 분위기가 아니다. 특히 여당 소속 의원들은 중앙 눈치에 몸을 사린다.

수도가 지닌 힘 때문에 벌어진 서울 편입 논란이 인천과 경기 사이 벽을 더 키우긴 했어도 예전부터 인천은 시·도 경계를 넘는 생활 밀접형 행정에 대한 고민을 해왔다.

9년 전인 2014년 인천시가 김포, 부천, 시흥 등 경계 도시와 연계성 있는 사업을 발굴해 공동 시행하는 '지역 행복 생활권 사업'을 추진한 게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실제로 인천, 부천 사이 택시 할증요금 폐지, 인천 시립 승화원 요금체계 개선 등이 논의됐으나 성과는 미흡했다.

송영길 전 인천시장은 재임 시절 김포, 부천, 시흥의 인천 통합론도 제시했으나 주변 도시들 관심을 끄는 데 실패해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도 했다.

인천 한 지자체 관계자는 “단체장 모임 등이 인천 내에서만 이뤄지다 보니 바로 옆 경기지역 지자체장이나 실무자들과 만나 공동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는 자리가 별로 없다. 행정적인 경계가 크기 때문에 주민에게 시급한 생활권 발전 논의가 더딘 것”이라고 전했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관련기사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1) '베드벨트' 연결된 인천·경기, 생활권도 하나로 지난 수십년 넘게 인천은 땅 외곽에 대규모 주택단지들을 지으면서 도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기존 원도심에 살고 있는 원주민을 설득해 보상비를 주는 개발 방식보다는 논이나 밭이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해제하거나 갯벌을 메워 아파트를 건설하는 편이 품도 덜 들고 금전적으로도 훨씬 수월했기 때문이다. 한정된 토지에서 도시를 개발해야 하는 서울과는 사정이 달랐다.외곽 신도시를 앞세운 인천의 확장성은 주변 김포, 부천, 시흥 등 살을 맞댄 경기지역 도시와 밀접한 연관을 맺게 했다. 도로 하나를 행정 경계로 두고 '베드타운'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2) 경계 허무는 경제 공동체…산단 벨트 거대화 “정치쇼”, “사기극”이라 맹비난받는 서울 편입론을 국민의힘이 내년 4월 총선까지 이슈화할 각오로 밀어붙이는 와중에도 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 3자 간 대화 채널은 점차 매무새를 갖추고 있다.지난 16일 유정복 인천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오세훈 서울시장은 다섯 번째 회동을 통해 수도권 대체 매립지 재공모에 뜻을 모으고, 아라뱃길 활성화를 함께 도모하고, 9호선을 공항철도에 잇기로 하는 등 공동 생활권으로 묶인 수도권의 발전을 위한 약속들을 쏟아냈다. 다음 만남 일정도 반년 후, 석 달 후 이러던 게 “당장 다음 달이나 그다음 달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2) 성공한 협치 실패한 정치…끝 모르는 평행선 수도권 3자 협의 테이블에 앉았던 인천·서울·경기 지지체장들이 '협치'에는 성공했지만 '정치'는 실패했다.수도권 행정 현안의 실마리는 풀었지만 여당의 총선용 승부수 '경기 김포 서울 편입' 정치 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골은 더 깊어졌기 때문이다.1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수도권 3개 시·도 단체장은 지난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3자 협의를 진행했다.세 단체장은 교통과 쓰레기 매립지 등 행정적 이슈에선 그간 막혀 있던 논의의 혈을 뚫으며 협치에 성공했다.특히 인천·서울시장은 3자 협의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3) '인천형 메가 시티' 삶을 연결하자 (끝) '메가 시티'가 내년 총선을 5개월 앞두고 수도권을 강타한 최대 이슈로 떠올랐지만, 선뜻 환영할 수만은 없다. 수도권의 정치·경제·사회적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계를 허물어야 한다는 공통된 인식 때문이다.인천일보는 기획 <메가 시티 1편> “'베드벨트' 연결된 인천·경기, 생활권도 하나로”, <메가 시티 2편> “성공한 협치 실패한 정치, 경계 허무는 경제 공동체”를 통해 행정보다는 생활과 경계로 '메가 시티'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메가 시티 3편>은 '삶'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3) 관문 넘어 수도권 중심…생활권 잇는 전략 세운다 (끝) 도시는 살아 있다.사람이 흥한 도시는 활력이 넘치고, 사람이 멸한 곳은 뒤안길로 사라진다. 그렇기에 도시의 영속성은 끊임없는 자기 분열과 결합을 통해 이뤄진다. 바다에 면한 인천은 한반도 중심 요충지다. 그간 인천은 서울의 위성도시에 머무르며, 중심이 아닌 주변부로 인식됐다.인천이 주목받고 있다.관문도시 '인천'을 넘어 수도권 중심으로 성장하기 위한 메가 전략이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30년의 시도. '이번엔'대도시권(Mega City Region,MCR)의 정의는 명쾌하다. '국제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