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으로 열악하나 실태 조사부터 '미흡'
"시, 맞춤 지원해야" 지적

 

인천지역에서 급격히 늘고 있는 1인 가구가 경제적 취약성 탓에 열악한 환경에 놓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취약가구 맞춤형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22일 인천여성가족재단이 개최한 '2018 인천여성가족포럼'에선 1인 가구의 증가는 사회·환경적 요인에 따른 현상으로, 경제적 취약성에 노출되기 쉽다는 점에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인천연구원에 따르면 인천 총가구 대비 1인 가구 구성비는 2015년 23.3%에서 2045년 34.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에 대비한 실태 조사와 정책은 미흡해 경제 위기와 결혼 포기, 가족 해체, 고독사 등 여러 사회 문제를 야기·심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영정 서울여성가족재단 가족정책실 연구위원은 "남녀의 현저한 평균 수명 차이에 따라 배우자와 사별로 형성된 노년 1인 가구, 취업난과 저임금·비정규직 문제로 인한 청년 1인 가구 등 1인 가구는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실업 등으로 경제력을 상실할 경우 보완해줄 다른 가구 구성원이 없어 타격이 크다. 경제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실제 양수진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원이 발표한 올 7~8월 인천시민 20~80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1인 가구 생활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중·노년층은 경제적으로, 청년층은 주거 측면에서 열악한 환경에 놓였다.

경제 상태의 경우 청년층과 중년층 중 직장이 있는 비율이 80~90%인 반면 노년층은 남녀 각각 50%, 36.3%로 눈에 띄게 낮았다. 노년층 월 평균 생활비는 50만~100만원이었다. 주거에 있어서는 청년층이 오피스텔과 고시원·원룸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은 등 열악한 상황이었다. 연령대마다 다양한 형태의 취약 환경에 놓여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런 이유로 1인 가구의 부담은 크지만 기존 가족 정책은 다인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어 부적합하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정부와 지자체가 생활 실태 파악 및 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통계센터장은 지역별, 유형별 맞춤형 지원 정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다양한 실태 조사와 사회 보장 정보 시스템 등 사회 보장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1인 취약가구 유형별 특성과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어느 지역에 집중 거주하는지 파악해 정책 지원에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예린 기자 yerinwriter@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