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백종환.jpg

중국은 아직도 표현의 자유가 엄격히 제한된다. 신문·방송은 물론이고 사이버공간까지 서슬퍼런 검열의 칼을 피할 수 없다. 인구 세계1위, 국내총생산(GDP) 세계2위 중국의 엄연한 언론 환경이다. 지난달 말 '중국 누리꾼들이 짧은 시간 검열없는 구글(Google) 검색을 즐겼다'는 외신보도가 떴다.

구글이 베트남과 인도 등 아시아 지역에 새 IP 서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1시간 40여분동안 자유로운 접속이 가능했다. 중국 인터넷 감시망 '만리방화벽' 실수로 벌어진 해프닝이다. 중국 누리꾼들은 "잠시나마 행복했다"고 입맛을 다셨지만, 이후 구글의 창은 다시 열리지 않았다. 중국은 페이스북과 트위터, 유튜브 등 세계적인 사이트 접속도 차단하고 있다.

얼마전 중국 신장위구루(新疆維吾爾)자치구에서 운영하는 무계(無界)미디어가 문을 닫았다. 시진핑 주석 퇴진 촉구 공개서한을 올렸다가 급하게 삭제하는 소동을 벌인지 얼마 안가서다. 평시 시 주석 정책 홍보에 앞장서 열을 올리던 무계미디어가 출범 1년만에 허무하게 폐쇄되면서 세계인들의 웃음거리가 됐지만, 중국 정부는 아랑곳 하지 않았다. 경직된 언론 정책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우리의 미디어 환경은 최근 20여년간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정보가 홍수를 이룰 만큼 표현의 자유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특정 매체에 소비가 쏠리는 부작용도 있다. 인터넷 미디어가 성장하면서 전통의 신문, 잡지는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특히 종이신문 타격이 크다. 신문은 고대 로마시대부터 존재해 온 가장 오래된 매체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라디오와 TV 출현으로 첫 위기를 맞았다. 속보 경쟁에서 뒤처지기 때문이다. 이후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장으로 더 큰 시련을 겪는다. 하지만 신문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은 대중의 신뢰를 상실한 것이다. 광고주나 권력자 눈치보기에 급급해 과거보다 감시견(워치독) 기능이 약해진게 주된 사유다.

오늘은 60회 신문의 날이다. 10여년 전만해도 모든 신문사들은 휴간을 했고, 각종 행사도 열었다. 지금은 기념일 조차 생소해 졌다. 시대 흐름이 빚어낸 풍경이다. 토머스 제퍼슨 미국 3대 대통령은 "신문없는 정부 보다는 정부 없는 신문을 택하겠다"고 했다. 언론의 역할과 중요성을 함축한 말이다. 언론의 사명감이 새삼 무겁게 다가오는 오늘이다.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