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법사위 「판문점 총격요청 사건」과 「고문조작 의혹」, 정치인 사정, 다대^만덕지구 특혜비리 의혹, 통신감청 및 도청문제 등 여야간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는 현안들이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특히 여당은 「총격요청 사건」을 국기를 흔드는 중대문제로 규정, 한나라당 지도부의 개입의혹을 철저히 밝힌다는 입장인 반면, 한나라당은 이번 사건에 대한 「고문조작」 의혹 등 불법행위를 따지겠다고 벼르고 있다.

ㆍ정무위 대기업과 금융기관 구조조정 문제가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특히 한나라당은 5대 재벌의 금융권 여신거래 현황과 내부거래 조사자료를 토대로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후에도 재벌에 집중되고 있는 금융지원 상황을 추궁한다는 방침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ㆍ재경위 「국세청 불법 모금사건」과 「환란」 책임규명이 최대 이슈다. 국세청이 지난해 대선 당시 한나라당측의 자금 모금에 나선 배경, 임채주 전 국세청장과 이석희 전 차장의 역할, 한나라당 지도부의 개입여부 등이 도마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ㆍ통일외교통상위 새 정부의 대북 햇볕정책을 비롯해 금강산관광사업, 외교관 맞추방 사건을 계기로 한 한국과 러시아간의 외교마찰 및 한일어업협정문제 등을 둘러싸고 여야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야당은 강릉 잠수정 침투사건 및 북한 미사일 발사 등을 들어 햇볕정책의 실효성 문제를 제기하고 금강산 관광사업에 대해서도 신변안전 보장방안 마련을 촉구할 방침인데 비해, 여당은 북한을 대화의 길로 유도하려면 대북 포용정책을 꾸준히 전개해 나갈 수밖에 없다는 논리로 대응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ㆍ국방위 군 전력 증강사업의 하나인 「백두사업」과 연관된 비리의혹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사건이 최대 쟁점이다. 특히 한미 미사일 협정에 묶여있는 한국의 미사일 사정제한 규정을 국가안보 강화라는 차원에서 완화해야 한다는 의원들의 요구가 높아 정부측의 대응태도가 주목된다.

ㆍ행정자치위 한나라당 서울역 집회 방해사건과 부산 다대^만덕지구 택지특혜의혹 사건, 그리고 부산 해운대^기장을 금권선거 의혹 등이 여야간 쟁점으로 등장할 전망이다.

 이와함께 자치단체 지방재정 지원의 형평성 문제, 지방자치 경찰제 도입, 선관위의 선거제도 개혁안 등도 논란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ㆍ과학기술정보통신위 안기부, 검찰, 군기무사, 경찰청 등에 의한 불법적인 도청 및 감청, 우편검열 등 국민들의 「통신기밀」 침해 및 사생활 침해 문제를 둘러싼 공방이 예상된다.

 PCS(개인휴대통신)비리 등 기간통신사업자 인^허가를 둘러싼 전임 정권의 비리의혹도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ㆍ환경노동위 IMF사태가 초래한 실업문제의 현황과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주메뉴로서 논쟁의 도마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의원들은 특히 고용창출 및 실업자구제를 위해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벌여온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창업지원, 공공근로사업, 실업자 재교육 및 취업알선 등의 효과에 대한 실태를 폭로하고 근본대책 강구를 촉구할 것으로 점쳐진다.

ㆍ건교위 「뇌관」은 역시 부산 「다대^만덕지구 특혜의혹 사건」이 될 전망이다. 지난 29일 부산시 국감에서 이 사건을 다루기로 하고 김기재 전 부산시장, 이영복 동방주택사장, 허진석동성종합건설회장과 당시 부산시 실무관계자 등 6명을 증인으로 채택해 놓고 있다.

 이밖에 영종도 신공항 건설, 새만금 간척사업 등 대형 국책사업의 문제점과 그린벨트 재조정 문제 등도 도마위에 올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ㆍ정보위 「판문점 총격요청 사건」을 놓고 여야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여당은 이 사건을 국기를 문란케 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오정은-한성기-장석중씨 등 사건관련 「3인방」의 배후, 특히 이회창총재의 동생 회성씨 및 한나라당 지도부의 개입여부에 공세의 초점을 맞춘다는 전략이다.

 반면 한나라당은 오씨 등에 대한 안기부 수사과정에서의 고문과 불법적인 감청여부 등에 대해 집중 추궁하겠다는 입장이며 지난해 대선직전 당시 김대중후보측의 대북접촉 의혹도 철저하게 규명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