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에 등록된 장애인이 10만명을 넘어섰다. 시민 26명 가운데 1명꼴로 전국 7대 도시가운데 서울, 부산에 이어 많다. 장애인은 사회적 약자다. 그러나 사회의 편견때문에 많은 장애인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힘겹게 살고 있다. 정부나 지자체가 장애인을 위한 복지시책을 확대하고 있다지만 장애인을 위한 고용대책, 의료시혜, 장애인시설 확충 등은 여전히 형식적인 배려에 그치고 있다.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등록된 장애인은 10만4천93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5년보다 1만명 이상 늘어났다. 이 가운데 중증장애인이 4만4천674명으로 전체의 42%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사회는 지금 빈번한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등 각종 사고로 인해 장애인이 급증하고 있다. 우리 모두가 언제 예기치 못한 사고로 한 순간에 장애인이 될 지 모르는 복잡한 사회에서 살고 있으면서도 장애인에 대한 그릇된 편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의 고통을 배려하고 이들과 함께 사는 사회를 구현하는데 모두 동참해야 한다.
장애인들에게 가장 절실한 것은 생계보장과 편의시설 확보다. 인천의 장애인중 절반 이상이 지체장애자들로 집을 나서면 편의시설이 미흡해 이동이 불편하고 고통을 겪는다. 공공기관부터 장애인시설을 확충해야하는데 사정은 그렇지 못하다.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당국의 무관심과 지원이 인색해 시설은 미흡하기 그지없다.
장애인들에게 가장 큰 고통은 뭐니뭐니해도 직장을 갖기가 쉽지않다는 점이다. 장애를 극복하고 살아가려해도 이들에 대한 사회의 벽은 너무 높다. 모든 공공기관과 사업장에 2%의 장애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토록 법에 명시하고 있으나 이를 지키려는 공공기관과 사업장은 별로 없다.
정부가 아무리 좋은 제도를 도입해 시행한다해도 공공기관이 외면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 장애인들이 정상인들과 더불어 함께 사는 복지사회를 구현하려면 사회구성원 모두가 공동체의식을 갖고 이들의 고용촉진을 돕고 편히 살 수 있도록 배려하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