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문을 연 송도 야생조류공원에 이어 조성될 조류서식지 조성이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 않아도 송도 앞바다는 철새도래지로 다양한 조류들이 서식해 온 천혜의 생태계 보고다. 그런 해역이 경제자유구역이라는 경제 논리에 밀려 시민·환경단체들의 생태계 파괴라는 우려를 묵살한 채 광활한 바다를 매립, 지도를 바꿔 놓으면서 조류서식지 환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하 경제청)이 송도국제도시 11공구(320만평) 매립에 앞서 한쪽 50만평 규모로 야생조류서식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지난해 이 서식지와 연계해 조류 서식상태를 관찰하고 먹이사슬을 위해 4공구에 42억원을 들여 조성된 5만8천여평의 야생조류공원이 콘크리트로 덮혀 있다고 한다.
이 곳에 계획했던 말채나무 등 3만여 그루가 식재되지 않아 서식환경이 파괴된 채 황폐화 되고 있다니 심히 유감스러움을 금치 못한다. 물론 당초 계획했던 인공섬, 습지생태원, 조류관찰대 등 부대시설도 이행하지 않아 유수지를 비롯한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일반 공원으로 조성한 것은 개발위주의 편협된 사고로 비난받아 마땅하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송도 11공구와 영종도 추가 매립 신청에 대해 매립으로 인한 생태계 악영향과 검은머리 물떼새 등 희귀조류 서식지 파괴를 들어 제동을 건 것은 당연한 조치라고 할 것이다. 문제는 경제청이 11공구 매립에 앞서 새로운 대체 서식지를 확보하기로 하고 용역을 발주, 11공구 북측을 서식지로 낙점한 반면 자문위원은 남측이 조류서식지로 적합다는 의견을 내놔 쟁점이 되고 있는 모양이다.
어느 쪽이 서식지로 타당할 지는 용역결과가 나와 봐야 하겠지만 친환경적인 도시를 위해서도 안정적으로 야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조성된 조류공원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방치된 것은 예산만 낭비한 졸속행정이다. 조류서식지 조성에 관심을 촉구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