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 일선 치안을 맡아왔던 경찰관 파출소가 치안센터로 명칭이 바뀌었지만 아직도 일반시민들에게 '파출소'로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치안센터로 명칭이 바뀐 건물 대다수가 문이 잠겨 있어 치안과 관련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을 있을 뿐 아니라 애물단지로 방치되고 있다는 보도다.
경찰은 지난 2003년 8월 경찰기구개편에 따라 일선 파출소 3~4곳을 구역별로 통합, 광역지구대로 운영하면서 기존 파출소 건물에 민원담당관 1명을 치안센터 근무요원으로 상주시켜 활용해 왔다. 그러나 올해부터 지구대 인력부족을 이유로 이들 민원담당관을 지구대 가용인력으로 통합해 순찰근무요원으로 편성하자 이 건물들이 텅텅빈 채 방치되고 있다니 오히려 예방치안의 허점을 노출하고 있다는 우려를 금치 못한다. 이는 현행 광역지구대의 기동순찰 운영도 중요하지만 도심 요소마다 치안관련 사무소가 많을수록 각종 범죄의 방범 성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경기경찰의 경우 치안센터 민원담당관을 지구대 순찰근무요원으로 편성함에 따라 치안센터를 순찰차 거점장소로 활용하는데 그쳐 야간과 식사시간이 문을 닫고 있는 실정이다. 한마디로 순찰차 근무요원의 휴식장소로 활용될 뿐 치안업무의 능률을 높이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잃고 있다 이같은 실태는 경기도만이 아니라 전국이 비슷한 사정일 것이다. 문제는 예산부족으로 시내 곳곳에 산재해 있는 치안센터의 민원담당관을 배치할 수 없다면 현행 광역지구대 위주의 치안 성과가 과연 얼마나 기대될 수 있을지 심사숙고 할 일이다. 경기도내 33개 경찰서에서 운영 중인 치안센터 193곳 중 8곳만이 민원담당관이 근무하고 있어 185곳이 실제 무용지물이 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일부 경찰서에서는 치안센터를 폐쇄, 장비와 지구대를 증·개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는 모양이다. 그러나 현재 치안센터는 자치경찰제 시행에 대비, 향후 자치경찰센터로 활용해야 마땅하다. 경기경찰은 폐쇄, 처분에 앞서 현행 광역지구대와 치안센터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라도 예산확보에 전력해 줄 것을 당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