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기환경을 가장 오염시키는 주범이 자동차 배기가스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경유차량에서 내뿜는 배기가스가 대기오염을 심화시키고 오존오염을 가중시켜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고 있다. 저공해차량의 보급을 확대해야 할 이유가 이 때문이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들이 구입을 외면, 정부의 저공해차 보급시책이 겉돌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환경부는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04년부터 친환경자동차인 '하이브리드차' 등 저공해자동차의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 저공해차를 구입할 경우 자동차가격 3천670만원 중 2천800만원을 국고에서 지원하고 있다. 이같은 혜택에도 불구하고 자치단체들이 예산이나 사용불편 등을 이유로 내세워 구입을 외면, 정부시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의 경우 지난 2005년 26대를 보급할 계획이었으나 동구, 부평구에 5대를 보급했고 작년 역시 51대 계획이 40대에 그쳤고 올해도 96대를 보급할 계획이지만 여의치 않은 듯하다. 정부는 하이브리드차 등 저공해 자동차의 보급확대를 위해 오는 2012년까지 8천억원의 재정을 투입, 수도권 대기의 오염물질 배출량을 2000년대비 35~70% 줄인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자치단체들이 저공해차 보급확대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외면한다면 대기 질 개선이나 일반인에게 상용화한다는 정책은 겉돌 수밖에 없을 것이다.
선진국들은 대기환경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자 이미 지난 80년대부터 자동차 배출가스 기준을 강화하고 저공해차 개발과 보급에 적극 나서고 있다. 수도권의 대기오염은 지금 심각한 상황에 있다.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정도 수도권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총량을 줄여 대기 질을 10년 내로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자는데 있다. 하지만 자치단체가 대기환경을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결여돼 있으면 수도권 대기 질은 결코 개선될 수 없다.
저공해차의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선 자치단체가 보유차량을 저공해차로 바꾸는데 앞장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