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공공기관들이 공사발주시 지역업체의 참여기회를 외면해 불만을 사고있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역업체 보호를 위해선 공동도급제를 시행, 수주기회를 넓혀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최근 수년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지역업체들의 일관된 공동도급제 요구를 외면하고 공사참여기회를 주지않는 것은 비난받을 일이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십수억원규모의 기반시설공사를 비롯 설비, 전기 등 각종 공사를 발주하면서 지역업체들이 요구하고 있는 공동도급방식을 배제하고 전국 업체를 대상으로 한 일반경쟁입찰방식을 적용, 사실상 지역업체의 참여를 막아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는 보도다. "지역업체를 배려하겠다"는 말을 앞세우며 철저하게 지역업체를 외면하는 이러한 이중적 입장을 취하는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지역여론이 나쁘자 공사측은 "공동도급은 하자발생 가능성이 높고 책임소재규명에 문제가 있다"는 구차한 변명을 하고있지만 설득력이 모자란다.
다른 시·도에서는 모든 공공기관들이 공동도급비율을 의무적으로 높여 지역업체의 수주를 돕고있는 것과 비교할 때 무관심하기 그지없다. 지역업체들이 지역내 공공기관들이 발주하는 공사에서 외면당하면 그야말로 설 땅이 없다. 인천시가 각급 기관의 공사발주시 공동도급방식을 채택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인천지역 업체의 관급공사 수주율이 타 지역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에 있으나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래선 지역경기가 살아나기 힘들다.
지역건설업체가 경영상 애로사항으로 첫 손을 꼽고있는 것은 저조한 수주율이다. 이는 기업의 채산성확보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지역경제계가 대응방안을 찾아야 한다. 공사수주율이 낮아 경영부실의 원인이 되고있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제기된 문제다.
높은 실업률 증가의 원인도 따져보면 건설경기 부진에서 비롯된다. 건설경기는 많은 업종과 연계되어있어 더욱 그러하다. 지역경기가 살아나기 위해선 무엇보다 지역업체를 지원하는 것이 급선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