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영어마을 난립에 제동을 걸었다. 늦은 감이 있지만 잘한 일이다. 차제에 경기도 등 다른 지자체들도 영어마을을 다시 돌아 볼 필요가 있다.
인천시가 제동 이유에서 밝혔듯 유행처럼 번지는 외국어마을에 대한 우려는 그간 줄기차게 제기돼왔다. 다만 '영어공용화'까지 내놓고 주장하는 우리사회 일각의 주장에 묻혀 이를 진지하게 돌아보자는 목소리는 묻혀왔을 뿐이다.
영어마을이 선보인지는 이제 3년 남짓 지났지만 그 열기는 무척 뜨겁다. 2004년 경기영어마을이 문을 연 이후 전국적으로 100여개가 생겼으니 '난립'이란 표현이 지나치지 않다. 왠만한 자치단체치고 영어마을 없는 곳이 없을 정도며, 없는 곳치고 건립계획이 안 잡혀 있는 곳이 없을 정도다. 더욱 심각한 것은 지난 5·31지방선거 당시 상당수 기초자치단체의회 의원 후보들까지 영어마을 유치를 공약으로 내걸었다는 점이다. 이들이 공약이 공약(空約)으로 그치지 않는다면 머잖아 동네마다 영어마을이 생길지도 모를 일이다.
양적 팽창을 거듭하는 동안 그 이면에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부작용은 한 둘이 아니다. 한 해 200여억의 혈세를 쏟아부어야 돌아가는 경기영어마을의 예처럼 '돈먹는 하마'로 전락한 사례는 대부분의 영어마을에 그대로 적용된다. 수강료를 올려 적자를 보전하면 된다지만 그 경우 어려운 이웃들에게는 그림의 떡이 된다. 대부분의 영어마을이 붕어빵처럼 닮은 꼴이라는 점도 지적되곤 한다. 규모를 줄이면서 특성화, 전문화하는 방안도 이제 고려할 때다.
이밖에 영어마을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지원에 따른 공교육 영역의 상대적 박탈감도 문제다. 공교육에 지원됐어야 할 돈이 영어마을로 흘러갔다는 식의 소외감도 그렇다. 영어마을과 공교육 영역이 상호보족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인천시의 난립 제동 방침은 그저 더이상의 설립을 막는 차원에 그쳐서는 안된다. 차제에 그간 제기됐던 문제에 대한 고민과 함께 새로운 해법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