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여의도만한 면적의 땅이 묘지로 쓰여지고 있다는 말이 나온지 오래다. 이제 수도권에선 묘지를 구하기가 더욱 어렵고 구한다해도 경제적 부담이 너무 커 서민들이 묘지를 구할수 없는 시기가 온 듯하다. 묘지난을 해결하는 최선의 방안은 화장을 장려하는 것밖에 달리 방법이 없다.
다행히 최근 몇해 사이에 화장율이 늘어나는 추세는 매우 고무적이다. 더욱이 인천의 화장율이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돌고있는 현상은 바람직하다. 지난 2001년 49.7%에 불과하던 화장율이 2004년에 65.6%, 작년엔 67.7%에 이르렀다. 전국 화장율 52.5%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다. 묘지를 구하기가 어려운데도 있지만 화장문화에 대한 인식이 많이 변하고 있음을 알수있다. 그렇지만 매장을 선호하는 우리의 오랜 전통과 관습때문에 화장문화가 뿌리내리기는 아직 멀어 보인다.
화장이나 납골묘의 확대는 국민의식이 이에 따르지 않으면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우리 사회에 뿌리깊은 장례관습과 풍속을 고치기는 사실 쉽지않다. 먼저 고위공직자 등 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이 솔선수범해 개선에 앞장서지 않으면 안된다. 사회문제가 되고있는 호화분묘가 지도층이거나 부유층의 가족묘지란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의 의식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장묘문화는 민족 특유의 전통이고 관습이기 때문에 그 관습을 하루 아침에 바뀌게한다는 것은 사실 쉽지않은 문제다. 그러나 전국의 묘지넓이가 전 국토의 1%를 점유해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을 어렵게한다는 점을 감안 할 때 장묘제도의 개선은 불가피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정책적으로 장묘문화 개선에 보다 적극적이어야 한다. 지자체가 납골시설을 늘리도록 적극 지원해 화장이 보다 확대될수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인천시가 오는 2020년까지 1천120억원의 예산을 들여 납골시설을 확충한다는 계획은 관심을 끌만하다. 국민들의 의식도 이제 달라져야 한다. 이런 시설을 혐오시설로만 볼것이 아니라 필요한 시설로 받아들여야 하며 무조건 반대하고 나서선 안된다. 장묘제도 개선은 이제 미룰수없는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