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UCLG(세계지방자치단체연합) 등 국제기구 가입 등을 통해 동북아 허브도시로의 위상정립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방침을 공표, 많은 국민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의 이번 정책은 인천의 향후 갈 길을 보여주는 적절한 시도로 보인다. 물류시스템 확보와 국제정보교류의 센터역할을 맡는 허브도시는 자기 지역보다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국제적인 관심을 모아야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세계 1천여개의 도시가 회원으로 가입된 UCLG를 비롯, 미국내 1천65개 도시와 세계 117개국가의 1천700여개 도시간의 국제협력지원을 하는 SCI(전미국제자매도시연합)기구에 가입을 추진하면서 중국과 인도, 베트남, 일본 등 아시아권 주요 도시들과의 교류를 적극 확대해나가겠다는 이번 정책은 국제도시로서 기반을 확실히 다지겠다는 게 기본 목표다. 사실 인천은 그동안 국제공항과 인천항, 3대 경제자유구역 본격 개발 등 국제비즈니스를 위한 기반시설을 구축하면서 동북아 허브도시로 상당부분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게 분명하다. 그 부문은 그동안 현 정부의 지원을 크게 받아온 경쟁도시인 부산도 인정할 정도다.
동북아의 허브도시는 한국은 물론 중국과 일본 등 동북아시아 주민들에게 예전부터 관심을 모아온 테마다. 자기 지역이 동북아의 허브도시, 다시 말해 동북아의 대표적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것은 지역발전은 물론 나라발전의 큰 동력이 되는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중국의 경우 상하이와 청도, 다렌(大連) 등을 인천보다 더 큰 동북아의 허브도시로 만들려고 정부차원에서 집중 지원을 벌여 이제는 ‘세계 허브도시’라고 자기들이 선전하고 다닐 정도다. 중국의 그런 자세는 우리 정부에서도 여러 가지 본받을 필요가 많이 있다.
인천보다도 한국을 위해, 동북아의 허브도시로 인천이 제대로 자리잡을 필요가 분명하다. 국제기구 가입과 해외 주요 도시들과의 자매결연 등 이번 계획의 실천과 함께 인천시는 앞으로 중앙정부와 함께 보다 다양한 시도를 검토해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한국이 ’세계허브국가’로 도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