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체성 회복과 일제 잔재를 바로 잡기 위해 ‘동인천역’ 등 인천의 주요 시설 명칭들을 바꿔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지역사회의 관심을 다시 모으게될 것 같다. ‘인천시 문화예술 온라인자문위원회’에서 최근 공표한 주장은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을 대표하는 ‘북구 도서관’을 ‘굴포 도서관’으로, ‘동인천역’은 ‘화도진역’으로 개명해야 일제의 역사적 오류를 바로 잡고 시민의식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제 식민체제 당시 이름들을 개명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은 잘못된 역사를 청산하는 데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는 최근의 시대적 상황속에서 의미깊은 작업으로 보여진다. 특히 인천은 지난 1883년 일본의 강압속에 개항된 뒤 ‘러일전쟁’과 6·25전쟁 당시의 ‘인천상륙작전’ 등으로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되었고 21세기들어 ‘인천국제공항’ 이라는 ‘제2의 개항’을 성공적으로 이뤄 이제는 ‘동북아의 허브도시’로 세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도시라는 점에서, 인천의 일제잔재 시도는 한국의 현대사에서 의미를 평가받을 수 있는 일이다.
부산의 경우 공무원들이 1년여전 ‘일제잔재청산연구회’를 결성해 지역내의 일제잔재를 발굴·조사해 시민들에게 그 내용을 적극 알리고 있는 등 전국적으로 일제잔재 청산작업들이 국민 공감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인천에서의 일제잔재 정리작업이 지금까지 시민들에게 보여준 것은 무엇일까.
인천지역의 문화예술계 현장전문가들이 시가 추진하는 문화정책 등에 대해 자문해주는 기능을 갖고 지난 해 출범한 ‘문화예술온라인자문위원회’의 이번 주장은 사실 지난 해 송도국제도시의 동 이름을 연수구청에서 ‘송도동’으로 결정하면서 시민단체 등에 의해 일제잔재 논란이 벌어지는 등 그동안 일어났던 일제 당시 이름들에 대한 여러 지적들이 대부분 논란에 그쳤을 뿐 시민들이 공감하는 결론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특히 인천시의 의식 변화가 우선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시정 책임자들부터 일제잔재의 문제와 함께, 개명 등 변화시도작업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검토하는 모습을 시민들에게 보여줘야할 시점이 지금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