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군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우리나라 도농(都農)간 격차는 국민소득 1천 달러 수준의 후진국과 다를 바 없다. 하지만 선진국의 농촌은 어디를 가보아도 삶의 질과 조건이 도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 같은 선진국의 도농(都農)간 균형은 근본적으로 농업 인력육성 시스템의 현실화에 있다.
 유럽과 일본의 경우 농업개방에서 살아남기 위해 품목별로 최고 실력의 농업인재를 육성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농업자격증 제도의 현실화로 엘리트 농업인을 선발해 무이자로 농업자금을 대출해주는 등 각종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일은 농촌 정예요원을 육성하는 제도로 마이스터(meister)가 어떤 직업 못지않게 사회로부터 존경을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은 각종 자금지원을 받게 되며 예비 농업인을 교육할 수 있는 자격도 인정돼, 경제적으로도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는 문화풍토가 조성돼 있다.
 우리나라와 유사한 농촌인력 육성시스템을 갖춘 일본은 청년농업사와 지도농업사 등의 자격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들도 마찬가지로 정부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받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농촌인력 교육은 연방 정부에 의해 재정투자가 이루어지고, 국가 수준에서 행·재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농촌인력 교육이 산업 및 국가 발전의 토대가 되기 때문임을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선진국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차세대 농촌 리더들을 집중적으로 교육해 농촌 정예요원 양성에 농업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선진국의 경우 50~70% 수준으로 실업교육이 중등교육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전체 고등학교에서 실업계 고교가 30%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농촌인력 육성 교육은 무엇인 문제인가. 우리의 경우 농업교육을 포함한 실업교육이 법적 근거에 의해 최초로 시행된 것은 1899년이다. 이후 실업교육은 산업교육, 직업교육, 직업기술교육, 직업기술훈련, 직업교육훈련 등 시대적 상황에 따라 그리고 관장하는 교육기관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의돼 왔음은 물론 교육정책의 변화에 따라 실업교육의 현황도 지속적으로 변화를 거듭해 왔다.
 변화를 거듭하면서 우리나라 실업교육은 갈수록 위축돼 왔고, 각종 농업기술 자격증 제도가 자격증 취득자에 대한 혜택의 부족과 홍보 미흡 등으로 유명무실해지는 실정이다.
 현재 농업기술 자격증의 경우, 시설원예를 비롯 농업기계, 종자기사, 식물보호, 축산 등 7개 분야에 대해 기능사와 산업기사, 기술사 등의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농업 관련학과 졸업생과 농업인의 경우,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뒤 1∼2년의 실무경험을 쌓으면 산업기사 자격증 등을 취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그러나 농업인의 자격증 취득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특히 타 산업분야의 자격증 취득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대조건이 약한 편이어서 농업인은 물론이고 농과대학 졸업생들조차 이를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이미 능력 우선의 사회에 접어들었다고 외치고 있다. 하지만 농업분야에는 아직은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하다. 따라서 농촌 우수인재 확보를 위해 자격 취득자에 대한 가산점 부여와 영농정착금 우선 지원 등 각종 혜택방안 마련과 제도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
 그래야 농업이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바뀔 것이다. 이제 지구촌은 능력중심의 수평적 사회다. 사람을 고치는 의사나 트랙터를 운전하는 농업인이 평등하게 존중받는 사회가 돼야 한다.